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List >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 v.26(3) > 1516079624

초산모의 자녀 양육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와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Abstract

Purpos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ng in online parenting communitie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for children among first-time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74 first-time mothers who used online parenting communit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online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1- 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using the Sobel test and PROCESS macro.

Results

Significant predictors for health-promoting behaviors for children among first-time mothers were maternal age, maternity leave, monthly income, weekly use of online communities, daily use of online communities, satisfaction with online communities, and parental efficacy, which explained 51.0% of maternal health-promoting behaviors for children. Parental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satisfaction with using online communities and their health-promoting behaviors for children.

Conclusion

Interventions to enhance satisfaction with online parenting communities and parental efficacy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health of infants and toddl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needs of mothers for child rearing and health care, and develop online parenting communities that can provide qualitative health information and enable safe online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서 론

생후 1개월부터 36개월까지의 영유아기 아동은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사회적 성장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중요한 발달시기에 있다. 이 시기에 형성된 건강 습관과 건강 수준은 평생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Kim et al., 2007). 영유아의 건강은 돌봄 제공자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특히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자녀의 건강을 위해 수행하는 건강증진행위는 아동의 건강증진에 주요한 변인이다(Huh et al., 2012; Min & Moon, 2013).
출산 후 어머니는 새롭게 주어진 모성역할을 습득하고 적응해가는 과정에서 자녀를 올바르게 양육해야 한다는 부담감을 경험한다(Mo & Choi, 2013). 특히 초산모의 경우, 모성역할에 대한 기대와 현실의 차이, 양육 가치관의 미정립으로 인해(Hwang et al., 2016) 일시적 모성역할 수행의 혼란을 경험하며, 경산모에 비해 양육자신감이 낮을 수 있다(Chung & Joung, 2011). 이러한 초산모의 낮은 양육자신감은 자녀 양육과 자녀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Jeong, 2009).
아동을 위한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기 위해 예전의 어머니들은 주로 가족과 지인을 통해 자녀 양육 관련 정보를 습득하였지만, 인터넷 정보화시대의 시작으로 어머니는 인터넷과 더불어 온라인 커뮤니티를 주된 건강정보원으로 활용하게 되었다(Drentea & Moren-Cross, 2005; You et al., 2021). 더욱이 최근에는 코로나바이러스(COVID-19)로 인해 인터넷에서 건강정보를 찾는 경우가 더욱 증가하였다(Neely et al., 2021).
자녀 양육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이하 온라인 커뮤니티)는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공간에서 자녀 양육이라는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관심 있는 정보를 공유하고 상담, 중고거래 및 인간관계를 도모하는 공간이다(Kweon & Bang, 2006).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하게 되면 다양하고 새로운 정보를 습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의 자율적이고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여 어머니의 우울감 극복과 양육관 형성, 양육효능감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Drentea & Moren-Cross, 2005; Evans et al., 2012; Kim & Kim, 2007).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온라인 커뮤니티 정보검색 내용을 살펴보면, 12개월 이전의 영아를 양육하는 어머니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녀 건강과 양육 관련하여 가장 활발하게 질문을 하고 정보를 획득하였다(Jung et al., 2020; Yu et al., 2020). 자녀가 12개월 이전 영아기 아동일 경우, 수유, 건강, 이유/유아식, 질병, 수면과 관련된 내용이 많았고, 12개월 이후에는 문제행동, 발달과업이 주된 육아 관련 정보의 주제로 다루어져, 아동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이 있었다(Jung et al., 2020; Yu et al., 2020). 그러나 아기의 월령이 증가할수록 자녀 양육과 건강에 대하여 질문하는 경우가 감소하였고, 특히 36개월 이후에는 놀이 및 교육, 어린이집에서의 생활 등 전반적 일상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Jung et al., 2020; Yu et al., 2020). 따라서 온라인 커뮤니티 내 내용을 바탕으로 영유아 건강증진 관련 이번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만 36개월 이하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생후 36개월까지 아동은 어른들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으며, 성인기까지 이어지는 뇌의 활동 수준을 형성하는 결정적 발달기에 있어(Tomasello, 2019) 어머니의 아동 건강증진행위가 더 중요해지는 시점이기도 하다.
어머니가 자녀를 위한 양육행위 및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함에 있어 양육효능감은 중요한 변인이다(Jeong, 2009; Bae et al., 2010). 양육효능감은 자녀를 올바르게 양육하기 위해 필요한 어머니 역할 수행능력에 대한 어머니 자신의 신념을 의미하며(Choe & Chung, 2001), 양육자가 심리적 안정감을 형성하고, 애정적으로 자녀를 대하며, 올바르고 일관된 양육을 수행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Kim & Moon, 2005).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수면 습관, 식사 습관, 발달 및 문제행동이 개선되며, 입원율과 재활치료 성공률과도 순상관관계에 있었다(Albanese et al., 2019; Grossklaus & Marvicsin, 2014; Kim & Kim, 2019). 따라서 영유아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소셜미디어 활용과 관계가 있으며(Cho, 2021), 자녀를 위한 건강증진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Jeong, 2009)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와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 그리고 두 변인 간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다루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초산모의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와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알아보고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자녀 양육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와 양육효능감,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정도를 확인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를 확인한다.
·대상자의 자녀 양육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와 양육효능감,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다.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한다.
·대상자의 자녀 양육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와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설계

이 연구는 만 36개월 이하의 영유아 자녀를 양육하는 초산모의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와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온라인 자가보고 설문을 이용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2. 연구 대상

구체적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은 자녀 양육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하고 있으며, 한국어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이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생후 36개월 이하의 자녀가 있는 만 18세 이상의 초산모이다. 단, 자녀가 미숙아 혹은 다태아로 출생하거나, 자녀와 어머니가 건강상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이 연구의 제외 기준에 해당된다. 설문대상 온라인 커뮤니티 선정을 위해 1차적으로 2021년 12월 1일 기준으로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 네이버(NAVER)의 온라인 커뮤니티 중 50위 안에 들어가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조사하였다. 2차 선별과정에서는 이 연구가 생후 36개월까지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개설 후 3년 이상 지난 온라인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모집단이 가장 크고, 자료 업데이트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선별하였다(Woo et al., 2016; Yu et al., 2020). 다수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설문 응답자를 모집하는 경우 동일한 응답자가 설문에 중복으로 참여할 우려가 있어 최종적으로 1개의 온라인 커뮤니티만을 선별하였으며 그 결과 ‘맘스홀릭 베이비 커뮤니티’ (https://cafe.naver.com/imsanbu)가 선정되었다. ‘맘스홀릭 베이비 커뮤니티’는 2003년 개설되어, 2022년 5월 기준 게시글 수 36만개, 댓글 수 232만개, 커뮤니티에 가입한 회원 수 312만명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 수는 G∗power 3.1.9.7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에 필요한 적정수의 표본 크기를 산출하였다(Faul et al., 2009). 선행연구(Cho & Ha, 2019)를 근거로 유의수준 0.05, 효과크기 0.15, 검정력 0.95, 예측변인 9개로 설정하였을 때 최소 대상자 수는 166명이 필요하였으며 탈락률 20%를 고려하여 총 208명을 모집하였다. 이중 성실하게 설문에 응답하지 않은 34명을 제외한 최종 174명의 응답이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3. 연구 도구

1)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에 대한 문헌(Kim & Kim, 2007)을 바탕으로 이 논문의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으며, 가입한 온라인 커뮤니티 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기간, 주별 사용 일수, 하루 이용 시간, 활동 내용, 이용 목적, 실천도와 만족도에 대한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총 14문항으로 일반적 질문 7문항, 만족도 6문항, 실천도 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 중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내용과 이용 목적에 대한 문항은 순위별 다중응답이 가능하다. 나머지 문항은 해당하는 답변을 하나만 기재하여야 하고, 만족도에 대한 6문항은 ‘매우 불만족’에서 ‘매우 만족’까지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실천도에 대한 1문항은 ‘전혀 실천하지 못한다’에서 ‘항상 실천한다’까지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실천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만족도에 대한 신뢰도(Cronbach α)는 0.74로 나타났다.

2) 양육효능감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Meunier 와 Roskam (2009)이 개발한 양육효능감 척도(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를 성지현과 백지희가 2011년에 국내 적용을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한국판 양육효능감 척도(K-EGSCP)를 사용하였다(Sung & Baek, 2011). 해당 도구는 만 7세 이하의 영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양육효능감을 훈육, 놀이, 애정, 일상체계조직, 교육의 5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총 22문항으로,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매우 그렇다’ 5점의 리커트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검증 당시 본 도구의 신뢰도(Cronbach α)는 0.91이고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0.75–0.89로 측정되었으며(Sung & Baek, 2011), 이 연구에서는 도구 전체 0.85, 각 하위요인별 0.64–0.83으로 나타났다.

3) 아동 건강증진행위

아동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Kim 등(2007)이 개발한 영유아를 위한 건강증진행위도구를 사용하였다. 해당 도구는 영유아의 건강증진행위를 안전, 정서적 지지와 노력, 활동과 휴식, 질병예방, 의복착용, 영양, 청결과 위생의 7가지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총 3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항상 그렇다’까지 4점 리커트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녀의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실천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본 도구의 신뢰도(Cronbach α)는 0.88이고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0.66–0.83으로 측정되었으며(Kim et al., 2007), 이 연구에서는 도구 전체 0.94, 각 하위요인별 0.61–0.77로 나타났다.

4. 자료 수집

자료 수집 시작 전 연구책임자 소속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 승인(IRB No.2112/002-004)을 받았다. 이후 ‘맘스홀릭 베이비 커뮤니티’ 운영진의 협조를 구한 후,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 본 연구관련 모집문건을 업로드하였다. 모집문건에는 연구의 목적 및 방법이 설명되어 있었으며, 이를 확인하고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영유아 어머니가 자발적으로 모집문건에 기재된 설문링크에 접속하였다. 연구 참여를 원하는 경우 설문링크의 설명문과 동의서를 확인하고 연구참여자 선정기준 요건 충족 문항과 자발적 연구참여 의사 표시 문항에 동의한 후 설문을 진행할 수 있었다. 자료 수집은 2021년 12월 1일부터 12월 3일까지 3일간 진행되었으며, 설문에 소요된 시간은 약 15분 정도이다. 모든 연구 설문 문항에 응답하여 최종 제출을 완료한 응답자에게 설문참여에 대한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5. 자료 분석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8.0 (IBM 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양육효능감, 아동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t-test와 1-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정은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양육효능감, 아동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으며, 아동 건강증진행위 관련 변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와 아동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은 Baron과 Kenny가 제시한 3단계적 접근법(Baron & Kenny, 1986)을 통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obel test와 PROCESS macro 방법을 사용하였다(Abu-Bader & Jones, 2021).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이 연구의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3.30세(±3.83)이고, 모두 기혼자였다. 학력은 ‘대학교(4년제) 졸업’이 146명(83.9%)으로 가장 많았으며, 응답자 중 98명(56.3%)이 전업주부이고, 154명(88.5%)이 본인이 자녀의 주 양육자라고 응답하였다. 가정 내 월 평균 소득은 400만원 이상이라는 응답자가 86명(49.4%)으로 가장 많았다. 자녀의 평균 연령은 16.39개월(±9.86)으로, 여자아이를 양육하는 어머니가 102명(58.6%)으로 남자아이를 양육하는 어머니보다 많았다. 주관적 자녀의 건강상태는 ‘아주 건강하다’가 97명(55.7%)로 가장 많았고, 응답자 자녀 중 97명(55.7%)이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Table 1.
Differences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for childre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174)
Characteristic Health-promoting behaviors for children
No. (%) Mean± SD t or F(p) Scheffe
Maternal age (yr) 33.30±3.83 4.62 (0.011) c>a, c>b
  ≥25, ≤29 a 19 (10.9) 3.14±0.61
  ≥30, ≤34 b 102 (58.6) 3.25±0.41
  ≥35 c 53 (30.5) 3.44±0.39
Marriage
  Yes 174 (100) 3.29±0.44
  No 0 (0)
Education 2.12 (0.099)
  High school or under 9 (5.2) 3.16±0.44
  Junior college (2-3 years) 10 (5.7) 3.50±0.28
  University (4 years) 146 (83.9) 3.27±0.44
  Graduate school or above 9 (5.2) 3.54±0.42
Economic activity 8.25 (<0.001) a>c, b>c
  Unemployed a 98 (56.3) 3.30±0.41
  Maternity leave b 37 (21.3) 3.48±0.31
  Currently working c 39 (22.4) 3.09±0.53
Primary caregiver 3.52 (0.001)
  Yes 154 (88.5) 3.33±0.43
  No 20 (11.5) 2.98±0.36
Monthly income (10,000 KRW) 6.97 (0.001) a>c, b>c
  <300 a 43 (24.7) 3.43±0.33
  ≥300, <400 b 45 (25.9) 3.39±0.34
  ≥400 c 86 (49.4) 3.17±0.50
Child's age (mo) 16.39±9.86 6.64 (0.002) b>c
  ≤12 a 74 (42.5) 3.26±0.43
  ≥13, ≤24 b 56 (32.2) 3.45±0.41
  ≥25, ≤36 c 44 (25.3) 3.14±0.44
Child's gender −0.38 (0.707)
  Boy 72 (41.4) 3.28±0.49
  Girl 102 (58.6) 3.30±0.40
Perceived health status of child 2.55 (0.081)
  Very healthy 97 (55.7) 3.36±0.48
  Healthy 71 (40.8) 3.22±0.38
  Moderate healthy 6 (3.4) 3.14±0.39
Attendance of child daycare −4.03 (<0.001)
  Yes 77 (44.3) 3.14±0.50
  No 97 (55.7) 3.41±0.34

SD, standard deviation; KRW, Korean won.

2. 대상자의 자녀 양육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양육효능감과 아동 건강증진행위 정도

대상자의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정도는 Table 2와 같다. 대상자는 최소 1개에서 최대 7개의 자녀 양육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었으며, 평균 2.33개(±1.02)의 온라인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기간은 1년 이상 2년 미만이 64명(36.8%)으로 가장 많았고, 주당 이용 일수는 평균 4.46일(±1.69), 하루 이용 시간은 평균 1.61시간(±1.00)이었다.
Table 2.
Participating in the online parenting community (N=174)
Characteristic Value
No. of online communities joined 2.33±1.02
Period of activity
  <6 months 19 (10.9)
  ≥6 months, <1 year 53 (30.5)
  ≥1 year, <2 years 64 (36.8)
  ≥2 years, <3 years 28 (16.1)
  ≥3 years 10 (5.7)
Weekly use (day) 4.46±1.69
Daily use (hr) 1.61±1.00
Satisfaction 3.61±0.64
Trading goods at low prices 3.83±0.98
Acquiring information 3.79±0.88
Promot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appiness 3.61±0.95
Providing information 3.59±0.91
Promoting child's peer relationship 3.44±0.99
Promoting mot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3.38±1.13
Practice 3.50±0.76
Necessity
  Necessary 120 (69.0)
  Neutral 53 (30.5)
  Not necessary 1 (0.6)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내용은 ‘육아 관련 게시물을 읽는다’가 102명(58.6%)으로 가장 많았고, 이용 목적은 ‘육아 관련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가 105명(60.3%)으로 가장 많았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만족도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물품 거래’에 대한 만족도가 5점 중 3.83점(±0.98)으로 가장 높았고, ‘어머니의 대인관계 증진’에 대한 만족도가 3.38점(±1.13)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 3.61점(±0.64)으로 나타났다. 실천도는 5점 중 평균 3.50점(±0.76)이었으며, 120명(69.0%)의 어머니들이 온라인 커뮤니티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Table 2).
대상자의 양육효능감은 하위요인 중 ‘애정’ 점수가 5점 중 3.62점(±0.58)으로 가장 높았고, ‘교육’ 점수가 3.11점(±0.81)으로 가장 낮았으며, 전체 평균 3.35점(±0.46)으로 나타났다. 아동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하위요인 중 ‘안전’ 점수가 4점 중 3.39점(±0.49), ‘의복착용’ 점수가 3.39점(±0.59)으로 가장 높았고, ‘영양’ 점수가 3.12(±0.50)으로 가장 낮았으며, 전체 평균 3.29점(±0.44)으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
Parental efficacy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for children (N=174)
Variable Mean± SD
Parental efficacy 3.35±0.46
Discipline 3.17±0.78
Play 3.38±0.56
Nurturance 3.62±0.58
Instrumental care 3.34±0.75
Teaching 3.11±0.81
Health-promoting behaviors for children 3.29±0.44
Safety 3.39±0.49
Emotional support/endeavor 3.32±0.48
Activity/rest 3.24±0.51
Disease prevention 3.31±0.49
Appropriate clothing 3.39±0.59
Nutrition 3.12±0.50
Cleanness/hygiene 3.27±0.53

SD, standard deviation.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그에 따른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는 Table 1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아동 건강증진행위는 어머니 연령(F=4.62, p=0.011), 경제활동상태(F=8.25, p<0.001), 주양육자 여부(t=3.52, p=0.001), 월 평균 소득(F=6.97, p=0.001), 자녀 연령(F=6.64, p=0.002), 어린이집 등원 여부(t=-4.03, p< 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자녀 양육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와 양육효능감,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정도와 양육효능감, 아동 건강증진행위를 투입하여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변인간의 관계에서 상관계수의 절댓값이 0.6 이상 측정되지 않아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었다. 양육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의 주별 사용 일수(r=0.19, p=0.014), 실천도(r=0.34, p< 0.001), 만족도(r=0.28, p<0.001)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아동 건강증진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의 주별 사용 일수(r=0.25, p=0.001), 실천도(r=0.26, p=0.001), 만족도(r=0.48, p<0.001)로 나타났으며, 하루 이용 시간(r=-0.15, p=0.049)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양육효능감과 아동 건강증진행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51, p<0.001)가 있었다.

5.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어머니의 아동 건강증진행위 관련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 연령, 경제활동상태, 주양육자 여부, 월 평균 소득, 자녀 연령, 어린이집 등원 여부, 온라인 커뮤니티 가입 수, 활동 기간, 주별 사용 일수, 하루 이용 시간, 실천도, 만족도를 매개 변인인 양육효능감과 함께 예측 변인으로 투입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 주양육자 여부(준거집단: 본인 아님), 경제활동 상태(준거집단: 재직)와 어린이집 등원 여부(준거집단: 다니지 않는다)는 더미변인 처리 후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을 시행하기 전 독립성과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으며, Durbin-Watson 값은 1.86으로 2에 가깝게 나타나 오차항들 간에는 자기상관이 없었으며, 분산팽창지수는 1.05–1.33으로 10미만임을 확인하여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었다.
회귀분석 결과, 아동 건강증진행위 관련 변인은 어머니 연령(β=0.14, p=0.017), 경제활동 상태 중 육아휴직(β= 0.14, p=0.017), 월 평균 소득(β=-0.26, p<0.001), 온라인 커뮤니티 주별 사용 일수(β=0.13, p=0.043), 하루 이용 시간(β=-0.18, p=0.003), 만족도(β=0.31, p<0.001), 양육효능감(β=0.34, p<0.001)이었으며, 이들 변인은 아동 건강증진행위를 51.0% 설명하였다(Table 4). 즉, 어머니의 연령이 많을수록, 어머니가 육아휴직 중인 경우, 월 평균 소득이 적을수록, 온라인 커뮤니티 주별 사용 일수가 많을수록, 하루 이용 시간이 적을수록 또 만족도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어머니가 자녀를 위해 실천하는 건강증진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4.
Variables related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for children (N=174)
Variable B SE β t p-value
Maternal age 0.02 0.01 0.14 2.41 0.017
Economic activity d2 0.15 0.06 0.14 2.41 0.017
Monthly income −0.14 0.03 −0.26 −4.58 <0.001
Weekly use (day) 0.03 0.02 0.13 2.04 0.043
Daily use (hr) −0.08 0.03 −0.18 −3.00 0.003
Satisfaction 0.21 0.04 0.31 5.26 <0.001
Parental efficacy 0.32 0.06 0.34 5.86 <0.001

SE, standard error.

R2=0.51 (adjusted R2=0.49), F=24.72, p<0.001.

Dummy variables: economic activity (unemployed=d1, maternity leave=d2, currently working=0).

6. 대상자의 자녀 양육 관련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와 아동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연령, 육아휴직, 월 평균 소득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고 Baron과 Kenny (1986)가 제시한 3단계 절차에 따라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와 아동 건강증진행위 간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1단계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2단계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가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3단계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와 양육효능감이 아동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독립성과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Durbin-Watson 지수가 1단계 1.92, 2단계 1.83, 3단계 1.86으로 나타나 오차항들 간에는 자기상관이 없었으며, 분산팽창지수는 독립변인 최대값이 1.33으로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었다. 또한 ANOVA 결과 F값이 1단계 3.97 (p=0.001), 2단계 19.27 (p<0.001), 3단계 24.72 (p<0.001)로 세 회귀모형 모두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1단계에서 독립변인 중 주별 사용 일수(β= 0.18, p=0.033)와 만족도(β=0.22, p=0.004)가 매개 변인인 양육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하루 이용 시간(β=-0.12, p=0.126)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해당 변인을 통제변인으로 추가하였다. 1단계에서 통제변인 설정 전후 R제곱 변화량이 0.09 (F=8.55, p<0.001)로 통제변인 투입 후 주별 사용 일수와 만족도가 양육효능감을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단계에서는 독립변인 주별 사용 일수(β=0.19, p=0.006)와 만족도(β = 0.38, p<0.001) 모두 종속 변인인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단계에서 통제 변인 설정 전후 R제곱 변화량이 0.20 (F=28.40, p<0.001)으로 통제 변인 투입 후 주별 사용 일수와 만족도가 아동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단계에서는 독립 변인 주별 사용 일수(β=0.13, p=0.043), 만족도(β=0.31, p< 0.001)와 매개 변인 양육효능감(β=0.34, p<0.001) 모두 종속 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3단계에서 통제 변인 설정 전후 R제곱 변화량이 0.30 (F=34.16, p<0.001)으로 통제 변인 투입 후 주별 사용 일수, 만족도, 양육효능감이 아동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독립 변인 주별 사용 일수의 2단계 표준화 회귀계수는 0.19, 3단계 표준화 회귀계수는 0.13으로, 독립 변인 만족도의 2단계 표준화 회귀계수는 0.38, 3단계 표준화 회귀계수는 0.31로 나타나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의 두 변인과 아동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이 두 변인 모두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변인에 대한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Sobel test와 PROCESS macro를 진행하였다. 처음으로 진행한 Sobel test에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주별 사용 일수: z=2.26, p=0.024, 만족도: z=2.39, p=0.017). 이후 진행한 PROCESS macro는 process pro-cedure for SPSS의 model 4번, 신뢰구간 95%, 10,000회의 부트스트래핑, 유의성을 검정하는 독립 변인 외 다른 변인들은 공변량으로 설정하고 간접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독립 변인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만족도는 양육효능감을 경유하여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이르는 경로는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에서 0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으나, 독립변인 주별 사용 일수는 양육효능감을 경유하여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이르는 경로에서 0을 포함하고 있어 최종적으로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따라서 온라인 커뮤니티 만족도와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Fig. 1).
Fig. 1.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ng in online paren ting communitie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for children.
jksmch-26-3-183F1.tif
Table 5.
Mediating effect significance test using PROCESS macro (N=174)
Path Effect BootSE BootLLCI BootULCI
Weekly use→ Parental efficacy→ Health-promoting behaviors 0.02 0.01 0.00 0.03
Satisfaction→ Parental efficacy→ Health-promoting behaviors 0.05 0.02 0.01 0.10

BootSE, bootstrapping standard error; BootLLCI, bootstrapping lower limit confidence interval; BootULCI, bootstrapping upper limit confidence interval.

고 찰

이 연구에서 생후 36개월 이내 영유아를 양육하는 초산모의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 양상을 분석한 결과, 가입한 온라인 커뮤니티 수, 활동기간은 2007년 만 3–5세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현황을 조사한 선행연구(Kim & Kim, 2007)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시간, 만족도, 실천도의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주당 1시간 미만으로 이용하는 어머니가 72%였던 과거와 달리(Kim& Kim, 2007),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 하루 이용 시간이 평균 1.61시간으로 조사되어 최근 영유아 어머니의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시간이 과거보다 현저히 길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하루 이용 시간은 양육효능감과 관련이 없었고, 이는 어머니의 소셜미디어 이용 정도가 양육효능감과 관련이 없었다는 선행연구의(Cho, 2021)결과와 동일하다. 더욱이 온라인 커뮤니티 하루 이용 시간은 아동 건강증진행위와는 음의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오히려 어머니에게 불안, 우울, 양육스트레스를 야기하고 자녀에게 건강행위를 실천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Lee & Jang, 2014; Park et al., 2014). 그러나 아직까지 현 시대에 맞는 적절한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정도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선행연구에서도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정도와 양육효능감, 아동 건강증진행위 간 관계가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이고 있어(Cho, 2021; Kim & Kim, 2007), 향후 영유아 어머니의 적정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정도에 대하여 알아보는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에서 나타난 온라인 커뮤니티 만족도 5점 만점 중 3.83점, 실천도 5점 만점 중 3.61점은 Kim과 Kim (2007)의 연구에서의 온라인 커뮤니티 만족도 5점 만점 중 3.38점, 실천도 5점 만점 중 2.55점과 비교하여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이 연구와 Kim과 Kim (2007)의 연구 대상자가 이용한 온라인 커뮤니티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어 두 연구의 온라인 커뮤니티 자체의 만족도와 실천도에 대한 절대적인 수치를 비교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 대상자들이 상대적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에 더 만족감을 느끼며,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습득한 건강정보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응답하여 최근 어머니가 자녀 양육을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더 많이 활용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 동일한 응답 항목을 이용하여 영유아 어머니의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 만족도와 이용 목적을 조사하였는데 대다수의 어머니가 ‘육아 관련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를 이용 목적으로 응답한 반면, 만족도에서는 ‘저렴한 가격에 물품거래’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이는 자녀 양육 관련 건강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하게 되지만,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습득하는 건강정보가 다른 이용자의 개인적 경험으로 구성되어 정보 자체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 어머니의 건강정보 습득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는 현상을 보여주는 결과다(Lee & Moon, 2016). 건강정보 습득에 대한 불만족은 자연스럽게 다른 영역에서 만족을 찾고자 하는 요구와 연결되어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다른 이용자와 소통하고, 유희와 경제성을 반영하는 중고거래의 만족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풀이된다(Park & Cheon, 2020).
본 연구 결과, 영유아 어머니의 연령, 육아휴직, 월 평균 소득, 온라인 커뮤니티 주별 사용 일수, 하루 이용 시간, 만족도,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인으로 확인되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51%이었다. 이 변인들 중 양육효능감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동일하다(Albanese et al., 2019; Jeong, 2009; Kim & Hong, 2021; Park & Chung, 2018).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양육효능감은 합리적, 애정적, 적극적으로 자녀를 양육하며(Kim & Moon, 2005),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고려한 건강행위를 실천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변인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어머니 연령이 많을수록, 육아휴직 중인 경우, 그리고 월 평균 소득은 적을수록 아동 건강증진행위를 더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 연령이 많아질수록 건강 관련 지식이 풍부해지고(Cho, 2014), 육아휴직 중인 어머니는 자녀와 함께 있을 수 있는 휴직 기간 동안 아동 건강증진행위를 더 열심히 수행하고자 하는 보상적 노력을 보인다는(Kim & Chang, 2008) 선행연구 결과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어머니 연령은 아동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이 없다는 선행연구 결과(Jeong, 2009; You et al., 2021)와 오히려 어머니의 연령이 적을 때 아동 건강증진행위를 더 잘 수행했다는 연구 결과(Cho, 2014) 등 어머니 연령과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가 일관되지 않고 있다. 어머니의 경제활동 상태와 월 평균 소득도 선행연구들에 따라 아동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가 일관되지 않게 보고되고 있다(Ahn & Park, 2012; Jeong, 2009). 따라서 어머니의 연령이나 경제활동 상태, 소득 수준과 같은 일반적 특성과 영유아 어머니의 아동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해석할 때에는 주의해야 하며, 자녀를 위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변인들을 규명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겠다.
이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 만족도와 아동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가 직접적으로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얻게 되는 건강정보, 사회적 지지에 대한 만족이 자녀를 올바르게 양육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표출되어, 자녀를 위해 더 적극적인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게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의 건강정보지향, 인터넷을 통한 사회적 지지는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You et al., 2021), 어머니의 온라인 커뮤니티 만족도가 높을수록 실천도가 높았다는 선행 연구 결과(Kim & Kim, 2007)가 이번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이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초산모에 한정하여 진행되었으며,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하며 도구의 신뢰도가 낮아져(Lee et al., 2008)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연구,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 론

이 연구 결과, 초산모인 영유아 어머니의 온라인 커뮤니티 만족도가 아동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양육효능감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영유아의 건강증진, 질병예방과 안녕을 위해 어머니가 자녀 양육과 건강증진의 정보원으로 이용하는 온라인 양육 커뮤니티의 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는 중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영유아 어머니의 자녀 양육과 건강관리에 대한 요구도를 확인하고, 질적인 정보의 제공과 어머니들 간의 안전한 온라인 상호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온라인 양육 커뮤니티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추후에는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들이 온라인 커뮤니티 내 건강정보를 신뢰하고 그 내용을 실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온라인 커뮤니티 내 아동건강 관련 정보의 질에 대해 평가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Notes

저자들은 이 논문과 관련하여 어떠한 이해관계의 충돌이 없음을 명시합니다.

감사의 글 및 알림(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의 BK21 4단계 사업(미래간호인재양성사업단)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REFERENCES

Abu-Bader S., Jones TV.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using the sobel test and hayes SPSS process macro. Int J Quantit Qualit Res Method. 2021. 9:42–61.
Ahn BH., Park KO.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mothers' internet information usage patterns and care-giving be-haviors for their kindergarten-aged children. Korean Public Health Res. 2012. 38:67–79.
Albanese AM., Russo GR., Geller PA. The role of parental self- efficacy in parent and child well-being: a systematic review of associated outcomes. Child Care Health Dev. 2019. 45:333–63.
crossref
Bae KE., Lee KH., Kim YH., Kim S., Kim HK., Kim JH. Child-rearing practices and parenting efficacy of marriage-immigrant women. Child Health Nurs Res. 2010. 16:175–83.
crossref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 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 Pers Soc Psychol. 1986. 51:1173–82.
Cho GY., Ha MN.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lief on the correlations among disease-related knowledge, ehealth literacy, and self-care behaviors in outpatients with hy-pertension. Korean J Adult Nurs. 2019. 31:638–49.
crossref
Cho H.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infant oral health, and related health behavior among parents. Child Health Nurs Res. 2014. 20:196–204.
crossref
Cho HJ. Mothers'social media use on child rear and it's asso-ciation with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mas-ter's thesis]. Seoul (Korea): Ewha Womans University;2021.
Choe HS., Chung OB. The development of an inventory for measuring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Korean mothers. Korean J of Child Stud. 2001. 22:1–15.
Chung SS., Joung KH. Comparative study on predictors of maternal confidenc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Child Health Nurs Res. 2011. 17:181–9.
crossref
Drentea P., Moren-Cross JL. Soci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n the web: the case of an internet mother site. Sociol Health Illn. 2005. 27:920–43.
crossref
Evans M., Donelle L., Hume-Loveland L. Social support and online postpartum depression discussion groups: a content analysis. Patient Educ Couns. 2012. 87:405–10.
crossref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 Res Methods. 2009. 41:1149–60.
Grossklaus H., Marvicsin D. Parenting efficacy and its relationship to the prevention of childhood obesity. Pediatr Nurs. 2014. 40:69–86.
Huh BY., Park YS., Bang KS. The structural model for the health related factors of preschoolers.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2. 16:1–13.
crossref
Hwang JA., Kim SJ., Kim KS. The meaning of motherhood to mothers with their infant and toddler. JKOAECE. 2016. 21:297–318.
crossref
Jeong NO. Influence of parents' parenting 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arly childhood. Child Health Nurs Res. 2009. 15:236–44.
crossref
Jung OK., Koh OJ., Kim KK. Big data analysis of child-rearing concerns of parents with infants posted on online parenting communities: a deep learning approach. J Educ Culture. 2020. 26:1021–43.
Kim DJ., Kim YJ. Effects of the parenting efficacy improvement program for mothers as primary caregiver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nder rehabilitation. J Exerc Rehabil. 2019. 15:763–8.
crossref
Kim JY., Hong SU. Relativ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attitude of mother of preschoolers. J Korean Assn Learn Cent Curric Instr. 2021. 21:897–919.
crossref
Kim KE., Chang YJ. A hermeneutics phenomenological study on working mothers'experiences of rearing their firstborns. J Qual Res. 2008. 9:31–43.
Kim M., Kim H. Participation of mothers in the internet community: relationship to their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Korean J of Child Stud. 2007. 28:1–17.
Kim MS., Moon HJ.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s in mother with young children. Fam Environ Res. 2005. 43:25–35.
Kim SJ., Kang KA., Yun J., Kwon OJ.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infants & toddlers. Child Health Nurs Res. 2007. 13:21–32.
Kweon SH., Bang KH. A study of the communications in online communities: focused on self-construals. J Commun Inf. 2006. 36:423–62.
Lee JY., Jang SY. The intermediary effect of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smartphone addiction. Korean J Child Educ Care. 2014. 14:61–79.
Lee Y., Moon M. Utilization and content evaluation of mobile applications for pregnancy, birth, and child care. Healthc Inform Res. 2016. 22:73–80.
crossref
Lee YS., Lee JY., Lee KT. Amounts of responding times and unreliable responses at online surveys. Survey Res. 2008. 9:51–83.
Meunier JC., Roskam I. Self-efficacy beliefs amongst parents of young children: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J Child Fam Stud. 2009. 18:495–511.
crossref
Min HS., Moon YK. Relationship among mot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parenting stress,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 development. Korean J Human Ecol. 2013. 22:43–56.
crossref
Mo JA., Choi KY. The experience of child raising from parenting diaries. JKOAECE. 2013. 18:329–52.
Neely S., Eldredge C., Sanders R.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n social medi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mong American social networking site users: survey study. J Med Internet Res. 2021. 23:e29802.
crossref
Park JA., Lee KS., Chun YJ. The effects of mothers' mental health, parenting stress, mother-child relationship, children's temperament, and behavior problem on the internet addiction of young children's mothers. Korean J Psychol Women. 2014. 19:55–70.
crossref
Park K., Cheon H. A study on consumers' experience in C2C secondhand goods transaction. J Consum Policy Stud. 2020. 51:81–108.
Park MS., Chung HJ.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fant's social emo tional development. Korean J Child Educ Care. 2018. 18:21–34.
crossref
Sung J., Baek J. Validation of the Echel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e (EGSCP) in Korea: a measure of domain-specific self-efficacy and related cognitive con-structs for parents. Korean J Dev Psychol. 2011. 24:135–50.
Tomasello M. Becoming human: a theory of ontogen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2019. p. 204–32.
Woo MJ., Ahn HJ., Noh SH. Parental concerns regarding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on internet child-rearing community. Early Child Educ Res Rev. 2016. 20:385–405.
You MA., Baek EB., Kang NG. The influences of mother's ehealth literacy,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use of interne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for their children. J Health Info Stat. 2021. 46:221–9.
crossref
Yu JO., June KJ., Park SH., Woo MS. Content analysis of mothers' questions related to parenting young children in internet parenting community.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20. 24:234–43.
crossref
TOOLS
Similar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