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List > J Korean Acad Oral Health > v.46(3) > 1516080036

치위생과 학생의 성인애착 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eek positive measures for students in a dental hygiene program to adapt well to college life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ir adult attachment styles and social support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 to August 30, 2021. It was conducted with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consideration of the dropout rate, the study recruited 200 participan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2.0.

Results

Regarding correlations with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analysis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s for adult attachment styles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een in the following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to college life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_dummy 2, satisfaction with major_dummy 1, and adult attachment styles. The factor with the strongest effect (35.7%)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adult attachment styles.

Conclusions

Factors affecting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found to affect college life adaptation as college life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and adult attachment type increased. System support is needed to develop a counseling program tailored to college life by adult attachment type to increase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서 론

대학생 시기는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가는 과도기로 심리적, 경제적인 자립 등 사회생활 준비하는 시기로 폭 넓은 새로운 환경의 대학생활 적응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는 추후 진로를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대학생활적응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1).
대인관계의 어려움은 단순히 개인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닌 학교 구성원으로서의 생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특히, 초기 성인기로 진입하는 대학생들은 부모뿐만 아니라 친구, 애인과 같은 주요 타인들과의 관계형성 경험이 학교생활을 적응하는데 영향을 준다2). 뿐만 아니라 학점이수와 시간관리에 대학생들이 어려움을 나타냈고, 진로 및 취업과 관련된 고민 등이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3).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다른 사람과 친밀한 관계 형성이 필요하다. 특히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 중 하나인 성인애착은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 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4). 대학생들의 애착과 대인관계문제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애착형성은 유아기 때부터 형성되는데 차후 성인애착의 유형이 대학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적으로 성인애착이 된 대학생의 경우 회피형, 양가형에 비해 대학생활 적응이 높게 나타났고5) 친밀수준이 높을수록 학업과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사회적 지지는 개인의 삶에서 긍정적인 사고와 행동을 시작하고 나아가 유지할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치고 대학생들에게는 대학에서 요구하는 과업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데 중요한 변수이다7,8). 또한, 주변사람들로부터 사랑과 존중받으며 사회관계에서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믿음을 갖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9).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가 높은 학생이 추후 진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고7), 높은 사회적 지지는 학업 스트레스도 감소시켜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10-12) 추후 사회생활과 직결된 직업정체성을 높여 성공적인 사회생활로 이어진다12,13).
이는 대학생활에 적응하지 못함은 앞으로 개인의 삶에 대하여 불안감을 느끼게 할 뿐 아니라 성인으로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데도 어려움을 주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14). 대학생활 적응에 성인애착유형과 사회적 지지는 밀접한 영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각각 변수에 따른 연구만 있고 치위생과 학생의 성인애착 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련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의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대학생활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자료 수집은 2021년 6월 1일에 시작하여 8월 30일까지 경기∙충청∙강원∙전라 지역 치위생학과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의 표본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법으로 작성하였다. 대상자 수는 G*Power 3.1.9.4 프로그램을 사용해 유의수준 0.05, 효과크기 0.15, 검정력 0.95를 하였을 때, 최소 표본크기는 172명이고, 탈락률을 고려하여 2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전보건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승인(IRB No: 1041490-20210527-HR-002) 후 시행하였다.

2. 연구도구

일반적 특성 8문항, 성인애착 유형 36문항, 대학생활 적응 9문항, 사회적 지지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성인애착은 Brennan 등15)이 개발한 자가보고형 측정도구인 ECR (Experiences of Close Relationships)의 성인애착 도구를 황16)이 번역하고 오와 성17)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용한 도구로 하위요인은 회피차원 18문항, 불안차원 1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Baker와 Siryk18)이 개발한 대학생활적응도검사를 기초로 하여 수정한 함19)의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학업적 적응, 정서적 적응 2개의 하위요인 총 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사회적 지지는 Zimet 등20)의 사회적지지 도구를 사용하였다. 하위요인은 가족지지, 친구지지, 특별지지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측정기준은 Likert 5점 척도이고, 대학생활 적응, 성인애착 유형, 사회적 지지의 점수가 높을수록 높음을 의미한다. 내용의 신뢰도는 대학생활 적응은 0.791, 성인애착 유형은 0.870, 사회적 지지는 0.923이었다(Table 1).

3.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IBM SPSS program (ver 26.0; IBM Corp., Armonk, NY, USA)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 성인애착유형, 사회적지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수준은 t-검정과 one-way ANOVA를 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e’로 검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 성인애착유형, 사회적지지와의 상관관계는 Person’s correlation을 하였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multiple regression을 하였다. 유의성을 판정하기 위한 유의수준은 α=0.05로 검정하였다.

연구 성적

1. 변수의 평균점수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은 3.11점이었고, 성인애착 유형은 3.28점(회피애착 3.31점, 불안애착 3.26점)이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3.95점이었다(Table 1).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정도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를 보면, 연령(P=0.027), 학년(P=0.043), 주관적인 건강수준(P≤0.001), 대학생활 만족도(P≤0.001), 전공 만족도(P≤0.001)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연령은 ‘20세’, 학년은 ‘1학년’, ‘2학년’,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건강’, 대학생활 만족도는 ‘만족’, 전공 만족도는 ‘보통과 만족’에서 높게 나타났다(Table 2).

3. 변수 간 상관관계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성인애착유형(r=0.515), 사회적 지지(r=0.329)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독립변수들인 상관관계는 성인애착유형과 사회적 지지(r=0.518)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Table 3).

4.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

대학생활 적응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일반적 특성, 성인애착 유형, 사회적 지지를 설명변수로 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Durbin-Watson 검정계수는 2.294로 자기상관성의 문제가 없었고, 공차한계는 0.218-0.918로 나타났으며(F=39.710, P<0.001), VIF는 1.090-4.592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 요인은 대학생활 만족_덤2(보통/만족) (β=0.187, P<0.005), 전공만족_덤1(불만족/보통) (β=―0.175, P<0.009), 성인애착 유형(β=0.365, P<0.001)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고,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인애착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5.7%이었다(Table 4).

고 안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긍정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은 3.11점이었고, 최 등21)의 연구에서는 3.34점이었으며, 김 등22)의 연구에서는 3.23점으로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여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로 선행연구들[1-2]의 연구시기와 차이가 있으므로 연구에 대한 반복 연구를 통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성인애착 유형은 3.28점(회피애착 3.31점, 불안애착 3.26점)이었고, 오와 박1)의 연구에서는 7점 만점에 회피애착 4.80점, 불안애착 4.51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2,23)에서 불안정 애착 관계를 가진 성인보다 안정적인 애착 관계를 맺은 성인은 스트레스에 직면 시 문제해결 대처능력이나 사회적 지지를 추구한다고 하였다. 이는 안정적인 성인 애착 형성은 스트레스 대처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성인 애착 발달에 취약한 치위생과 학생들이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잘 대처할 수 있도록 성인 애착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형성을 활용한 성인애착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사회적 지지는 3.95점이었고, 민과 이24)의 연구에서는 3.78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 19 상황인 비슷한 시기에 연구된 결과이지만 본 연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높은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생활사건이나 스트레스를 겪을 때 주위로부터 생성되는 긍정적 지원을 통해 부정적 영향을 극복하고7) 윤과 김25)의 연구에서도 사회적 지지가 높은 학생들은 우울과 불안 등을 덜 경험하여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 주는 완충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부정적 상황에서 포기하지 않고, 개인의 긍정적 사고를 통하여 상황을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등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를 보면, 연령, 학년, 주관적인 건강수준, 대학생활 만족, 전공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사후검정 결과, 연령은 ‘20세’, 학년은 ‘1학년과 2학년’,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건강’, 대학생활 만족도는 ‘만족’, 전공 만족도는 ‘보통과 만족’에서 높게 나타났다. 오와 박1)의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 학과선택 동기, 대학생활 만족도, 친구 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게 나타나 부분적으로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대학생들의 전공 만족도와 대학생활 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 학과 지도교수 상담, 학교 선배와의 관계를 통한 멘토-멘티 프로그램, 학교 내 상담프로그램을 통하여 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성인애착 유형(r=0.515), 사회적 지지(r=0.329)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선행연구1,26)에서 성인애착이 대학생활 적응에 관련이 있고, 성인애착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이 높다고 보고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서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 요인은 대학생활 만족_덤2(보통/만족) (β=0.187, P<0.005), 전공만족_덤1(불만족/보통) (β=―0.175, P<0.009), 성인애착 유형(β=0.365, P<0.001)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다.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인애착 유형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5.7%이었다. 오와 박1)의 연구에서는 대인관계능력이 성인애착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변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4,2%로 나타났다. 한 등27)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성인애착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인애착 유형만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본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대학생활 적응을 위해서 성인애착 증진과 전공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임의표본 추출하여 연구한 결과로 본 연구 결과를 전체 치위생학과 학생들에게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지만, 치위생학과 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치위생학과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성인애착과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을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결 론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유형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대학생활에 필요한 긍정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은 3.11점이었고, 성인애착유형은 3.28점이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3.95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보면, 연령, 학년, 주관적인 건강상태,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대학생활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성인애착 유형(r=0.515), 사회적 지지(r=0.329)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치위생과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생활 만족_덤2(보통/만족), 전공만족_덤1(불만족/보통), 성인애착 유형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고,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인애착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5.7%이었다.
이상의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생활만족, 전공만족도, 성인애착 유형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활 만족도와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성인애착 유형별 대학생활 맞춤 조언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에 따라 대학에서는 체계적인 지지와 제도 지원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Oh EJ, Park SA.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nursing student's adult attachmen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7:94–102. https://doi.org/10.5762/KAIS.2016.17.8.94. DOI: 10.5762/KAIS.2016.17.8.94.
crossref
2. Shin SI. 2015; The relationships of stress coping styles and college adjustment according to adult attachment styl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1–21.
3. Kim JU, Lee MH. 2014;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tion o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506–516.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506. DOI: 10.5392/JKCA.2014.14.02.506.
crossref
4. Park JH, Jo YJ. 2006; Romantic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Fam Environ Res. 44:113–124.
5. Yang HS. 2004. The effects of the attachment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adjustment.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Seoul: [Korean].
6. Jang HS. 2002; Attachments to parents, separation-individua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late adolescence. Korean J Ind Organ Psychol. 15:101–121.
7. Kim JU, Kim HH. 2016;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leve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741–766. DOI: 10.22251/jlcci.2016.16.9.271.
8. Park JE, Lee JA, Lee JY, Jung IJ. 2011; The influence of attachmen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poverty. The Korean Association of Youth Welfare. 13:93–116.
9. Choi YH, Chae MJ. 2018; Factors associated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419–432.
10. Jeon SY.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health status, college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11:93–115.
11. Yu KH. 2019; A mediator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for college life and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5:125–135. DOI: 10.5977/jkasne.2019.25.1.125.
crossref
12. Seo MJ, Oh JJ. 2021;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academic stress of nursing student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 of KoCon a. 21:815–824.
13. Lee MR, Kim MJ. 2018; The influences of college adaptation, satisfaction of major and clinical practice on vocational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97–208.
14. Jeon MK, Oh JW. 2019; Self-leadership, self-determin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ac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Crisisonomy. 15:71–81.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9.15.3.71. DOI: 10.14251/crisisonomy.2019.15.3.71.
crossref
15. Brennan KA, Clark CL, Shaver PR. shimpson A., Rholes W. A., editors.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Guilford Press;New York: p. 46–76.
16. Hwang KO.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tyle, 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Wonkwang university;Iksan:
17. Oh EJ, Sung KM. 2011;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ccording to their adult attachment styles. J. East-West Nurs Res. 17:117–124. https://doi.org/10.14370/jewnr.2011.17.2.117. DOI: 10.11111/jkana.2011.17.4.391.
crossref
18. Baker R., Siryk B..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Univers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179–189. DOI: 10.1037/0022-0167.31.2.179.
19. Ham YA. 2018. The influence of time pressure and stress on college students to adaptation to college life.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Gyeongbuk: [Korean].
20.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 Pers Assess. 52:30–41. DOI: 10.1207/s15327752jpa5201_2. PMID: 2280326.
crossref
21. Choi MH, Min HH, Kim DH. 2020; Effect of nunchi, self-leadership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J Korean Soc Dent Hyg. 20:379–386. https://doi.org/10.13065/jksdh.20200035. DOI: 10.13065/jksdh.20200035.
crossref
22. Kim SH, Park SH, Baek MJ. 2021; Mediating effects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nunchi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30:1–8. https://doi.org/10.12934/jkpmhn.2021.30.1.1. DOI: 10.12934/jkpmhn.2021.30.1.1.
crossref
23. Brennan KA, Shaver PR. 1995;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affect regulation and romantic relationship function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267–283. https://doi.org/10.1177/0146167295213008. DOI: 10.1177/0146167295213008.
crossref
24. Min HH, Lee HJ. 2022; Influencing factors of resili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46:40–44. https://doi.org/10.11149/jkaoh.2022.46.1.40. DOI: 10.11149/jkaoh.2022.46.1.40.
crossref
25. Yoon MS, Kin NH. 2013; Mediating role of adult attachment between loss experiences and student adapt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41:60–89.
26. Kim JU, Lee MH. 2014;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tion on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506–516.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506. DOI: 10.5392/JKCA.2014.14.02.506.
crossref
27. Han DH, Kim HS, Jang SH. 2018; The effect of depression, rrait anxiety, social support and adult attachment on life adjustment in college. Journal of Wellness. 13:73–88. https://doi.org/10.21097/ksw.2018.02.13.1.73. DOI: 10.21097/ksw.2018.02.13.1.73.
crossref

Table 1
Reliability of instrument scales Unit: Mean±SD
Variables Item Mean±SD Min Max Cronbach’s a
College life adaptation 9 3.11±0.64 1.33 5.00 0.791
Adult attachment styles 36 3.28±0.41 1.72 3.28 0.870
Avoidance 18 3.31±0.47 2.11 4.44 0.808
Anxiety 18 3.26±0.58 1.89 4.83 0.888
Social support 12 3.95±0.64 2.42 5.00 0.923
Table 2
Level of sca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Unit: Mean±SD
Characteristics N College life adaptation t or F (P* )
Age 3.122 (0.027)
≥19 69 3.16±0.68ab
20 50 3.23±0.50b
21 51 3.10±0.65ab
≤22 30 2.81±0.64a
Grade 2.772 (0.043)
1 64 3.21±0.67b
2 50 3.19±0.60b
3 74 3.04±0.59ab
4 12 2.71±0.73a
Religion 0.291 (0.771)
Yes 47 3.13±0.71
No 153 3.10±0.61
Subjective health status 11.683 (<0.001)
Bad 9 2.70±0.72a
Normal 124 2.99±0.60ab
Good 67 3.39±0.59b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15.721 (<0.001)
Bad 21 2.74±0.69a
Normal 131 3.03±0.56a
Good 48 3.50±0.63b
Satisfaction with major 18.613 (<0.001)
Bad 11 2.31±0.68a
Normal 107 3.01±0.53b
Good 82 3.35±0.64b
Circle 0.898 (0.370)
Yes 48 3.18±0.66
No 152 3.09±0.63
The motivation of major select 0.513 (0.726)
Employment rate 128 3.14±0.66
Aptitude 16 3.01±0.46
Recommendation 30 2.99±0.49
Scores 17 3.20±0.74
Etc. 9 3.14±0.85

*By the t-test for two groups and one-way ANOVA (post-test Scheffe’) for three or more groups.

a,bThe same character indication shows that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able 3
Correlation among variables
Variables College life adaptation Adult attachment styles Social support
College life adaptation 1
Adult attachment styles 0.515** 1
Social support 0.329** 0.518** 1

**P<0.01 by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Table 4
Influencing factors of college life adaptation
Variables B SE β t P* Tolerance VIF
(constant) 1.206 0.375 3.218 0.002
Age_dummy 1 (≥19/20) 0.164 0.127 0.112 1.293 0.197 0.429 2.328
Age_dummy 2 (20/21) 0.227 0.168 0.156 1.346 0.180 0.241 4.152
Age_dummy 3 (21/≤22) 0.052 0.164 0.029 0.316 0.752 0.378 2.645
Grade_dummy 1 (1/2) ―0.130 0.123 ―0.089 ―1.063 0.289 0.459 2.179
Grade_dummy 2 (2/3) ―0.197 0.160 ―0.150 ―1.231 0.220 0.218 4.592
Grade_dummy 3 (3/4) ―0.270 0.219 ―0.101 ―1.236 0.218 0.481 2.079
Religion_dummy (yes/no) ―0.096 0.089 ―0.065 ―1.089 0.278 0.918 1.090
Subjective health status_dummy 1 (bad/normal) ―0.153 0.193 ―0.050 ―0.792 0.429 0.810 1.235
Subjective health status_dummy 2 (normal/good) 0.099 0.086 0.074 1.149 0.252 0.779 1.284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_dummy 1 (bad/normal) ―0.091 0.138 ―0.044 ―0.658 0.512 0.722 1.386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_dummy 2 (normal/good) 0.278 0.099 0.187 2.811 0.005 0.726 1.377
Satisfaction with major_dummy 1 (bad/normal) ―0.486 0.183 ―0.175 ―2.659 0.009 0.745 1.342
Satisfaction with major_dummy 2 (normal/good) 0.092 0.095 0.071 0.968 0.334 0.598 1.673
Circle_dummy (yes/no) ―0.067 0.091 ―0.045 ―0.733 0.465 0.856 1.168
Social support 0.029 0.073 0.029 0.395 0.693 0.594 1.684
Adult attachment styles 0.559 0.113 0.365 4.941 <0.001 0.590 1.694

R2=0.409, adjusted R2=0.357, F=(39.710 P<0.001), Durbin-Watson: 2.294.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t a=0.05.

TOOLS
Similar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