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은 가장 흔한 족부 골절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1) Jones
2)는 1902년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이후 여러 저자들에 의해 해부학적 위치 및 수상 기전에 따라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이 분류되었다.
1,3,4) 그중 골절 위치에 따라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을 분류한 Lawrence와 Botte 분류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4-6) 제 I구역 골절이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중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제 II구역 골절이 두 번째로 많으며, 제 III 구역 골절은 가장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7) 족부 내번과 같은 간접 손상에 의해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발생 시, 이와 같은 기전에 의해 다른 족부 및 족관절 부위의 동반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간접 손상뿐만 아니라 고에너지에 의해 발생하는 직접 손상의 경우에도 다른 족부 및 족관절 부위의 동반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동반 손상이 간과될 시 관절 불안정성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8,9) 회복 및 재활 기간이 지연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환자에서 발생 가능한 족부 및 족관절 동반 손상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환자의 수상 기전, 골절위치에 따른 분류, 나이와 같은 요인에 따라 발생되는 족부 및 족관절 동반 손상 빈도 및 유형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Go to :

고 찰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은 족부에서 발생하는 골절 중 가장 흔한 골절로 주로 제 I구역에서 간접 손상에 의해 많이 발생한다.
1,2,16) 족부 및 족관절의 내번이 발생할 시 제 5중족골과 연결을 이루고 있는 주변의 다른 골, 연부 조직뿐만 아니라 족부 및 족관절을 이루고 있는 다른 조직의 손상이 동반될 수 있다는 것은 기존 연구에 의해 알려진 바 있다.
17,18) 하지만 고에너지에 의해 발생하는 직접 손상의 경우에서도 족부 및 족관절 손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수상 기전에 따라 동반 손상 발생 빈도를 분석한 결과 직접 손상(82.5%, 40예 중 33예)에서 간접 손상(41.0%, 117예 중 48예)보다 동반 손상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Table 3).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의 동반 손상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으나 최근 리스프랑 손상 환자에 대한 동반 손상 연구에서 동반 손상 발생 빈도가 직접 손상에서 간접 손상보다 높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19) 이는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생각된다.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환자에서 수상 기전에 상관없이 족부 및 족관절 손상이 동반되므로 수상 시 동반 손상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저자들은 제 5중족골 환자에서 족부 및 족관절 동반 손상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상 기전,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의 위치, 나이에 따라 족부 및 족관절 동반 손상을 빈도와 유형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또한 이전 연구에서 족부 및 족관절 동반 손상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기에 본 연구에서는 족부 및 족관절 동반 손상을 골절과 인대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장 흔한 동반 손상은 종입방 관절 인대 손상으로 28예였다. 수상 기전에 의한 분류에서 종입방 관절 인대 손상은 직접 손상(21.4%, 6/28예)보다 간접 손상(78.6%, 22/28예)에서 많이 발생했다(p=0.010,
Table 4). 골절의 위치에 따라 동반 손상 유형을 비교한 결과, 종입방 관절 인대 손상이 제 I구역 골절에서 92.9% (26/28예)로 높은 빈도로 발생했다(p=0.036,
Table 5). 종입방 관절 인대가 Chopart 관절 외측부에 위치하고 있어 내번에 의해 주로 손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내번 손상 시 단비골근과 외측 족저근막에 의해 가장 흔한 제 I구역 견열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교적 주행 길이가 짧고 탄력이 적은 종입방 관절 인대의 손상이 동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종입방 관절 인대 손상은 족관절 외측 측부 인대손상과 증상이 유사하고, 비특이적 증상으로 간과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9) 적절하게 치료되지 않은 종입방 관절 인대 손상은 종입방 관절 불안정성과 같은 영구적인 손상을 남길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8) 특히 제 I구역에 발생한 골절 혹은 간접 손상에 의한 골절 환자에서 종입방 관절 인대의 손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이전 연구에 의하면 족부 내반 부하 방사선검사(varus stress test)와 MRI와 같은 영상의학적 검사와 더불어 리도카인 검사가 종입방 관절 인대 손상을 감별하는데 유용하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8,20)
리스프랑 손상은 직접 손상(68.2%, 22예 중 15예)에서 간접 손상(31.8%, 22예 중 7예)보다 많이 발생했다(p=0.002,
Table 4). 간접 손상에 의한 리스프랑 손상은 축성 힘(axial loading)과 전족부의 족저굴곡(plantar flexion)에 의한 수상 기전에 의해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간접 손상에 의해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을 유발하는 수상 기전인 내번과는 차이가 있다.
4-6,10,21) 이러한 수상 기전의 차이에 의해 직접 손상보다 간접 손상에 의한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에서 리스프랑 손상이 적게 동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리스프랑 손상과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의 동반 손상에 대한 연구는 없으나, 리스프랑 손상과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을 포함하는 외측 주(lateral column)의 동반 손상에 대한 연구에서 리스프랑 손상 환자에서 외측 주 손상 발생 빈도가 직접 손상(78.1%)에서 간접 손상(18.8%)보다 높다는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19) 따라서 간접 손상에 의해 많이 발생하는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과 달리 리스프랑 손상이 동반되기 위해서는 고에너지의 직접 손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골절의 위치에 따라 동반된 리스프랑 손상의 발생 빈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able 5).
기타 족부 손상은 총 28예로 수상기전에 따라 직접 손상이 19예, 간접 손상이 9예였다(
Table 4). 골절 위치에 따른 분류에서 제 I구역 골절에서 18예, 제 II구역에서 7예, 제 III구역에서 3예였다(
Table 5). 기타 족부 손상은 중족골, 거골, 종골, 입방골, 족지 등을 포함하였기에 제 5중족골 골절에서 족부의 여러 부위 동반 손상 발생하는 것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동반된 족관절 골절은 16예로 직접 손상에 의한 경우가 7예(43.8%), 간접 손상에 의한 경우가 9예(56.2%)였으며 수상 기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Table 4). Lawrence와 Botte 분류법에 따른 비교에서 동반된 족관절 골절은 제 I구역에서 12예(75.0%), 제 II구역에서 2예(12.5%), 제 III구역에서 2예(12.5%)였으며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위치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Table 5).
족관절 골절의 Lauge-Hansen 분류법 중 SER형이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11,12) 본 연구에서는 족관절 골절이 동반된 환자 중 SA형이 SER형보다 많이 발생했다(p=0.038,
Table 7). 이와 같이 일반적인 족관절 골절과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에서 동반된 족관절 골절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SER형은 회외 상태의 족부가 외회전되며 발생하는데, 이때 제 I구역 골절의 견열을 유발하는 단비골근과 외측 족저근막의 긴장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반면 SA형은 회외 상태의 족부가 내전되며 발생하므로 단비골근과 외측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긴장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제 5중족골 근위부에 견열 골절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 I구역 골절에서 동반되는 족관절 골절은 SA형이 SER형보다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제 II구역 골절은 제 4중족골에 대한 제 5중족골의 상대적인 내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6) 따라서 족부에 강한 내전력이 가해지면 족관절에서도 내전이 발생하게 되어 SA형 골절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Cao 등
18)의 연구에서도 61명의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환자 중 8명(13.1%)의 족관절 동반 골절이 있었으며 모두 SA형 골절로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동반된 족관절 인대 손상은 14예로 직접 손상에 의한 경우가 6예(42.9%), 간접 손상에 의한 경우가 8예(57.1%)였으며 수상 기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Table 4). Lawrence와 Botte 분류법에 따른 비교에서 동반된 족관절 인대 손상은 제 I구역에서 12예(85.8%), 제 II구역에서 1예(7.1%), 제 III구역에서 1예(7.1%)였으며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위치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Table 5).
본 연구의 족관절 인대 동반 손상에서는 외측 측부 인대 손상이 내측 측부 인대 손상보다 더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는데(p=0.018), 이는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의 대부분인 제 Ⅰ구역 골절이 내번 손상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Table 7).
4-7,10) 최근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61명의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환자 중 39명(63.9%)이 외측 측부 인대 손상이 동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8) 하지만 다른 연구에서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환자 중 족관절 동반 손상을 MRI로 확인한 결과, 39명 중 6명(15.4%)에서 측부 인대 손상이 동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이 외측 측부 인대보다 많이 동반된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17) 이에 저자들은 연구마다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에서 동반되는 측부 인대 손상의 비교 분석 결과가 차이가 나는 것에 대해 각 연구의 측부 인대 손상 환자군의 크기가 충분히 크지 않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후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문헌에서는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환자에서 빠른 운동범위 회복과 체중부하를 시키는 것이 좋은 임상적 결과가 있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으며,
22,23) Zenios 등
24)과 Wiener 등
25)의 연구에서 단하지 석고고정을 하는 것보다 탄성 보호대를 하여 일상으로 빨리 복귀하는 것이 더 좋은 예후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Vorlat 등
26)은 체중지지를 시행한 환자보다 체중지지를 시행하지 않은 환자에서 기능적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체중지지를 시행하지 않는 기간을 최소화하여야 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환자에서 높은 빈도로 발생할 수 있는 족부 및 족관절 동반 손상은 환자의 체중지지 시행 시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빠른 운동범위 회복 및 체중지지를 위해서 동반 손상을 감별하여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에 대해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보존적 치료가 가능했던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환자에 비해 비교적 강한 외력에 의해 수상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간접 손상, 직접 손상에서 모두 동반 손상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단순방사선 사진 및 CT 검사는 시행하였지만, MRI 검사는 일부 환자에게서만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 MRI를 시행하지 않은 환자군에서 연부조직 손상이 있으나 간과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문진 및 신체검사 단계에서 골절부위 외에 타 부위의 통증이나 압통을 호소하는지 충분히 검사하여 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직접 손상에 의해 발생한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의 경우에서는 정확한 기전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으며, 특히 보행자 교통사고의 경우 차량의 타박에 의한 직접 손상과 부딪힌 후 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접 손상의 가능성이 모두 존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 5중족골 근위부 골절 환자에서 동반되는 족부 및 족관절 손상의 진단에 대해서만 분석하였다. 동반 손상을 진단하여 치료를 받은 경우와 진단되지 않아 치료를 받지 못한 경우에 대해 비교 및 결과가 없는 상태로 추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Go t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