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List > J Korean Acad Oral Health > v.48(3) > 1516088595

임산부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국내외 중재연구 검토(2003-2023)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view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on oral health interventions for pregnant women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intervention programs.

Methods

We us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arch databases, such as Medline, Embas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Science On, Korea Citation Index, and DBpia. Among papers published between 2003 and 2023, 22 met the selection criteria by combining “pregnant women,” “oral hygiene,” and “oral health.”

Results

Since 2007, foreign literature has steadily increased; however, domestic literature has decreased. Overseas research designs were mostly randomized control trials, whereas domestic designs were mostl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The intervention methods included three preventive programs, five specialized oral care programs, and 14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s

In-dept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of pregnant women. Systematic intervention programs that consider the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of interven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and policy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strengthen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education by expert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서 론

임신기에 나타나는 내분비계의 변화는 임신성 치은염을 유발하고1), 입덧으로 인한 구토와 식생활 변화, 잦은 간식 섭취로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2). 또한, 임신 중 치주질환은 조산을 일으키는 위험인자로 작용하여 태아에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3-5). 임산부의 건강한 구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구강 내 질환이 발생하기 전에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과 관리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6,7).
구강질환은 비가역적인 질환으로 예방이 중요하며, 치료가 필요한 경우 가급적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여 만성질환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정기적인 관리를 해야 한다6). 하지만, 대부분의 임부가 임신기간 중 치과 방문이 태아 발달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과 두려움으로 치과를 방문하는 비율이 매우 낮고8,9),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교육을 전혀 받지 못해 구강건강지식과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10). 구강보건교육은 임산부의 잘못된 인식을 전환하고 구강건강과 관련한 지식, 태도, 행동을 올바르게 변화할 수 있으며11-15), 더불어 치면세균막 관리, 불소도포, 식이조절 등 전문가의 예방처치 개입은 임산부의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16-18). 그러나, 구강건강행위가 동일한 조건이라도 개인의 신념에 따라서 나타나는 행위의 변화가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임산부를 위한 구강건강 개입은 임산부의 신념, 태도, 습관을 넘어서 건강 관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장벽까지 제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을 포괄하여 개입하는 것이 필요하다12). 이에 임산부의 구강건강증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설계를 갖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근거에 기반한 체계적 개입이 필요하다.
임산부의 구강건강과 관련한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임산부의 구강건강지식13-15), 구강건강인지도와 구강건강실천도6,16-19), 구강건강관련행위12) 관한 단면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구강건강지식은 구강건강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지적인 능력으로20) 올바른 지식을 가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태도, 신념, 규범, 구강건강행동과 관련된 장벽까지 변화되기 위해서는 단일요인만을 조사하는 연구가 아닌 체계적인 중재 연구가 필요하다21). 현재 구강건강상태와 인식 및 행동 변화를 살펴본 중재 연구가 있었으나 방법과 기간, 평가 방법이 모두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중재 효과를 비교할 수 있는 연구의 수가 적어 국외 문헌까지 확장한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 중재 연구를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 문헌까지 확장하여 고찰함으로써 임산부의 구강건강을 위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 향후 임산부를 대상으로 구강건강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임산부 구강건강 중재를 위한 유용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국내외 임산부를 대상으로 구강건강 중재를 적용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2. 문헌검색 및 선정 기준

문헌 검색은 임산부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연구설계(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유사실험설계(Quazi ecperimental design)를 통하여 구강건강 중재 효과를 객관적 또는 주관적 결과로 제시한 논문을 포함하여 선정 및 수집을 하였다.
문헌 검색 및 선정기준은 Table 1과 같다. 첫째, 문헌을 선정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 검색 데이터베이스인 Medline, Embase,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과학기술지식인프라(Sience On), 국내학술인용지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 DBpia가 사용되었고, 1인의 연구자가 수행하였다. 검색 색인어는 “임산부”, “구강위생”, “구강건강”, “Pregnant women”, “Oral hygiene”, “Oral health”를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둘째, 자료 검색은 2024년 05월 22일부터 약 1주간 진행되었으며, 20년간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23년까지 제한하였다. 셋째, 임산부 구강건강 중재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중재의 효과를 신뢰할 수 없는 연구, 연구 결과의 타당성이 보장되지 않는 논문, 체계적 문헌고찰, 종설, 상관관계 연구 등은 배제하였으며, 영어와 한국어로 출판된 국내외 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3. 자료분석 방법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에 검색된 문헌은 3,760편 중 2003년 이전의 연구 566편, 중재 연구와 맞지 않는 논문 2,820편, 연구 주제어가 맞지 않은 논문 352편을 제외하여 22편의 논문이 선정되었다(Fig. 1). 최종 문헌은 본 연구 취지에 맞게 구조화된 양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양식은 저자, 연구 대상자, 지역, 중재 연구 방법 및 평가, 연구 결과 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성적

1. 국내외 임산부 구강건강 중재 연구 현황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발행된 총 22편(국외 19편, 국내 3편)이었다. 국외의 경우 2007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20년부터 2023년에는 8편으로 가장 많았다. 국내의 경우 감소하여 2020년부터 2023년까지는 0편이었다(Fig. 2).

2. 임산부 구강건강 중재 방법 동향

선정된 문헌에서 임산부 구강건강 중재 방법에 대한 내용은 Table 2와 같다7,21-41). 연구 대상 논문의 연구 설계는 국내의 경우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NCGPPD)가 2편,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OPPD)가 1편이었으며, 국외의 경우 무작위 대조군 시험(RCT)이 16편,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NCGPPD)가 2편,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OPPD) 1편으로 나타났다.
중재방법은 국내의 경우 예방프로그램 1편, 전문가 구강 관리 프로그램 1편,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1편이었으며, 국외의 경우 예방프로그램 2편, 전문가 구강관리 프로그램 4편,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13편이었다.
예방프로그램은 임산부의 구강건강을 위한 예방적 조치를 시행하는 프로그램으로 불소도포(Flu), 구강보건교육(OHE), 구강세정제(Ri), 자일리톨 껌 저작(Xy)이 하위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전문가 구강 관리 프로그램은 전문가의 개입을 통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훈련된 전문가가 제공하는 개인별 맞춤 상담(IC), 치과용품 제공(Kit), 구강보건교육(OHE), 정기적 구강건강정보 메시지 제공(Me), 비외과적 치주치료(SC), 구강건강교육 비디오 제공(VD)이 하위그룹으로 분류되었다.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은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교육을 제공하여 교육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를 통한 교육 제공(App),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교육책자 및 팜플렛(Book), 개별적 맞춤 상담(IC), 치과용품 제공(Kit), 구강보건교육(OHE), 정기적 구강건강정보 메시지 제공(Me), 구강건강교육 비디오 제공(VD)이 하위그룹으로 분류되었다.

3. 임산부의 구강건강 중재에 따른 평가 결과

선정된 문헌에서 구강건강 중재에 따른 평가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중재 프로그램은 구강건강상태, 구강위생상태, 구강건강지식 및 태도, 구강건강행동, 구강건강과 관련한 심리, 출산결과 등으로 평가되었다.

3.1. 예방프로그램에 따른 평가 결과

예방프로그램의 경우 불소도포(Flu), 구강보건교육(OHE), 구강세정제(Ri)를 제공했을 때 간이구강위생지수(OHI-S)가 개선되었다(P<0.001)21). 자일리톨 저작을 통한 예방 조치를 시행했을 때 출산 후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집락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1)22). 임신기간 내 구강세정제(Ri) 제공과 사용법을 교육받은 예방프로그램에서는 치주낭 측정 검사를 했을 때 점수가 개선되었고(P<0.05), 조기양막 파열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22)29).

3.2. 전문가 구강 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평가 결과

전문가 구강 관리 프로그램의 경우 훈련받은 전문가가 전문가의 비외과적인 치주치료(SC)만을 제공한 연구에서 구강건강과 관련한 삶의 질을 평가했을 때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P<0.01)33), 비외과적인 치주치료(SC)와 개인별 맞춤 상담(IC), 구강보건교육(OHE)이 함께 제공된 연구에서는 구강건강상태를 살펴보았을 때 구강건강상태 중 치주탐침깊이(PD), 치석 보유율,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가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P<0.01)26), 구강건강행동에서는 단 음료 섭취 빈도 감소와 치과 보조용품 사용 빈도 증가(P<0.05), 영양표시 확인(P<0.01)에서 변화되었다7).
비외과적 치주치료(SC)와 개인별 맞춤 상담(IC)과 함께 치과용품(Kit), 구강건강교육 비디오(VD)를 제공했을 때 구강건강상태를 평가한 결과 치은염지수(GI), 치주탐침깊이(PD), 임상적부착소실(CAL), 치주낭상피표면적(PESA), 치주낭염증면적(PISA)이 모두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P<0.001), 치은열구액(GCF)의 사이토카인 TNF-a, IL-1ß 수준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1)27).
조산사와 치과의사의 개입으로 개인별 맞춤 상담(IC)을 통해 구강 관리를 제공받은 그룹에서 치과서비스 이용율(P<0.001), 구강건강지식(P<0.05)이 증가하였고,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치은출혈지수(SBI), 치면세균막 지수(PI), 임상적부착상실(CAL), 충전치아(FT)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01)31).

3.3.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평가 결과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구강보건교육(OHE)과 치과용품(Kit)을 제공한 중재에서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과, 구강건강행동 중 칫솔질과 치실 사용 빈도, 치과방문 빈도가 증가하였다(P<0.01)24).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치과용품(Kit)과 교육용 책자 및 팜플렛(Book), 교육용 비디오(VD)를 제공한 중재 연구에서 어린이의 구강 관리 지식이 증가하였다(P<0.01)25).
구강보건교육(OHE)을 3회 이상 받은 중재 연구에서 구강건강지식, 태도, 행동이 유의하게 변화되었고, 구강건강과 관련한 신념 및 장벽,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변화되었다(P<0.05)28,32).
구강보건교육(OHE)과 개별적 맞춤 상담(IC)을 제공한 중재 연구에서는 구강건강상태를 평가했을 때 치은염지수(GI), 치주탐침깊이(PD), 임상척부착소실(CAL), 우식치아(DT), 우식병소(CL),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집락수, 백색병소(WSL), 치면치태지수(VPI) 등이 개선되었으며(P<0.05)30,34,36), 구강건강과 관련한 심리상태를 평가했을 때 심리적 지수, 자기효능감이 개선되었다(P<0.01)35).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한 구강보건교육을 제공한 중재 연구에서 구강건강지식이 증가하였고, 구강건강 태도 및 행동에서 어린이 유치의 중요성과 칫솔질 시간, 혀 닦는 행동, 정기적 구강검진이 유의하게 변화되었다(P<0.05)37-39). 또한, 구강건강과 관련한 신념, 장벽, 긍적적 또는 부정적 영향 모두 개선되었다(P<0.05)30).
교육용 비디오(VD)와 함께 전동칫솔을 포함한 치과용품(Kit)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수동칫솔이 포함된 치과용품(Kit)을 제공받은 대조군을 비교한 결과 Geurs 등40)의 연구에서는 GI (Gingival Index)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P<0.05), Parry 등41)의 연구에서는 구강건강상태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고 안

본 연구는 임산부의 구강건강을 위한 중재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 설계 및 평가방법, 결과를 종합하여 고찰하였다.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22편의 선정된 문헌을 고찰한 결과 국외 연구는 2007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연구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0편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국내의 경우 앞서 제시한 것과 같이 단면연구13-19)가 대부분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가 중재 연구를 대상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국외의 주요 연구 설계는 무작위 대조군 시험(RCT)이 16편으로 많았으며, 연구설계 방법 중 RCT는 논문의 질적 수준을 평가했을 때 결과의 인과관계에 대한 설득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2). 이에 국내에서도 임산부와 관련한 연구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비뚤림 위험이 낮은 연구 설계와 함께 연구 간의 이질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예방프로그램은 구강건강상태를 유의하게 개선하였으며, 조산의 위험을 감소시켰다. 장 등43)의 연구에서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주된 균주로서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는 출산 후 태아의 구강으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이는 임신기간 동안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져 치아우식증과 치주염에 쉽게 이환될 수 있으므로2-5) 구강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예방 처치 개입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예방프로그램 중재 연구 3편으로 불소도포, 구강세정제, 자일리톨 저작 껌 등 단일 방법만으로 실시되었으며, 잦은 간식섭취와 구토 등 식생활 변화가 나타난 임산부의 식이와 구강환경은 고려되지 않았다. 임산부는 임신 중 치과 진료가 위험하다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과치료를 할 수 없을 때가 많으므로8-10) 임신 전부터 식이와 구강환경관리능력을 조절하고, 예방에 대한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도록 다양한 예방 방법을 고려한 중재 전략을 검정하고, 예방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한다.
전문가 구강관리 프로그램은 비외과적 치주치료만을 제공한 연구보다 비외과적 치주치료와 함께 개인별 맞춤 상담이 제공된 경우 구강건강상태의 개선 뿐만 아니라 구강건강행동, 구강건강과 관련한 삶의 질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가의 일대일 관리는 중재 전략에 유용하므로, 전문가의 개인별 맞춤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 개인의 주관적, 객관적 상태를 사정하고 판단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최 등44)의 연구에서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난 결과를 미루어볼 때, 전문가의 개입은 건강한 구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신체적 건강은 물론 심리적, 사회적 건강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Saffari 등35)과 Bashirian 등39)은 연구에서 개인별 맞춤 상담을 통한 구강보건교육은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신념과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구강관리와 관련된 장벽까지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임기 여성부터 신념, 태도, 습관을 넘어서 건강 관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장벽까지 제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측면을 포괄한 전문가의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12).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 모자보건사업의 경우 구강전문가에 의한 구강보건교육 제공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45) 모자보건사업에서 구강보건전문가의 구강보건지식에 근거한 구강보건교육 비중 강화와 제도적 개선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은 구강보건교육을 반복적으로 시행한 경우 구강건강상태는 물론 지식, 태도,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문헌 중 지식, 태도, 행위 등 평가 변수가 서로 다른 측정 도구가 사용되어 중재 효과에 차이가 있으므로 일반화하기 어렵지만, 현재 국내 대부분의 임산부가 구강건강관리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으며17,18), 임신 중 치과 진료에 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10). 임신 초기보다 중기·말기로 갈수록 구강건강 실천 행위가 낮아지고 치석 지수 또는 간이구강위생지수가 상승하기 때문에8,46), 건강한 구강상태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정기적 치과방문과 구강건강관리에 관한 인식을 올바르게 전환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에 임신 전·후 구강건강 관리 방법, 올바른 치태조절을 위한 칫솔질 방법, 식이조절 등1) 개인별 구강건강상태에 맞는 심층적인 상담과 함께 체계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중재 프로그램 중 동일한 자가관리 용품과 교육자료가 제공되었음에도22,40,41) 결과 지표에서 효과가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대상자에 더 적합한 중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피드백 변화를 줄 수 있는 중재 빈도, 시기, 평가 변수를 고려한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행위, 지식, 태도 변화를 적절히 평가하기 위해서 임산부의 특수한 상황이 고려된 구조화된 측정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더불어, 국내의 경우 구강보건교육과 개인별 맞춤 상담을 통한 중재를 적용한 반면에, 국외에서는 구강건강 정보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으로 제공하는 등 다양한 중재 방법이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모바일을 이용한 교육이 구강건강지식과 행위에 관한 장벽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v 등47)의 연구 결과와도 유사하였다. 임산부의 경우 잦은 구토, 행동의 불편함, 정서적인 예민함 등으로 인하여 구강관리능력이 소홀해지기 쉬우므로7) 조작이 어렵거나 꾸준한 관리가 어렵다면 구강건강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에 웹 또는 모바일 기반의 프로그램과 같이 대상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편의성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활용성이 높은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구강건강 개선을 위한 중재 방법의 적용과 내용, 방법, 평가 항목이 상이하여 확실한 효과를 단정 짓기 어렵고, 일반화된 중재 프로그램을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문헌 선택 기준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임산부 구강건강 연구에 있어 연구의 일부가 누락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임산부의 관련한 중재 연구를 국외 문헌까지 확장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 활용가능성이 높은 중재 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 론

본 연구는 임산부 구강건강과 관련한 중재 연구에 유용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임산부를 대상으로 구강건강 중재를 적용한 국내외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PRISMA와 PICO-SD를 이용하였으며, 2003년부터 2023년까지 발행된 문헌 중 22편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산부 구강건강과 관련한 중재연구는 국외 문헌은 19편, 국내 문헌은 3편으로 나타났으며, 국외 문헌의 경우 2007년부터 발행된 논문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의 경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 대상 논문의 연구 설계는 국내의 경우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NCGPPD)가 2편, 국외의 경우 무작위 대조군 시험(RCT)이 16편으로 가장 많았다.
3. 중재 방법으로는 예방프로그램이 3편, 전문가 구강 관리 프로그램이 5편, 구강보건교육이 프로그램 14편으로 나타났다.
임산부의 구강건강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는 측정 도구가 필요하며, 모성과 영유아의 구강건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관심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현상을 반영한 심층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가임기부터 예방 계획을 수립하여 구강질환을 예방하고, 구강보건전문가가 여성의 주관적, 객관적 상태를 사정하고 판단하여 일대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중재 전략이 필요하다. 임산부의 구강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중재 방법의 효율성과 편의성,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되어야 하며, 지역사회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해 모자보건사업에서 구강보건전문가의 구강보건지식에 근거한 구강보건교육의 비중 강화와 제도적인 개선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References

1. Ha MJ. 2011. The effect of the oral education program on the dental hygiene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pregnant women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Inje: [Korean].
2. Xie Y, Xiong X, Elkind-Hirsch KE, Pridjian G, Maney P, Delarosa RL, Buekens P. 2013; Change of periodontal disease status during and after pregnancy. J Periodontology. 84:725–73. DOI: 10.1902/jop.2012.120235. PMID: 22873653.
3. Lai PY, Seow WK, Tudehope DI, Rogers Y. 1997; Enamel hypoplasia and dental caries in very-low birthweight children: a case controlled, longitudinal study. Pediatr Dent. 19:42–9. PMID: 9048413.
4. Alvarez JO, Eguren JC, Caceda J, Navia JM. 1990; The effect of nutritional status on the age distribution of dental caries in the primary teeth. J Dent Res. 69:1564–6. DOI: 10.1177/00220345900690090501. PMID: 2398183.
5. Silk H, Douglass AB, Douglass JM, Silk L. 2008; Oral health during pregnancy. Am Fam Physician. 77:1139–1144. PMID: 18481562.
6. Jang KA, Kim KO, Lee SO. 2016; Comparing oral health care awareness and practice in pregnant women with and without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69–177. DOI: 10.21896/jksmch.2016.20.2.169.
7. Son JH, Kim SH, Bae SM. 2019; Case study on dental hygiene care program with the focus on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s with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 J Korea Contents Assoc. 19:269–276.
8. Park JH, Lee KS. 2011; Comparison of oral care patterns before and during the pregnancy. J Dent Hyg Sci. 11:273–278.
9. Codato LAB, Nakama L, Melchior R. 2008; Percepcoes de gestantes sobre atencao odontologica durante a gravidez. Ciencia & Saude Coletiva. 13:1075–1080. DOI: 10.1590/S1413-81232008000300030.
10. Gambhir RS, Nirola A, Gupta T, Sekhon TS, Anand S. 2015; Oral health knowledge and awareness among pregnant women in India: a systematic review. J Indian Soc Periodontol. 19:612. DOI: 10.4103/0972-124X.162196. PMID: 26941509. PMCID: PMC4753703.
11. Lee JH. 2007. A Study about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Realization and Practice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Cheonan: [Korean].
12. Kim MN, Lim DS, Kim MH, Kim AR, Kim SI, Ahn YS. 2015; Effect of health belief factor on oral health related behavior in pregnant woman. J Dent Hyg Sci. 15:129–137. DOI: 10.17135/jdhs.2015.15.2.129.
13. Ahn KS. 2020; The relations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 in pregnant women according to childbirth experience. J Korea Converg Soc. 11:279–285.
14. Jang KA, Seong MG. 2008; A study on the behavior status and the knowledge regarding oral health of pregnant women. J Kor Soc Hygienic Sciences. 14:55–63.
15. Kim KO, Lee SK, Kang SA, Kim GY, Oh SH, Jaung SA, et al. 2016; A study of oral health knowledge for pregnant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2:202–209. DOI: 10.4069/kjwhn.2016.22.4.202. PMID: 37684869.
16. Park MS, Kim JH. 2009; A study on awareness of dental treatment and oral health management during the period of pegnancy: focusing on women of childbearing ages and women of childbirth experience. J Dent Hyg Sci. 9:231–239.
17. Lee SJ, Choi GY. 2011; A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 status and oral health awareness of pregnant women. JKAIS. 12:5049–5055. DOI: 10.5762/KAIS.2011.12.11.5049.
18. Park YN, Shim CS. 2008;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pregnant women about oral health care. J Korean Soc Dent Hyg. 8:53–64.
19. Lee SO, Kang HK. 2011; Effect of pregnant women's oral health awareness and practice according to planned dental care experience before pregnancy. J Kor Data Anal Soc. 13:1267–1277.
20. Noh HJ, Choi CH, Sohn WS. 2008; Public health dentistry: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and frequency of oral health education in adolescent. J Korean Acad Oral Health. 32:203–213.
21. Vasiliauskien I, Milciuviene S, Bendoraitiene E, Narbutaite J, Slabsinskiene E, Andruskevicine V. 2007; Dynamics of pregnant women's oral health status during preventive programme. Stomatologija. 9:129–136. PMID: 18303278.
22. Park JH, Ahn SH, Gu HJ, Choi YH, Song KB. 2010; Inhibitory effects on coloniz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by eighteen months xylitol consumption. JKAIS. 11:375–382. DOI: 10.5762/KAIS.2010.11.1.375.
23. Park HJ, Lee HJ. 2018; Comparison of effects of oral health program and walking exercise program on health outcomes for pregnant women. J Korean Acad Nurs. 48:506–520. DOI: 10.4040/jkan.2018.48.5.506. PMID: 30396189.
24. Cibulka NJ, Forney S, Goodwin K, Lazaroff P, Sarabia R. 2011; Improving oral health in low-income pregnant women with a nurse practitioner-directed oral care program. J Am Acad Nurse Pract. 23:249–57. DOI: 10.1111/j.1745-7599.2011.00606.x. PMID: 21518073.
25. Clifford H, Johnson NW, Brown C, Battistutta D. 2012; When can oral health education begin? Relative effectiveness of three oral health education strategies starting pre-partum. Community Dent Health. 29:162–167. PMID: 22779378.
26. Geisinger ML, Geurs NC, Bain JL, Kaur M, Vassilopoulos PJ, Cliver SP, et al. 2014; Oral health education and therapy reduces gingivitis during pregnancy. J Clin Periodontol. 41:141–8. DOI: 10.1111/jcpe.12188. PMID: 24164645.
27. Kaur M, Geisinger ML, Geurs NC, Griffin R, Vassilopoulos PJ, Vermeulen L, et al. Effect of intensive oral hygiene regimen during pregnancy on periodontal health, cytokine levels, and pregnancy outcomes: a pilot study. 2014; J Periodontol. 85:1684–1692. DOI: 10.1902/jop.2014.140248. PMID: 25079400. PMCID: PMC4372244.
28. Bahri N, Tohidinik HR, Bahri N, Iliati HR, Moshki M, Darabi F. 2015;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oral health beliefs and behaviors during pregnancy: a randomized-controlled trial. J Egypt Public Health Assoc. 90:41–5. DOI: 10.1097/01.EPX.0000464139.06374.a4. PMID: 26154829.
29. Jiang H, Xiong X, Su Y, Peng J, Zhu X, Wang J, et al. 2016; Use of antiseptic mouthrinse during pregnancy and pregnancy outcomes: a randomised controlled clinical trial in rural China. BJOG. 123:39–47. DOI: 10.1111/1471-0528.14010. PMID: 27627596.
30. Khamis SA, Asimakopoulou K, Newton T, Daly B. 2017; The effect of dental health education on pregnant women's adherence with tooth-brushing and flossing; A randomized control trial.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45:469–477. DOI: 10.1111/cdoe.12311.
31. George A, Dahlen HG, Blinkhorn A, Ajwani S, Bhole S, Ellis S, et al. 2018; Evaluation of a midwifery initiated oral health-dental service program to improve oral health and birth outcomes for pregnant women: a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t J Nurs Stud. 82:49–57. DOI: 10.1016/j.ijnurstu.2018.03.006. PMID: 29605753.
32. Ghaffari M, Rakhshanderou S, Safari-Moradabadi A, Torabi S. 2018; Oral and dental health care during pregnancy: evaluating a theory-driven intervention. Oral Dis. 24:1606–1614. DOI: 10.1111/odi.12928. PMID: 29949233.
33. Musskopf ML, Milanesi FC, Rocha JM, Fiorini T, Moreira CHC, Susin C. 2018;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pregnant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az Oral Res. 32:e002. DOI: 10.1590/1807-3107bor-2018.vol32.0002. PMID: 29364329.
34. Liu P, Wen W, Yu KF, Gao X, Man Lo EC, Wong MM. 2020; Effectiveness of a family-centered behavioral and educational counselling approach to improve periodontal health of pregnant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Oral Health. 20:284. DOI: 10.1186/s12903-020-01265-6. PMID: 33066773. PMCID: PMC7568358.
35. Saffari M, Sanaeinasab H, Mobini M, Sepandi M, Rashidi-Jahan H, Sehlo MG, et al. 2020; Effect of a health-education program using motivational interviewing on oral health behavior and self-efficacy in pregnant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 J Oral Sci. 128:308–316. DOI: 10.1111/eos.12704. PMID: 32618034.
36. Yu KF, Wen W, Liu P, Gao X, Lo ECM, Wong MCM. 2022; Effectiveness of family-centered oral health promotion on toddler oral health in hong kong. J Dent Res. 101:286–294. DOI: 10.1177/00220345211036663. PMID: 34515552.
37. Wenqi H, Yijun W, Ruyu C, Tingting P. 2022; Application of a systematic oral health promotion model for pregnant women: a randomised controlled study. Oral Health Prev Dent. 20:413–419. DOI: 10.3290/j.ohpd.b3555989. PMID: 36346336.
38. Aboalshamat K, Alharbi J, Alharthi S, Alnifaee A, Alhusayni A, Alhazmi R. 2023; The effects of social media (snapchat) interventions on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during pregnancy among pregnant women in saudi arabia. PLoS On. 18:e0281908. DOI: 10.1371/journal.pone.0281908. PMID: 36795745. PMCID: PMC9934359.
39. Bashirian S, Barati M, Barati M, Shirahmadi S, Khazaei S, Jenabi E, et al. 2023; Promoting oral health behavior during pregnanc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 J Res Health Sci. 23:e00584. DOI: 10.34172/jrhs.2023.119. PMID: 37571955. PMCID: PMC10422136.
40. Geurs NC, Jeffcoat MK, Tanna N, Geisinger ML, Parry S, Biggio JR, et al. 2023;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of prenatal oral hygiene education in pregnancy-associated gingivitis. J Midwifery Womens Health. 68:507–516. DOI: 10.1111/jmwh.13486. PMID: 37026567.
41. Parry S, Jeffcoat M, Reddy MS, Doyle MJ, Grender JM, Gerlach RW, et al. 2023; Evaluation of an advanced oral hygiene regimen on maternity outcomes in a randomized multicenter clinical trial (oral hygiene and maternity outcomes multicenter study). Am J Obstet Gynecol MFM. 5:100995. DOI: 10.1016/j.ajogmf.2023.100995. PMID: 37127210.
42. Vamos CA, Thompson EL, Avendano M, Daley EM, Quinonez RB, Boggess K. 2015; Oral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43:385–396. DOI: 10.1111/cdoe.12167. PMID: 25959402.
43. Chang YS, Shin SC, Lee HJ, Kim EJ, Heo HY, Jee YJ, et al. 2006; Influence of feeding habits and maternal caries experience on children's dental caries incidence. J Korean Acad Oral Health. 30:67–74.
44. Choi HJ, Lee MS. 2014; A study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in terms of psychosocial factors, oral health status, and use of dental care servic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59–70.
45. Lee JY. 2013; Future directions of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health center. Korean J Health Educ Promot. 30:1–7. DOI: 10.14367/kjhep.2013.30.4.001.
46. Kim JS, Go FH, Kim CH. 2006; A study of oral hygiene satus for pregnant women in some areas. J Dent Hyg Sci. 6:101–105.
47. Lv S, Yu S, Chi R, Wang D. 2019; Effects of nutritional nursing intervention based on glycemic load for patient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inekol Pol. 90:46–49. DOI: 10.5603/GP.2019.0007. PMID: 30756370.

Fig. 1
Flow diagram for data collection.
jkaoh-48-3-155-f1.tif
Fig. 2
Status of intervention studies for the pregnant women oral health by period.
jkaoh-48-3-155-f2.tif
Table 1
Selection criteria
Type Inclusion Exclusion
Paper publication year 2003-2023 Before 2003
Type of literature Journal article Book
Conference paper
Study design Clinical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view analysis
Systematic analysis
Contents Intervention of care program
Interventional application
Intervention study
Accessible full text
Not intervention
Cross-sectional study
Examine of protocol, tool
Disease treatment
Drug therapy
Not accessible paper
Not intervention study
Not topic related
Table 2
Intervention type of included studies
No. Study
design
Intervention methods
Preventive program Professional oral care program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Flu OHE Ri Xy IC Kit OHE Me SC VD App Book IC Kit OHE Me VD
121) NCGPPD O O O
222) NCGPPD O
324) RCT O O
425) NCGPPD O O O
526) RCT O O O O O
627) OPPD O O O O
728) RCT O
829) RCT O O
930) RCT O O
1023) NCGPPD O O O O
1131) RCT O
1232) RCT O
1333) RCT O
147) OPPD O O O
1534) RCT O O O
1635) RCT O O
1736) RCT O O O O
1837) RCT O O O O
1938) RCT O
2039) RCT O
2140) RCT O O
2241) RCT O O O

NCGPP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NCGP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OPPD: pne group pre-posttest design, R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pp: social network service and application, Book: educational book & oral health pamphlets, Flu: fluoride coating, IC: individual ono-on-on counseling, Kit: dental product kit (flossing, toothpaste, toothbrush, et al), OHE: face-to-face oral health education, Me: periodic phone message (oral hygiene education), Ri: oral rinse use, SC: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using ultrasonic instruments and hand scalers and curettes), VD: educational video watching, Xy: xylitol consumption.

Table 3
Evaluation of included studies
Authors (year) Sample size Study area Intervention Assessment Outcome
Exp Con
Vasiliauskien I, et al (2007)21) Pregnant
Postpartum 180 (Int 89, Con 91)
Lithuania Preventive program (dental office)
- Fluoride varnish app
- 0.12% chlorhexine rinse
No intervention Ohyg / OH / OHB
- TF survey
- DMF-T, DMF-S
- OHI-S
- GI
- Caries prevalence 56.25%
- OHI-S*** (▲)
Park JH, et al (2010)22) Pregnant
Postpartum 89 (Int 36, Con 53)
Korea Preventive program (dentist)
- Xy consumption (1 day 3-6 times)
No intervention Ohyg / OH / OHB
- DMFT, CPITN
- Saliva check (S. Mutans bacteria)
- OHB survey (OH perceived, TF, dental visit frequency, Use of auxiliaries)
OH perceived*, TF* (▲)
- S.mutans* (▼)
Cibulka NJ, et al (2011)24) Pregnant 146 (Int 73, Con 73) America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nurse)
- OHE
- Kit
No intervention Know / OHB
- OH status perception survey
- TF, FF
- Dental visit frequency
- OH perception** (▲)
- TF* (▲)
- FF** (▲)
- Dental visit frequency** (▲)
Clifford H, et al (2012)25) Pregnant
Postpartum 376 (Int1 80, Int2 92, Int3 89, Con 106)
Australia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midwife clinic)
- Video group (VD nine-minute)
- Dental product kit group
- Combi (VD+Kit) group
Usual care group Know / OHB
- OHB (TF, dental visit frequency)
- Baby dental care know
- OH know survey
Intervention group
- Baby dental visit know* (▲)
- Know about bacteria* (▲)
- Know of appropriate drink*** (▲)
- Baby teeth healthy know* (▲)
Geisinger ML, et al (2014)26) Pregnant
Postpartum 119
America Professional oral care program (periodontist)
-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 IC, VD, Kit, Me offer
- OH
- PI, Gi, PD, CAL
- PI, GI, PD, CAL*** (▲)
Kaur M, et al (2014)27) Pregnant 89 America Professional oral care program (periodontal resident)
-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 Edu VD, DVD, Kit, IC offer
- OH / Out
- PI, GI, PD, CAL, BOP
- PESA, PISA
- GCF, blood sample (cytokine levels)
- Birth weight, Full-term birth
- PI, Gi, PD, CAL, PESA, PISA*** (▲)
- GCF TNF-a, IL-1ß** (▲)
Bahri N, et al (2015)28) Pregnant 160 (Int 80, Con 80) Ir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 OHE session (3 wk 6 time)
No intervention OHB / Psycho
- OH belief survey
- OHB survey
- OH belief, OHB* (▲)
Jiang H, et al (2016)29) Pregnant
Postpartum 468 (Int 232, Con 234)
China Preventive program (dentist)
- Ri (non-alchohol) 1 day 2 times
- OHE
OHE + toothbrush + toothpaste OH / Out
- PSR
- Pregnancy outcome
- Periodontal score* (▲)
- Risk of premature rupture of the membranes compared* (▲)
Khamis AI, et al (2017)30) Pregnant 154 (Int1 53, Int2 48, Con 53) Kuwait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dental hygienist)
OHE group
- Book (OHE for pregnant women)
- Demonstrating the toothbrush and floss
OHE & planning group
- Book (OHE for pregnant women)
- Brush & floss planning record
- Demonstrating the toothbrush and floss
Treatment as usual
- OH leaflet (toothbrush, floss)
- Demonstrating the tooth brush and floss
OH / Know / OHB / Att / Psycho
- PI, GI
- 2rd survey
∙OHB (TF, floss frequency)
∙Knowledge
∙Attitude
∙Subjective norms
∙OHB barriers
- Knowledge* (▲)
- PI, GI*** (▲)
- Attitude*** (▲)
- Subjective norms*** (▲)
- Toothbrushing barriers*** (▲)
- Flossing barriers*** (▲)
- Snacks barriers*** (▲)
Park HJ, Lee HJ (2018)23) Pregnant 65 (Int1 23, Int2 21, Con 21) Korea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OHG)
Walking exercise group (WEG)
- Book
- IC & Me
No intervention OH / OHB / Psycho
- OHB survey
- Physical activity question
- OE (periodontal health)
- Psychology index (depression, stress, quality of life)
Int 1, 2
- OHB*** (▲)
- GI, PD*** (▲)
- Psychology index*** (▲)
George A, et al (2018)31) Pregnant
Postpartum 638
(Int1 215, Int2
212, Con 211)
Australia Professional oral care program
Int1
- IC (midwifery int & assessment)
Int2
- IC (midwifery & dental int)
OH information supply OH / Know / Psycho / Out
- Dental services uptake
- OH knowledge
- OH quality
- OH status (SBI, CAL, PI, DT, FT)
- Birth outcomes
Int 2
- OH knowledge* (▲)
- OH quality*** (▲)
- SBI, CAL, DT, FT*** (▲)
Ghaffari M,
et al
(2018)32)
Pregnant 135
(Int 70, Con 70)
Ir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dentist)
- OHE (3 sessions, 90 min)
No intervention Know / Psycho / OHB
HBM-based survey
- Knowledge
- Perceived susceptibility, severity, benefits, barrier, self-efficacy
- OHB
Immediately after the edu
- Knowledge***, perceived susceptibility***, severity***, benefits***, barrier***, self-efficacy***, OHB*** (▲)
2 months
- Knowledge***, perceived severity***, benefits*, barrier***, self-efficacy***, OHB*** (▲)
Musskopf ML, et al (2018)33) Pregnant
Postpartum 210
(Int 96, Con 114)
Brazil Professional oral care program (periodontist)
-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Protocol periodontal treatment group
- Supragingival calculus removal, OHE
OH / Psycho
- OHIP-14 survey (OHRQoL;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 PI, GI, BOP, PD, CAL, supragingival calculus, C
Int, Con
- OHIP-14 (OH negative impacts)** (▲)
Son JH, et al (2019)7) Pregnant 45→9 (int) Korea Professional oral care program (dental hygienist), (3 times, once a week)
-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 OHE, IC offer
- Ohyg / OH / OHB
- Periodontal health (PD, GI, calculus)
- PHP index
- OHB (toothbrusing methods, use of auxiliaries, TF, sugar drink frequency, snack frequency, nutritional labeling check)
- PD**, calculus** (▲)
- PHP index** (▲)
- Sugar drink fequency* (▲)
- Use of oral care auxilaries* (▲)
- Nutrition labeling check** (▲)
Liu P, et al (2020)34) Pregnant
Postpartum 369 (Int 188, Con 181)
China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dental auxiliary staff)
- OHE pamphlet
- OHE (toothbrush, floss demonstration)
- IC
OHE pamphlet group OH
- BOP, PD, CAL, plaque index (PI)
Postpartum 1y
- PD***, CAL*** (▲)
Saffari M, et al (2020)35) Pregnant 112 (Int 56, Con 56) Ir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dentist)
- OHE & IC (1 hours, two times)
Clinic education group
- 1 hours, two times
OH / Psycho / OHB
- GI, DMFT
- OHB Questionnaire (OHBQ)
- OH self-efficacy survey
3 months after
- OHBQ***, OH self-efficacy** (▲)
- GI***, DT* (▲)
Yu KF, et al (2022)36) Pregnant
Postpartum 436 (Int 228, Con 208)
Hongkong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dental professionals)
- Family-centered IC & OHE (toothbrushing, flossing demonstration)
- Book (OHE booklet)
- Me
OHE pamphlet group OH / Ohyg / OHB
- Oral hygiene practices survey
- Dietary & feeling habits survey
- OH outcome (1-3 y children)
- OH status
Postpartum follow-up 3y
- TF & use of fluoride toothpaste***
- OH state (CL, S.mutnas, WSL, VP)* (▲)
- Dietary & feeding habits* (▲)
Wenqi Hu, et al (2022)37) Pregnant 222 (Int 111, Con 111) China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dentist)
- OHE class
- Book (oral hygiene manual), VD offer
- WeChat (oline messenger app)
No intervention OH / Know / Att / OHB
O.E+survey (OH assessment)
- C, DMFT, CPI, periodontal disease
- OH knowledge survey
- OH attitude
- OHB
Primary outcome
- Active C, FT, CPI score***
Second outcome
- OH Knowledge*** (▲)
- OHB (tongue cleaning, regularOE* (▲)
- Attitude (baby teeth concern)* (▲)
Aboalshamat K, et al (2023)38) Pregnant 68 (Int 34, Con 34) Saudi Arabia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dental research team)
- Snapchat (social media app) (2 wk)
WhatsApp group
- Written pamphlet
Know
- OH & dental therapy knowledge
Int
OH knowledge*** (▲)
Bashirian S, et al (2023)39) Pregnant 105 (Int 54, Con 51) Ir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health promotion experts)
- WhatsApp (edu program) (9 session)
OH self-care edu Att / OHB / Psycho
- Perceived benefits, barriers, self-efficacy, positive & negative affect, iterpersonal & situational influencing variables, commitment to the action plan, demands of behavior
- OHB (TF & toothbrush duration)
- Benefits***, barriers*** (▲)
- Positive & negative affect* (▲)
- Situational influences** (▲)
- Action plan** (▲)
- Duration of toothbrush** (▲)
Geurs NC et al (2023)40) Pregnant 648 (Int 322, Con 326) America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nurse)
- Kit (+Power toothbrush), VD offer
Usual supply group
- Kit (soft toothbrush)
- Toothbrusing & floss written instruction
OH
- GI, BOP, PD
- Oral & perioral adverse event occurrence
- GI* (▲)
Parry S, et al (2023)41) Pregnant
Postpartum 746 (Int 373, Con 373)
America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dentist)
- DK (+Power toothbrush), VD offer
- IC
Usual supply group
- kit (soft toothbrush)
- Toothbrush & floss written instruction
OH / Outcome
- OH (GI, BOP, PD)
-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 Incidence of preterm birth
- Cumulative risk of preterm birth
- Int/Con no significant

Significance (*P<0.05, **P<0.01, ***P<0.001), (▲): It means that the evaluated results have improved.

TF: toothbrushing frequency, FF: flossing frequency, C: caries, CAL: clinical attachment levels, CL: cavitated lesion, CPI: 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TN: community periodontal index of treatment needs index, DT: decayed teeth, FT: filled teeth, GCF: gingival crevicular fluid, GI: gingival index, MI: motivational interviewing, MS: Streptococcus mutans, OE: oral examination, OH: oral health, OHB: oral health Behavior, OHI-S: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P: periodontal diseases, PD: probing depth, PESA: periodontal epithelial surface area, PHP index: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PI: plaque index, PISA: periodontal inflamed surface area, PSR: periodontal screening and recording, SBI: sulcus bleeding index, SRP: scaling and root planning, VP: visible plaque, VPI: visible plaque index, WSL: white spot lesion.

TOOLS
Similar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