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List > Korean J Sports Med > v.40(4) > 1516080336

기능적 및 기계적 발목 불안정성 분류에 관한 설문지들의 신뢰성 및 타당도 검증

Abstract

Purpose

The study aimed (1)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elf-reported Korean version questionnaire for predicting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2) to suggest the accuracy of questionnaires for distinguishing mechanical ankle instability (MAI) and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 and (3) to set a cut-off value of classification for MAI and FAI.

Methods

This study involved 165 subjects (28.16±5.04 years) who consisted of 54 MAI (27 males, 27 females), and 111 FAI (72 males, 39 females). Five self-report questionnaires (Ankle Instability Instrument [AII],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IdFAI],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FAAM], and Foot and Ankle Disability Index [FADI]) for predicting CAI were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twice at 2 weeks intervals. Questionnaire score was analyzed to calculate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likelihood ratio, area under the curve, and cut-off values.

Results

All questionnaires including FADI-Sport (ICC=0.999), FAAM-Sport (ICC=0.992), FAAM-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CC=0.991), IdFAI (ICC=0.986), AII (ICC=0.984), CAIT (ICC=0.981), FADI-ADL (ICC=0.951)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ICC>0.75). Furthermore, AII (sensitivity=0.830, specificity=0.924), CAIT (sensitivity=0.915, specificity=0.915), IdFAI (sensitivity=0.809, specificity=0.924), FAAM-ADL (sensitivity=0.681, specificity=0.924), FAAM-Sport (sensitivity=0.851, specificity=0.932), FADI-Sport (sensitivity=0.915, specificity=0.924), and FADI-ADL (sensitivity=0.660, specificity=0.924) questionnaires had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cut-off values for MAI and FAI for each questionnaire were 6.5 AII, 20.01 CAIT, 18.52 IdFAI, 85.71% FAAM-ADL, 69.65% FAAM-Sport, 88.53% FADI-ADL, and 79.7% FADI-Sport.

Conclusion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identifying those with CAI may help to establish FAI and MAI selection criteria in sports, clinical, and laboratory settings.

서 론

전 세계적으로 하루에 1만 명이 급성 발목 염좌를 경험하며1, 미국에서는 연 2백만 건의 발목 염좌가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2. 발목 염좌는 발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로 발바닥이 안쪽을 바라보는 내번(inversion) 토크가 발목에서 과하게 발생하여 발목의 외측 인대 복합체가 손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발목 염좌로 인해 막대한 금전적 손실뿐만 아니라2, 이것을 경험한 사람 중 약 73% 정도가 재발률을 보인다고 보고된다1.
발목 염좌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이로 인해 휘청거리는 증상을 만성 발목 불안정성(chronic ankle instability, CAI)이라고 한다4,5. CAI는 신체조직적으로 문제가 없으나 감각 및 운동신경의 문제로 발목 불안정성이 야기되는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과 신체조직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기계적 발목 불안정성(mechanical ankle instability, MAI)으로 구분된다4. 여기서 발목 염좌 환자의 60%가 장기간 기능장애를 겪을 수 있고6, MAI를 포함한 CAI는 발목 관절 연골 퇴화 및 관절염을 야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7.
현재까지 발목 불안정성의 발생 기전 및 특성 파악을 목적으로 많은 선행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피험자 선정 기준, 나라별 검증 방법과 자가 보고식 설문 문화적 언어 이해도 차이가 달랐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외적 타당도가 부족한 실정이다8.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국제발목협회(International Ankle Consortium, IAC)에서 CAI 연구를 위한 피험자 선정 시, Ankle Instability Instrument (AII),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IdFAI),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FAAM) 등의 자가 보고식 설문지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5,9. FAI는 신체 조직 형태적인 문제보다는 신경근 문제로 발생하는 증상이기 때문에 신경근 운동(neuromuscular training)으로 예방할 수 있지만, MAI는 신체 조직 자체의 문제로 야기되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를 권장하고 있다10. 결과적으로 MAI와 FAI 환자는 각각 불안정성에 기여하는 요인을 완화할 수 있는 중재전략을 실시해야 하는데, 이 두 불안정성 요소를 명확하게 분류하기 위해서는 관절 이완성 검사 또는 부하방사선 촬영이 필수적이다4,11.
현재 사용되고 있는 IAC의 권고 사항은 정상 발목과 CAI를 분류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IAC가 제시한 설문은 자가보고 점수를 통해 간단하게 발목 불안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추후 병원 진료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IAC가 제시한 설문점수의 기준은 CAI의 유무를 판단하는 데 그친다. 따라서, 의·과학적 연구를 통해 FAI와 MAI를 구분할 수 있는 분별점(cut-off value)에 대한 기준을 설정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1) 발목 불안정성 대상자에게 CAI 판정을 예측하는 자가 보고식 한국어 버전 설문지를 사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2) MAI와 FAI의 구분에 있어 발목 불안정성 판정 설문지의 검사 정확성을 검증하며, (3) MAI와 FAI를 구분할 수 있는 분별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은 “(1)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을 것이다; (2) MAI와 FAI를 구분 시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는 높은 정확성을 보일 것이다; (3) MAI와 FAI를 구분할 수 있는 분별점이 제시될 것이다”라고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0대 성인 남녀 165명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교내 게시판과 S병원 정형외과를 방문하는 외래 환자 중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힌 피험자를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를 통해 CAI로 분류된 환자들은 병원에 방문하여 정형외과 의사에게 관절 이완성 검사를 받았다. 전방 당김 검사(anterior drawer test) 및 목말뼈 경사 검사(talar tilt test)를 실시한 결과 두 검사로부터 음성을 진단받은 환자는 FAI 그룹으로 정의되었으며, 1회 이상 발목 염좌로 병원 진료를 경험하고 평소 발목 불안정성이 있는 성인 111명(남 72명, 여 39명)로 구성되었다. 전방 당김 검사와 목말뼈 경사 검사에서 양성을 진단받은 환자는 부하 방사선 검사를 실시하였다. 전방 전위 부하 8.87 mm 및 외반 부하 8.93° 이상인 발목 불안정성 환자를 MAI 그룹으로 정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성인 54명(남 27명, 여 27명)이 본 연구에 모집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다음과 같은 대상자는 본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1) 하지의 근골격계 수술 경험이 있는 자, (2) 하지의 골절을 경험한 자, (3) 최근 3개월 이내 1일 이상 신체활동이 불가한 다른 부위에 근골격계 손상이 있는 자.

2. 발목 불안정성 검증 설문지

1) AII (Ankle Instability Instrument): IAC에서 권고하고5, 현재의 발목 불안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도구로서12, 총 12문항으로 11점 만점에서 5점 이상이면 발목 불안정성으로 정의하였다(Supplementary Material 1).
2) CAIT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IAC에서 권고하고5, 현재의 발목 불안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도구로서13, 총 9문항으로 30점 만점에서 24점 이하이면 발목 불안정성으로 정의하였다(Supplementary Material 2).
3) IdFAI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IAC에서 권고하고5, 현재의 발목 불안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도구로서14, 총 10문항으로 37점 만점에서 11점 이상이면 발목 불안정성으로 정의하였다(Supplementary Material 3).
4) FAAM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IAC에서 권고하고5, 지난 1주일간 발 및 발목 기능 수준을 판단하는 도구로서15, 총 29문항, 일상생활 21문항(84점 만점)과 스포츠활동 8문항(32점 만점)으로, 각 척도 총점을 각 척도 만점으로 나눈 것을 100으로 곱하여 백분율 값으로 환산하여 확인한다(Supplementary Material 4). 일상생활(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척도(FAAM-ADL) 90%, 스포츠활동 척도(FAAM-Sport) 80% 이하를 만성 발 및 발목 불안정성으로 구분한다.
5) FADI (Foot and Ankle Disability Index): 지난 1주일간 발목 불안정성 여부를 판단하는 도구로서16, 일상생활(FADI-ADL) 26문항(104점 만점), 스포츠활동(FADI-Sport) 8문항(32점 만점)으로, 각 척도 총점을 각 척도 만점으로 나눈 것을 100으로 곱하여 백분율 값으로 환산하여 확인한다(Supplementary Material 5). 일상생활 척도 89%, 스포츠활동 척도 79% 이하를 만성 발 및 발목 불안정성으로 구분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 번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진 발목 불안정성 판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17-19.

3. 연구 설계 및 자료 수집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를 통해 승인받은 연구 내용과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No. 7001988-202009-HR-190-04). 165명 피험자를 대상으로 발목 불안정성 검증 설문지 5종을 2주 간격으로 2회씩 모두 측정하였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통계 처리는 IBM SPSS version 25.0 (IBM Corp.,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MAI 그룹과 FAI 그룹 간 인구통계적 변인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수행하였다. AII, CAIT, IdFAI, FAAM-ADL, FAAM-Sport, FADI-ADL, FADI-Sport 설문 점수는 각 설문지 환산법에 근거하여 피험자별 점수를 산출하였다. 각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의 신뢰도는 검사-재검사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와 측정 표준오차(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SEM)로 확인하였다. 설문지의 검사-재검사 ICC 값은 매우 높음(excellent, ≥0.75), 보통에서 높음(fair-good, 0.75>ICC≥0.40), 낮음(poor, <0.40) 등 세 수준으로 분류하였다.
MAI 분류에 대한 설문지의 타당도는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ROC) 커브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민감도(sensitivity), 특이도(specificity), 양성 검정 우도비(positive likelihood ratio, PLR)와 음성 검정 우도비(negative likelihood ratio, NLR)를 산출하였다. PLR는 강함(strong, ≤10), 중간(moderate, 5≤PLR<10), 작음(small, 2≤PLR<5), 매우 작음(very small, 1≤PLR<2) 수준으로 분류하였고, NLR는 강함(NLR≤0.1), 중간(0.1≤NLR<0.2), 작음(0.2≤NLR<0.5), 매우 작음(0.5≤NLR<1.0)으로 제시하였다. 커브 아래 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통해 설문지를 통한 발목 불안정성 진단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cut-off value 산출을 통해 MAI 그룹과 FAI 그룹에 관한 분별점을 제시하였다20. AUC는 높은 정확도(high, AUC>0.9) 중간 정확도(moderate, 0.7≤AUC<0.9), 낮은 정확도(less, 0.5≤AUC<0.7), 유용하지 못함(AUC<0.5)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통계적 검증의 유의 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 과

MAI 그룹과 FAI 그룹 간 인구통계적 변인을 비교한 결과, 나이(t=–0.839, p=0.402), 신장(t=–1.844, p=0.067), 체중(t=–1.208, p=0.229)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1.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

1)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의 신뢰도

ICC 분석을 통해 발목 불안정성 판정 설문지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한 결과, FADI-Sport (ICC, 0.999), FAAM-Sport (ICC, 0.992), FAAM-ADL (ICC, 0.991), IdFAI (ICC, 0.986), AII (ICC, 0.984), CAIT (ICC, 0.981), FADI-ADL (ICC, 0.951) 모두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ICC, >0.75).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의 검사-재검사 측정의 SEM은 Table 2와 같다.

2)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를 활용한 MAI 판정 타당도

ROC 분석을 통해 MAI 판정 시 발목 불안정성의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민감도는 CAIT (sensitivity [SENS], 0.915)와 FADI-Sport (SENS, 0.915) 설문지가 가장 높았으며 FAAM-Sport (SENS, 0.851), AII (SENS, 0.830), IdFAI (SENS, 0.809), FAAM-ADL (SENS, 0.681), FADI-ADL (SENS, 0.660) 순으로 높았다. 특이도는 FAAM-Sport (specificity [SPEC], 0.932) 설문지가 가장 높았으며, FADI-Sport (SPEC, 0.924), AII (SPEC, 0.924), IdFAI-Sport (SPEC, 0.924), FAAM-ADL (SPEC, 0.924), FADI-ADL (SPEC, 0.924) 설문지가 비슷한 수준을 보여주었고 CAIT (SPEC, 0.915)가 가장 낮았다. PLR의 경우 FAAM-Sport, FADI-Sport, AII, CAIT, IdFAI 설문지가 강함 등급으로 나타났으며(PLR>10), FAAM-ADL, FADI-ADL 설문지는 중간 등급을 보였다(10>PLR>5). NLR 분석 결과, FADI-Sport, CAIT 설문지가 강함 등급으로 나타났으며(NLR<0.1), FAAM-Sport, AII 설문지가 중간 등급(0.2>NLR>0.1), 그리고 IdFAI, FAAM-ADL, FADI-ADL은 작음 등급(0.5>NLR>0.2)을 보였다. CAI를 예측하는 설문지로 타당도를 확인하는 민감도, 특이도, PLR 및 NLR은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p<0.05), 설문지별 타당도 결과는 Table 3과 같다.

2. MAI 판정 시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의 검사 정확도

ROC 분석을 통해 산출한 AUC 값으로 MAI 판정 시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의 검사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AII (AUC, 0.955), CAIT (AUC, 0.951), IdFAI (AUC, 0.940), FADI-ADL (AUC, 0.932), FADI-Sport (AUC, 0.929), FAAM-Sport (AUC, 0.925), FAAM-ADL (AUC, 0.921) 순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모두 높은 정확도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모든 검사 정확도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결과는 Table 3과 같다.

3.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의 MAI와 FAI 분별점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별 MAI와 FAI의 분별점 범위를 산출한 결과는 Table 3와 같다. 첫째, AII 설문지의 분별점은 6.5로 나타나, 6.5 이상은 MAI로, 미만 점수를 받은 발목 불안정성 환자는 FAI로 고려할 수 있다. 둘째, CAIT 설문지의 분별점은 20이었으며, 20점 이하인 경우 MAI, 초과인 경우 FAI로 고려할 수 있다. 셋째, IdFAI 설문지의 분별점은 18.5이며, 18.5 이상인 경우 MAI 미만인 경우 FAI로 고려할 수 있다. 넷째, FAAM 설문지의 분별점은 FAAM-ADL가 85.7%, FAAM-Sport가 69.7%로 나타났다. FAAM-ADL가 85.7% 이하이고 FAAM-Sport가 69.7% 이하인 경우 MAI로, FAAM 설문의 점수가 각각 85.7%, 69.7%를 초과한 경우 FAI로 고려할 수 있다. 다섯째, FADI 설문지의 분별점은 FADI-ADL가 88.5%, FADI-Sport가 79.7%으로 나타났다. FADI-ADL가 88.5% 이하, FADI-Sport가 79.7% 이하인 경우 MAI로, 초과인 경우 FAI로 고려할 수 있다.

고 찰

본 연구는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사람들에게 발목 불안정성 자가 보고식 한국어 버전 설문지를 사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MAI와 FAI의 구분에서 발목 불안정성 판정 설문지의 검사 정확성과 분별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II, CAIT, IdFAI, FAAM, FADI 등 5종의 발목 불안정성 판정 설문지는 모두 MAI, FAI 그룹을 대상으로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여주었다; (2) 발목 불안정성 판정 설문지는 MAI와 FAI 구분 시 높은 검사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3) 5종 설문지 모두 MAI와 FAI를 구분할 수 있는 분별점이 제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IAC5와 선행 연구21에서 권장하고 임상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5종의 발목 불안정성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발목 불안정성인 사람들에게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또한, IAC 권고안에 따르면, AII는 ‘예’ 문항 5개 이상, CAIT 24점 이하, FAAM-ADL과 -Sport 항목 각각 90%와 80% 미만을 CAI로 정의하고 있어, CAI와 정상 발목을 구분 짓는 점수와 본 연구에서 도출한 MAI와 FAI를 분별할 수 있는 분별점은 다르게 나타났다5. 따라서 스포츠, 임상 현장 그리고 실험실에서 실제로 5종의 설문지를 사용할 경우 기계적 및 FAI를 식별하는 기준과 특성을 다음과 같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
AII 설문지는 FAI 환자를 식별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IAC에서 권장하는 설문 도구다. Docherty 등12의 연구에서 미국인 대학생 101명 대상자(남자 29명, 여자 72명, 발목 부상 병력 73명, 건강한 자 28명, 20.7±2.7세)에게 영어 버전을 실시한 결과 FAI 판정 기준을 5점 이상으로 권장하였다. 또한 Locquet 등22의 연구에 의하면 프랑스인 182명(남자 62명, 여자 120명, 발목 부상 병력 91명, 건강한 자 91명, 21–27세)에게 프랑스어 버전을 적용한 결과 기준점 5점이 FAI를 구분하는 cut-off 점수로 이에 관한 민감도, 특이도 모두 100%로 나타났고 높은 신뢰도(ICC, 0.983; 95% confidence interval [CI], 0.977–0.987)로 확인되었다. 앞서 언급한 선행 연구들은 발목 불안정성 판별 설문지를 CAI 또는 FAI에 대한 분별만을 위한 도구로 사용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한 FAI와 MAI를 구분하는 분별점은 발목 불안정성 환자들 중 구조적 불안정성 특성을 함께 고려한다는 점에 있어 스포츠 현장에서 의미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발목 불안정성 피험자들에게 AII를 적용하여 ROC 분석 임계값과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MAI의 분별점은 6.5점 이상, 6.4 이하인 경우 FAI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AII 설문지는 민감도 83.0%, 특이도 92.4%로 높은 타당도를 보였으므로 스포츠 및 임상 현장에서 MAI를 분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AII 한국어 버전의 MAI와 발목 정상군 그리고 FAI와 발목 정상군을 각각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발목 불안정성 설문지가 정상군들 속에서 FAI와 MAI를 분별할 수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CAIT 설문지는 FAI 환자를 식별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IAC에서 권장하는 설문 도구다. 본 연구에서 발목 불안정성 대상자에게 CAIT 한국어 버전을 적용한 결과 MAI를 구분하는 기준점을 20점 이하, FAI는 20–24점의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결과와 유사하게 Ko 등18의 연구에서 한국 국가대표 선수 168명(남자 106명, 여자 62명, 발목 부상 병력 61명, 건강한 자 107명, 20.3±1.1세)에게 CAIT 한국어 버전을 적용하여 0.95–0.96의 ICC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FAI를 25점 이하로 구분하였다. 또한, Geerinck 등8 최신 연구에 의하면 프랑스인 102명(남자 32명, 여자 70명, 발목 부상 병력 51명, 건강한 자 51명, 20–25세)에게 CAIT 프랑스어 버전을 적용하여 cut-off 23점 이하를 FAI으로 보고했고, 이에 관한 민감도 92.2%, 특이도 100%이며, 높은 신뢰도(ICC, 0.960; 95% CI, 0.942–0.973)를 보였다. 하지만 Hiller 등13의 CAIT 초기 연구에서 미국인 236명(발목 부상 병력 201명, 건강한 자 35명)에게 CAIT 영어 버전을 적용한 결과 27.5점 이하를 FAI으로 정의하였고(SENS, 82.9%; SPEC, 74.7%; PLR, 3.27; NLR, 0.23), IAC와 후속 연구에서 FAI 판정 기준을 24–27점 이하로 권장하였다15. 이와 같은 선행 연구의 차이점은 피험자 선별 방법 및 나라별 문화와 검증 방법의 다양성 때문으로 생각되며, 향후 스포츠 및 임상 현장에서 활용하면서 CAIT 한국어 버전을 사용하여 발목 정상자가 함께 있는 집단에서 MAI와 FAI를 분별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dFAI 설문지는 FAI 환자를 식별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IAC에서 권장하는 설문 도구다. Simon 등14의 연구에 의하면 미국인 278명(남자 125명, 여자 153명, 발목 부상 병력 211명, 건강한 자 67명, 19.8±1.4세)에게 IdFAI 영어 버전을 적용하여 기능성 발목 불안정성의 cut-off를 11점 이상(ROC, 0.88–0.94; ICC, 0.92–0.98)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 발목 불안정성 대상자에게 IdFAI 한국어 버전을 적용한 결과 MAI를 구분하는 기준점을 18.5점 이상으로 하였고, FAI는 11–18.5점을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Ko 등19의 연구에서 한국인 181명 올림픽 종목 선수(남자 118명, 여자 63명, 발목 부상 병력 73명, 건강한 자 108명, 20.3±1.1세)에게 IdFAI 한국어 버전을 적용하여 높은 신뢰도(ICC, 0.98)를 보였고, 기능성 발목 불안정성을 식별하는 cut-off는 10점 이상(SENS, 80%; SPEC, 96%; PLR, 21.7; NLR, 0.20)으로 나타났다. 또한 Martinez 등9의 연구에서 브라질인 50명(남자 14명, 여자 36명, 23.4±2.9세)에게 포르투갈어 버전을 적용하여 기능성 발목 불안정성 cut-off를 11점 이상으로 보고했고, 높은 신뢰도(ICC, 0.92–0.99)를 보였다. 계속해서 IdFAI 한국어 버전의 임상 연구를 연령대별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FAAM 설문지는 만성 발 및 발목 불안정성 환자를 식별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IAC에서 만성 발 및 발목 불안정성을 식별하는 데 권장하는 설문 도구다15. Carcia 등23의 초기 연구에 의하면 미국인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2부 선수 30명(남자 16명, 여자 14명, 발목 부상 병력 15명, 건강한 자 15명, 20.4±1.4세)에게 영어 버전을 적용한 결과 ADK 문항에서 88% 이하, Sport 문항에서 76% 이하를 만성 발 및 발목 불안정성으로 보고했지만, IAC에서 Caricia 등23의 연구를 기반으로 의논한 결과 ADL 척도 90%, Sport 척도 80% 이하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IAC에 참가한 여러 전문가들의 고견으로 결정된 사항이라고 생각한다.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발목 불안정성 대상자에게 FAAM 한국어 버전을 적용하여 MAI를 구분하는 분별점은 FAAM-ADL가 85.7% 이하, FAAM-Sport가 69.7% 이하를, FAI 분별점은 FAAM-ADL가 85.7%–90%, FAAM-Sport가 69.7%–80%를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Nauck 등24의 연구에서 독일인 109명(남자 55명, 여자 54명, MAI 환자 24명, FAI 환자 17명, 건강한 자 68명, 16–39세)에게 독일어 버전을 적용한 결과, ADL 척도 점수는 MAI 환자가 69.3%, FAI 환자가 91.6%, 건강한 사람은 99%를 보였고, Sport 척도 점수는 MAI 환자가 34.1%, FAI 환자가 75.4%, 건강한 사람은 93.5%–96.2%를 보였다. 하지만 Anaforoglu Kulunkoglu와 Celik25의 최신 연구에서 터키인 316명(남자 126명, 여자 190명, 만성 발목 부상 병력 316명, 33.4±11.1세)에게 터키어 버전을 적용한 결과, ADL 척도 점수 평균이 79.2% (ICC, 0.97), Sport 척도 점수 67.2% (ICC, 0.94)를 보이며 본 연구와 다른 범위를 보고하였다. 향후 FAAM 설문지에 관해 전문적인 한국어 버전 번역, 문화적 적응 및 검증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임상 연구를 토대로 분별 기준 범위가 변경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FADI 설문지는 발 및 발목 장애 환자를 식별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IAC에서 권장하는 설문지는 아니지만 임상 현장과 실험실에서 FAAM과 유사하게 사용되는 설문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 FADI 설문지의 MAI와 FAI의 분별점은 ADL 88.5%와 Sport 79.7% 이하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와 유사하게 Hale과 Hertel16의 연구에서 미국인 50명(남자 21명, 여자 29명, 만성 발목 부상 병력 31명, 건강한 자 19명, 21.5±3.6세)에게 영어 버전 FADI를 적용한 결과, 평균점수 ADL 척도는 89.6%, Sport 척도는 79.5%로 나타났고 만성 발목의 기능적 한계를 식별하는 데 신뢰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Wikstrom 등21의 연구에서 미국인 48명(남자 24명, 여자 24명, 만성 발목 부상 병력 24명, 발목 염좌 경험이 있지만 증상이 없는 자 24명, 19–25세)에게 영어 버전 FADI를 적용한 결과, 발목 염좌 경험이 있지만 증상이 없는 자의 평균점수 ADL 척도는 98.7%, Sport 척도는 98.4%로 나타났고, 만성 발목 부상 병력이 있는 자의 평균점수 ADL 척도는 95.2%, Sport 척도는 92.9%로 나타났다. 따라서 Wikstrom 등21의 연구가 본 연구와 유사한 피험자 선정 기준으로 진행하였기에 본 연구자는 분별점 기준 범위의 비교 문헌으로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여러 선행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한국어 버전의 FADI 설문지는 전문 번역, 문화적 적응 및 검증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향후 분별 기준 범위가 변경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발목 불안정성 환자들의 MAI와 FAI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설문지를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IAC에서 권장하고 한국어 전문 번역, 문화적 적응 및 검증 연구를 보고한 CAIT, IdFAI 설문지도 있지만15,18, AII, FAAM과 FADI는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제한점이 있다. 향후 자가 보고식 본 설문지를 전문 한국어 버전으로 최신 업데이트하여 임상 현장과 실험실에서 연령별, 성별, 체력 능력별로 다양하게 표본을 수집하고 보다 정확한 MAI와 FAI를 식별할 수 있는 검증 연구를 계속해서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수집된 발목 불안정성 환자의 경우 발목 염좌 병력과 관련된 손상 후 유병기간, 발목의 흔들거림(giving-way) 등의 정보를 수집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기능적 요소와 함께 MAI 환자 모집 시 손상 당시와 회복 기간 중 나타난 정보를 함께 수집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5개의 한국어 자가 발목 설문지를 사용하여 분류한 CAI 환자에게서 기능적 불안정 요소만을 가질 때보다 기계적 불안정성을 함께 보일 때 주관적 발목 기능 점수가 더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AI와 대조군을 분별하는 점수와 MAI와 FAI를 구분 짓는 분별점 간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발목 불안정 환자를 대상으로 접근이 용이한 자가 발목 설문지를 통해 FAI와 MAI를 구분하고, FAI로 분류될 경우 기능적 재활운동을 시행해 볼 수 있을 것이며 MAI 집단으로 분류될 경우 병원을 방문하여 기계적 불안정성에 대한 치료가 필요한지 확인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CAI가 아닌 정상군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정상군도 포함한 분석이 수행된다면 보다 정확한 분별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Supplementary Materials

Supplementary Materials can be found at https://doi.org/10.5763/kjsm.2022.40.4.226 .

Acknowledgments

Authors thanks to the participants for their inclusion in our study and all our colleagues.

Not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C. Data curation: BHK. Formal analysis: IL. Project administration: HGJ. Writing–original draft: HSJ. Writing–review & editing: SYL.

REFERENCES

1. Yeung MS, Chan KM, So CH, Yuan WY. 1994; An epidemiological survey on ankle sprain. Br J Sports Med. 28:112–6. DOI: 10.1136/bjsm.28.2.112. PMID: 7921910. PMCID: PMC1332043.
crossref
2. Waterman BR, Owens BD, Davey S, Zacchilli MA, Belmont PJ. 2010; The epidemiology of ankle sprains in the United States. J Bone Joint Surg Am. 92:2279–84. DOI: 10.2106/JBJS.I.01537. PMID: 20926721.
crossref
3. Wright IC, Neptune RR, van den Bogert AJ, Nigg BM. 2000; The influence of foot positioning on ankle sprains. J Biomech. 33:513–9. DOI: 10.1016/S0021-9290(99)00218-3. PMID: 10708771.
crossref
4. Hertel J. 2002; Functional anatomy, pathomechanics, and pathophysiology of lateral ankle instability. J Athl Train. 37:364–75.
5. Gribble PA, Delahunt E, Bleakley CM, et al. 2014; Selection criteria for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in controlled research: a position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Ankle Consortium. J Athl Train. 49:121–7. DOI: 10.4085/1062-6050-49.1.14. PMID: 24377963. PMCID: PMC3917288.
crossref
6. Gerber JP, Williams GN, Scoville CR, Arciero RA, Taylor DC. 1998; Persistent disability associated with ankle sprains: a prospective examination of an athletic population. Foot Ankle Int. 19:653–60. DOI: 10.1177/107110079801901002. PMID: 9801078.
crossref
7. Gross P, Marti B. 1999; Risk of degenerative ankle joint disease in volleyball players: study of former elite athletes. Int J Sports Med. 20:58–63. DOI: 10.1055/s-2007-971094. PMID: 10090465.
crossref
8. Geerinck A, Beaudart C, Salvan Q, et al. 2020; French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an instrument for measuring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Surg. 26:391–7. DOI: 10.1016/j.fas.2019.05.002. PMID: 31118138.
crossref
9. Martinez BR, Lopes Sauers AD, Ferreira CL, et al. 2018; Translation,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measurement properties of the Brazilian version of the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IdFAI) questionnaire. Phys Ther Sport. 29:1–8. DOI: 10.1016/j.ptsp.2017.09.004. PMID: 29149639.
crossref
10. Baumhauer JF, O'Brien T. 2002; Surgical considerations in the treatment of ankle instability. J Athl Train. 37:458–62.
11. Wenning M, Gehring D, Lange T, et al. 2021; Clinical evaluation of manual stress testing, stress ultrasound and 3D stress MRI in chronic mechanical ankle instability. BMC Musculoskelet Disord. 22:198. DOI: 10.1186/s12891-021-03998-z. PMID: 33596891. PMCID: PMC7890850.
crossref
12. Docherty CL, Gansneder BM, Arnold BL, Hurwitz SR. 2006;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the ankle instability instrument. J Athl Train. 41:154–8.
13. Hiller CE, Refshauge KM, Bundy AC, Herbert RD, Kilbreath SL. 2006;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a repor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ing. Arch Phys Med Rehabil. 87:1235–41. DOI: 10.1016/j.apmr.2006.05.022. PMID: 16935061.
crossref
14. Simon J, Donahue M, Docherty C. 2012; Development of the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IdFAI). Foot Ankle Int. 33:755–63. DOI: 10.3113/FAI.2012.0755. PMID: 22995264.
15. Martin RL, Irrgang JJ, Burdett RG, Conti SF, Van Swearingen JM. 2005; Evidence of validity for the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FAAM). Foot Ankle Int. 26:968–83. DOI: 10.1177/107110070502601113. PMID: 16309613.
16. Hale SA, Hertel J. 2005; Reliability and sensitivity of the foot and ankle disability index in subjec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Athl Train. 40:35–40.
17. Ha SM. 2015. Reliability & validity of CAI assessment questionary: Korean version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Seoul:
18. Ko J, Rosen AB, Brown CN. 2015;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Int J Sports Phys Ther. 10:1007–14.
19. Ko J, Rosen AB, Brown CN. 2018; Cross-cultural adaptation, reliability,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dentification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IdFAI). Disabil Rehabil. 40:3185–90. DOI: 10.1080/09638288.2017.1375032. PMID: 28899201.
crossref
20. Swets JA. 1988; Measuring the accuracy of diagnostic systems. Science. 240:1285–93. DOI: 10.1126/science.3287615. PMID: 3287615.
crossref
21. Wikstrom EA, Tillman MD, Chmielewski TL, Cauraugh JH, Naugle KE, Borsa PA. 2012; Discriminating between copers and people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Athl Train. 47:136–42. DOI: 10.4085/1062-6050-47.2.136. PMID: 22488278. PMCID: PMC3418124.
crossref
22. Locquet M, Benhotman B, Bornheim S, et al. 2021; The "Ankle Instability Instrument":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in French. Foot Ankle Surg. 27:70–6. DOI: 10.1016/j.fas.2020.02.006. PMID: 32088168.
crossref
23. Carcia CR, Martin RL, Drouin JM. 2008; Validity of the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in athlete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Athl Train. 43:179–83. DOI: 10.4085/1062-6050-43.2.179. PMID: 18345343. PMCID: PMC2267323.
crossref
24. Nauck T, Lohrer H. 2011; Translation, cross-cultural adaption and validation of the German version of the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for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Br J Sports Med. 45:785–90. DOI: 10.1136/bjsm.2009.067637. PMID: 19955163.
crossref
25. Anaforoglu Kulunkoglu B, Celik D. 201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urkish version of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for patients with chronic ankle disability. J Foot Ankle Surg. 58:38–41. DOI: 10.1053/j.jfas.2018.07.007. PMID: 30448187.
crossref

Table 1
Demographics of participants
Variable MAI FAI Total
No. of subject 54 111 165
Sex, male:female 27:27 72:39 99:66
Age (yr) 27.69±4.69 28.39±5.21 28.16±5.04
Height (cm) 169.04±7.98 170.82±9.31 170.24±8.91
Weight (kg) 64.56±11.52 68.14±11.78 66.96±11.78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or mean±standard deviation.

MAI: mechanical ankle instability, FAI: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Table 2
Reliability statistics of self-reported ankle instability questionnaires
Questionnaire ICC SEM
AII 0.984 0.400
CAIT 0.981 0.854
IdFAI 0.986 1.150
FAAM
FAAM-ADL 0.991 0.900
FAAM-Sport 0.992 1.930
FADI
FADI-ADL 0.951 1.980
FADI-Sport 0.999 0.930

ICC: intraclass correlation, SEM: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AII: Ankle Instability Instrument, CAIT: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IdFAI: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AM: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ADI: Foot and Ankle Disability Index.

Table 3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statistics for prediction of mechanical ankle instability using ankle instability questionnaires
Questionnaires Cut-off value Sensitivity Specificity PLR NLR AUC p-value
AII 6.50 0.830 0.924 10.92 0.18 0.955 <0.001
CAIT 20.01 0.915 0.915 10.76 0.09 0.951 <0.001
IdFAI 18.52 0.809 0.924 10.64 0.21 0.940 <0.001
FAAM
FAAM-ADL 85.71 0.681 0.924 8.96 0.35 0.921 <0.001
FAAM-Sport 69.65 0.851 0.932 12.51 0.16 0.925 <0.001
FADI
FADI-ADL 88.53 0.660 0.924 8.68 0.37 0.932 <0.001
FADI-Sport 79.70 0.915 0.924 12.04 0.09 0.929 <0.001

PLR: positive likelihood ratio, NLR: negative likelihood ratio, AUC: area under the curve, AII: Ankle Instability Instrument, CAIT: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IdFAI: Identification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AM: Foot and Ankle Ability Measure,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ADI: Foot and Ankle Disability Index.

TOOLS
Similar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