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질환으로 고혈압, 말기신부전 있는 69세 여성 환자가 5일 전부터 발생한 고열과 동반된 양측 하지 통증 및 부종, 발적으로 내원하였다(
Fig. 1). 내원 2주 전 개인병원에서 COVID-19 mRNA 백신을 우측 상완부에 접종하였다. 접종 전 검사에서 발열이 있었고 혈액검사상 이상 소견을 포함한 특이 소견은 없었다. 백신 접종 후 급성기에 고열이나 접종 부위에 감염 징후는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는 응급실 내원 당시 급성 병색을 보였고 통증으로 인하여 와상 상태였다. 신체검사상 수축기 혈압 126 mmHg, 이완기 55 mmHg에 맥박은 분당 112회, 호흡수는 18회를 보였다. 부종, 발적, 열감을 포함한 연부조직의 염증 반응이 양측 하퇴 근위부부터 발목 관절 이하까지 관찰되었으며 염발음(crepitus) 및 파동(fluctuation) 소견도 동반되었다. 혈액 검사상 백혈구(white blood cell) 17,600/μL/m
3 (4,000∼10,000/μL/m
3), C-반응단백질(C-reactive protein, CRP) 305.3 mg/L (0.0∼5.0 mg/L) 및 신장기능 수치 이상(blood urea nitrogen 34.0 mg/dL, creatinine 5.89 mg/dL) 등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을 보이고 있었다. 좌측 하지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에서 비복근과 전경골근 및 장무지신근, 넙치근에 공기 음영을 동반한 농양(
Fig. 2)이 관찰되었고, 우측 하지 MRI에서는 장지굴근과 단비골근 내 농양(
Fig. 3)이 관찰되었다. 응급으로 양하지 농양에 대해 절개 및 배농술 및 근막 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경험적 항생제로 반코마이신(vancomycin)과 세프트리악손(ceftriaxone)을 정주하였다. 수술 소견상 양하지 근육 내 유착 및 악취가 나는 고름이 50 mL 이상 흘러나왔다(
Fig. 4). 근육들도 경도의 괴사가 진행 중으로 괴사된 근육과 유착된 괴사 물질들을 제거하고 다량의 세척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에 시행한 균 배양검사에서 황색포도알균이 검출되었으며, 내원 당일 응급실에서 시행한 혈액 배양 검사에서도 황색포도알균이 검출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 메치실린 감수성(methicillin sensitive) 소견이 있어 반코마이신을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으로 교체하였다. 환자는 술 후 12일째 지속적인 고열 및 상기도 증상이 있어 흉부 및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을 시행하였으며 흉부 CT 검사상 양측 폐하엽에서 폐렴소견이 있었다. 또한 복부 CT 검사상 좌측 요근 농양(
Fig. 5) 의심 소견이 있어 요추 MRI를 시행하였고 약 2.5 cm의 좌측 요근 농양 및 요추 4, 5번, 천추 1번 경막 외 농양을 확인하였다(
Fig. 6).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상태였으나 폐렴 등 내과적 상태로 전신 마취가 불가능하여 항생제 치료를 지속하였으며 폐렴치료를 위해 피페라실린(piperacillin), 타조박탐(tazobactam)도 함께 사용하였다. 항생제 치료 2주 후 환자의 내과적 상태가 호전되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좌측 요근 농양 및 경막 외 농양에 대해서는 후방 도달법으로 제 1, 2천추의 척추후궁 절제술 및 개방성 배농술, 제 1, 2천추 후방요추간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좌측 하지 괴사 조직에 대해서는 메트리덤(Matriderm; Skin Health, Billerbeck, Germany)을 이용하여 부분층 피부이식술을 시행하였다(
Fig. 7). 수술 4주 후 시행한 양측 하지 CT 검사상 병변은 호전된 소견을 보였으며(
Fig. 8), 혈액 검사상 백혈구 4,420/μL/m
3, CRP 13.4 mg/dL로 확인되었다. 수술 12주 후 하지 및 요추 감염의 재발 소견은 없었으며 요추의 경한 통증 외 하지의 통증은 호전되었고 혈액 검사상 백혈구 8,640/μL/m
3, CRP 4.6 mg/dL로 측정되었다.
 | Figure 1Initial clinical photograph shows redness, swelling on both lower legs. 
|
 | Figure 2Preoperative sagittal (A), coronal (B), axial (C) T2-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 multi-focal large abscess (arrows) in the left lower leg. 
|
 | Figure 3Preoperative sagittal (A), coronal (B), axial (C) T2-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 abscess (arrows) in the right lower leg. 
|
 | Figure 4Operation field photograph at initial incision (A) and drainage operation (B). 
|
 | Figure 5Abdomen-pelvis computed tomography axial cut shows left psoas muscle abscess at L4-5 level (arrow). 
|
 | Figure 6Spine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 epidural abscess at L5-S1-2 and about 2.5 cm abscess between the left psoas and iliacus muscle (arrows). 
|
 | Figure 7Clinical photograph shows postoperative view of left lower leg after split-thickness skin grafting. 
|
 | Figure 8Lower extremity computed tomography shows further decrease in size of left posteromedical (A), right posteromedial (B), and lateral (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