Journal List >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 v.67(10) > 1516088943

Review

문 1. 소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주요 원인은?
① Allergic rhinitis
② Neuromuscular diseases
③ Obesity
④ Enlarged tonsils and adenoids
⑤ Craniofacial abnormalities
문 2. 성인과 비교되는 소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특징적인 소견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과도한 주간 졸음
② 폐쇄성 저환기
③ 무호흡이 렘수면 때 덜 발생함
④ 비만
⑤ 수면호흡장애로 인한 3단계 비렘수면의 붕괴
문 3. 소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서 증상이나 합병증을 유발하는 기전들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Intermittent hypercapnia, hypoactive sympathetic nervous system
② Hyperactiv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sudden loss of muscle tone
③ Sleep fragmentation, extrathoracic pressure swings
④ Paradoxical thoracoabdominal movements, intermittent hypocapnia
⑤ Intermittent hypoxia, hyperactive sympathetic nervous system
문 4. 소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주요 합병증들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대사장애, 과성장
② 주의력 결핍, 신장 결석
③ 고혈압, 공격적 성향
④ 심장 기능 저하, 변비
⑤ 성장장애, 저혈압

Otology

문 1. 60세 여자 환자가 수개월 전부터 시작된 좌측 난청과 비회전성 어지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양측 고막은 정상 소견이었고, 순음청력검사와 청성뇌간반응검사는 다음과 같았다. 다음 시행해야 할 조치로 적절한 것은?
kjorl-67-10-556i1.tif
① 입원하여 steroid를 사용한다.
② 좌측 보청기를 사용한다.
③ 전정기능검사를 시행한다.
④ Brain MRI를 시행한다.
⑤ Temporal bone CT를 시행한다.
문 2. 수년간의 좌측 귀의 이명과 어지럼으로 내원한 50세 환자에서 청력검사상 좌측 귀의 30 dB 순음청력역치와 85%의 어음명료도를 보였다. 측두골 자기공명영상에서 내이도 내에만 국한되어 조영제를 준 후 신호 강도가 증강되는 종물이 발견되었다. 이 환자를 수술한다면 가장 적절한 접근법은?
① 경유양동 접근법(transmastoid approach)
② 중두개와 접근법(middle cranial fossa approach)
③ 경미로 접근법(translabyrinthine approach)
④ 경와우 접근법(transcochlear approach)
⑤ 후미로 접근법(retrolabyrinthine approach)

Rhinology

문 1. 만성 비부비동염의 내재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을 고르시오.
①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비부비동염은 모두 type 2 내재형으로 분류된다.
② 말초혈액 총 호산구 수는 만성 비부비동염의 내재형 분류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③ 만성 비부비동염의 내재형에 따른 맞춤형 치료를 위해서는 비용종의 내시경 소견이 가장 중요하다.
④ Type 1 내재형 만성 비부비동염은 주로 호중구와 관련된 염증 반응이 작용하며, 천식과의 연관성이 높다.
⑤ Type 2 내재형 만성 비부비동염은 호산구가 주요한 염증 세포로 작용하며, interleukin (IL)-5와 immunoglobulin E (IgE)를 포함한 Th2-면역 반응이 특징이다.
문 2. 만성 비부비동염의 내재형에 따른 치료와 예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을 고르시오.
① Type 1 내재형 만성 비부비동염의 항생제로 doxycycline이 효과가 좋다.
② Type 2 내재형 만성 비부비동염은 재발이 많으므로 수술적 치료는 권고되지 않는다.
③ Type 2 내재형 만성 비부비동염의 치료로 항IL-5 항체와 같은 생물학적제제가 효과가 있다.
④ Type 1 내재형 만성 비부비동염의 초기 치료 성공을 판단하는 중요한 증상으로 후각 소실이 있다.
⑤ Type 1 내재형 만성 비부비동염은 항생제와 스테로이드 치료가 기본 치료로 사용되고, 수술 후 재발률이 높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④
해설 편도 및 아데노이드 비대는 소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주요 원인이다.
참고 문헌: 대한비과학회. (최신) 임상비과학. 보완판. 파주: 군자출판사;2020. p.794-5.
문 2. 답 ②
해설 소아는 장기간 동안 상기도가 부분적으로 막히게 되어 혈중 이산화탄소가 축적될 수 있는 폐쇄성 저환기(obstructive hypoventilation)가 동반된 경우가 성인에 비해서 더 자주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확인을 위해 수면다원검사 시 endtidal CO 2 등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좋다.
참고 문헌: 대한비과학회.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서울: ㈜아이엠이즈컴퍼니;2016. p.141-3.
문 3. 답 ⑤
해설 성인과 유사하게, 수면 중 심한 호흡장애는 잦은 산소포화도의 저하, 교감신경계의 불균형, 잦은 각성 등을 발생시켜 혈압이나 심혈관 계통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참고 문헌: 대한비과학회.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서울: ㈜아이엠이즈컴퍼니;2016. p.141-3.
문 4. 답 ③
해설 중증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소아에서 주의력결핍장애, 수면 과다, 우울, 공격적 성향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결국 인지기능의 결핍, 학습장애, 경쟁에서 뒤처짐, 행동기능 결핍,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로 이어질 수 있다.
참고 문헌: 대한비과학회.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서울: ㈜아이엠이즈컴퍼니;2016. p.141-3.

Otology

문 1. 답 ④
해설 좌측 중등도 난청소견과 함께 청성뇌간반응검사에서 I-V 파간잠복기의 양의 차이가 0.3 msec 이상이므로 소뇌교각종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brain MRI를 시행해야 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1003-4.
문 2. 답 ②
해설 중두개와 접근법은 내이 구조물 손상 없이 경막의 외측에서 내이도와 주위 구조물을 노출하는 술식으로 술전 청력이 좋으며 종양이 내이도에 국한된 경우에 이용된다.
참고문헌 :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1007.

Rhinology

문 1. 답 ⑤
해설 ①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 비부비동염의 대부분이 type 2 염증반응과 관련이 있지만 모든 경우가 type 2 내재형으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
② 말초혈액의 호산구 수는 type 2 염증과 관련 있는 지표 중 하나이지만, 조직학적, 면역학적 검사 결과도 고려되어야 한다.
③ 비용종의 내시경 소견은 표현형이고, 내재형은 조직 검사, 면역학적 검사 등이 더 중요하다.
④ 천식과의 연관성은 type 2 염증에서 높다.
참고 문헌: Fokkens WJ, Lund VJ, Hopkins C, Hellings PW, Kern R, Reitsma S, et al. European position paper on rhinosinusitis and nasal polyps 2020. Rhinology 2020;58(Suppl S29):1-464.
문 2. 답 ③
해설 ① Doxycycline은 주로 type 2 염증 억제를 목적으로 사용되며, 호산구성 염증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다.
② Type 2 내재형 만성 비부비동염의 경우 재발률이 높을 수 있지만, 수술적 치료(내시경 부비동 수술)는 여전히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수술 후에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약물 치료나 생물학적 제제가 병행될 수 있다.
③ Type 2 내재형 만성 비부비동염은 호산구와 Th2 염증 반응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IL-5를 타겟으로 하는 생물학적 제제가 효과적이다.
④ 후각 소실은 주로 type 2 내재형 만성 비부비동염에서 발생하는 주요 증상이다.
⑤ Type 1 내재형 만성 비부비동염은 주로 호중구성 염증과 관련이 있으며, 항생제와 스테로이드가 기본 치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수술 후 재발률이 type 2 내재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참고 문헌: Fokkens WJ, Lund VJ, Hopkins C, Hellings PW, Kern R, Reitsma S, et al. European position paper on rhinosinusitis and nasal polyps 2020. Rhinology 2020;58(Suppl S29):1-464.
TOOLS
Similar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