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별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분위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
Table 2), 10% 분위 여성노인의 경우 소득수준이 ‘상’인 경우(B=0.06,
p=.045),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경우(B=0.04,
p=.010), 걷기 일수가 많을수록(B=0.01,
p<.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B=0.22,
p<.001)와 보통인 경우(B=0.19,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이 초등학교 졸업 이하인 경우(B=–0.05,
p=.016), 동반질환 수가 많을수록(B=–0.01,
p=.021),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느끼는 경우(B=–0.12,
p=.002) 및 활동제한이 있는 경우(B=–0.19,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5% 분위의 여성노인은 걷기 일수가 많을수록(B=0.01,
p<.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B=0.14,
p<.001)와 보통인 경우(B=0.11,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반질환 수가 많을수록(B=–0.02,
p<.001) 및 활동제한이 있는 경우(B=–0.12,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0% 분위의 여성노인은 65–74세인 경우(B=0.03,
p=.007),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경우(B=0.02,
p=.043), 걷기 일수가 많을수록(B=0.01,
p=.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B=0.10,
p<.001)와 보통인 경우(B=0.08,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반질환 수가 많을수록(B=–0.01,
p<.001),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느끼는 경우(B=–0.10,
p<.001) 및 활동제한이 있는 경우(B=–0.10,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75% 분위의 여성노인은 걷기 일수가 많을수록(B=0.01,
p<.001),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B=0.09,
p<.001)와 보통인 경우(B=0.09,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하는 경우(B=–0.01,
p=.008), 동반질환 수가 많을수록(B=–0.01,
p<.001),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느끼는 경우(B=–0.04,
p<.001) 및 활동제한이 있는 경우(B=–0.09,
p<.001)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Factors associated with different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N=868)
Variable |
Categories |
B (p)
|
0.1 |
0.25 |
0.5 |
0.75 |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
Age*
|
–0.00 (.888) |
0.02 (.188) |
0.03 (.007) |
0.00 (.108) |
|
Education |
|
|
|
|
|
Elementary or below |
–0.05 (.016) |
–0.02 (.335) |
0.00 (.870) |
0.00 (.620) |
|
Middle school |
–0.02 (.349) |
0.01 (.666) |
0.01 (.457) |
0.00 (.051) |
|
Economic status*
|
|
|
|
|
|
Very high |
0.06 (.045) |
0.05 (.072) |
0.01 (.617) |
0.00 (.505) |
|
High |
0.01 (.818) |
0.02 (.250) |
–0.00 (.886) |
0.00 (.947) |
|
Low |
0.01 (.685) |
0.01 (.539) |
0.01 (.423) |
0.00 (.116) |
|
Economic activity*
|
0.04 (.010) |
0.01 (.338) |
0.02 (.043) |
0.00 (.195) |
|
Smoking*
|
–0.00 (.955) |
0.06 (.136) |
–0.00 (.982) |
–0.01 (.008) |
|
Drinking*
|
0.01 (.714) |
0.01 (.445) |
–0.01 (.633) |
–0.00 (.407) |
|
Walking days per week |
0.01 (<.001) |
0.01 (<.001) |
0.01 (.001) |
0.01 (<.001) |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
Living alone*
|
–0.03 (.120) |
0.01 (.682) |
–0.02 (.082) |
–0.00 (.105) |
Biological and physiological variables |
Number of diseases |
–0.01 (.021) |
–0.02 (<.001) |
–0.01 (<.001) |
–0.01 (<.001) |
Symptom status |
Stress*
|
|
|
|
|
|
Very high |
–0.12 (.002) |
–0.06 (.061) |
–0.10 (<.001) |
–0.04 (<.001) |
|
High |
–0.02 (.494) |
–0.01 (.619) |
–0.03 (.070) |
–0.00 (.785) |
|
Low |
0.00 (.843) |
–0.00 (.867) |
0.01 (.643) |
–0.00 (.281) |
Functional status |
Activity limitation*
|
–0.19 (<.001) |
–0.12 (<.001) |
–0.10 (<.001) |
–0.09 (<.001) |
General health perceptions |
Perceived health status*
|
|
|
|
|
|
Good |
0.22 (<.001) |
0.14 (<.001) |
0.10 (<.001) |
0.09 (<.001) |
|
Fair |
0.19 (<.001) |
0.11 (<.001) |
0.08 (<.001) |
0.09 (<.001) |
Pseudo R-square |
|
.33 |
.24 |
.21 |
.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