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Objectives
The outbreak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has affected the lifestyle of the public, which also holds true for oral health. This study thus aim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wearing a mask due to COVID-19 on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symptoms in young adults from South Korea.
Methods
A total of 285 university students (mean age 23.4 years; 64.9% men and 35.1% women) responded to a web-based survey.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changes in oral health behavior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는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2 (SARS-CoV-2)를 병원체로 하는 감염증으로 사람 간에 전파되며, 주된 감염경로는 감염자가 기침, 재채기, 말하기 및 노래 등을 할 때 발생한 호흡기 침방울(비말)을 다른 사람이 밀접접촉(주로 2 m 이내)하여 발생한다1). 이에 우리나라는 여러 예방 조치와 함께 공공장소에서의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2)에서도 효과적인 지역사회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국가가 포괄적 감염예방법의 일환으로 국민들에게 특정 상황이나 환경에서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권장해야한다고 조언한다. 마스크 착용은 직·간접 접촉 및 비말을 통한 단거리 전파를 줄이는 간단하면서도 저렴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3).
마스크 착용은 구강건강과 더불어 전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2016년 1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활용해 코로나19 유행 전후 주요 호흡기 질환(폐렴, 독감, 만성폐쇄성질환 및 천식)으로 인한 입원율을 비교한 결과 코로나19 유행 전과 비교하여 유행 후 입원율이 42%-78%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진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생활방역 조치(사회적 거리두기, 개인위생 및 마스크 착용)가 감염의 빈도를 낮췄다고 설명하였다4). 또한 2010년 1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활용한 연구 결과 마스크 착용 의무화, 휴교, 유증상자에 대한 검사 및 격리 등 비약물적 개입(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NPIs)으로 발생 원인을 알 수 없었던 가와사키병의 발생도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NPI 관련요인과 가와사키병의 이환율 감소와의 연관성은 불분명하지만 잠재적 외부 유발요인으로 언급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이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하였다5).
전 세계를 사로잡은 코로나19 유행이라는 이 새로운 상황에서 바이러스 자체와 정부의 다양한 대응은 전 세계 인구의 직장, 가정 및 사회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사람들의 구강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치과 방문이 기피되는 코로나19 유행 중에는 바이러스 감염 예방은 물론 칫솔질 등 일상적인 개인위생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구강건강증진에 초점을 맞춘 대중의 구강관리인식 제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6).
코로나19 확진자의 연령별 현황을 보면 2021년 11월 17일 현재 20-29세 17.95%, 30-39세 15.67%, 및 40-49세 15.52%로 젊은 층에서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1).
코로나19 및 구강과 관련된 연구로는 코로나19에 따른 치과 의료 관리 가이드라인7-9)이나 치과방문 이행에 미치는 영향10) 및 코로나19로 인한 우울정도와 삶의 질의 관련성11)에 관한 연구는 있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 착용이 건강행태 중 특히 구강건강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발생률이 높고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구강증상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되는 젊은 층인 대학생들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 착용이 구강건강행태 및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편의표본추출법으로 모집문건을 경북대학교 내 온, 오프라인 게시판에 게시하여 모집문건에 적힌 설문조사 링크를 눌러 설문페이지로 접속하여 연구에 대한 설명서를 읽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 대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 수는 G*POWER 3.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과크기 0.3, 유의수준 0.05, 검정력 0.95로 적용하여 147명을 산출하였다. 연구계획은 연구 수행 전에 경북대학교 연구윤리심의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 2021년 8월 16일부터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KNU-2021-0124). 설문에 응답한 총 285명을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성별과 연령을 조사하였고,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행태, 치과방문경험, 치과방문 이유, 건강관리 및 구강증상을 조사하였다. 설문도구의 신뢰도 검정은 연구대상자 중 20명에 대해 검사-재검사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Spearman Rho 값은 0.86으로 좋음(good)으로 나타났다.
구글(Google®) 온라인 설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응답자가 직접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자기기입방식으로 기재하게 하였다. 사용하는 구강관리용품과 치과 방문 이유는 다중응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하루 구강관리용품 사용 횟수(칫솔, 치실, 치간 칫솔 및 껌)는 코로나19 유행 전후로 각각 응답하도록 하였다.
구강건강행태의 긍정적 변화는 구강건강행태(하루 평균 칫솔질, 하루 평균 치실질, 하루 평균 치간 칫솔질 및 하루 평균 껌 저작) 중 어느 한 가지라도 코로나19 유행 이후 증가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껌 저작은 음식물 잔사를 제거하여 치아우식증 증가를 감소12)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포함되었다. 구강증상 유무는 구강증상(이 악물기, 턱관절 통증, 턱관절 소리, 잇몸출혈 및 구취) 중 어느 한 가지라도 코로나19 유행 전과 비교하여 유행 후 ‘늘었다’라고 응답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성별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행태, 코로나19 유행 후 건강행태와 구강증상 및 구강건강행태 변화에 대한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유행 전후 구강건강행태 변화는 대응표본 t-test를 시행하였으며, 긍정적 구강건강행태 변화와 관련 변수들의 연관성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수합된 데이터는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리한 후 SPSS 25.0 (IBM 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판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전체 285명 중 남자 185명(64.9%), 여자 100명(35.1%)이었으며, 연령은 10대 55명(19.3%), 20대 210명(73.7%), 30대 이상이 20명(7.0%)이었다. 평균연령은 23.41±3.69세였다.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좋음’이 157명(55.1%)으로 가장 많았고, ‘보통’ 109명(38.2%), ‘나쁨’ 19명(6.7%) 순이었다.
칫솔 외 구강관리용품 사용여부는 ‘사용 한다’가 146명(51.6%)으로 ‘사용 안 한다’ 137명(48.45)보다 약간 많았다. 사용하는 구강관리용품으로는 치실이 115명(40.4%)으로 가장 많았고, 혀 클리너 50명(17.5%), 치간칫솔 41명(14.4%), 워터픽 13명(4.6%), 구강세정제 7명(2.5%) 순이었다. 코로나19 기간 중 치과방문 경험은 ‘있다’가 176명(62.2%)으로 ‘없다’ 107명(37.8%)보다 많았다. 치과방문 이유는 정기검진 및 스켈링이 126명(44.2%)으로 가장 많았고, 치과 방문을 하지 않은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가 49명(71.0%)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에 따른 치과방문은 경험이 있는 여성이 75.0%로 남성 55.2%보다 많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Table 2).
연구대상자의 건강행태 중 신체활동은 코로나19 유행전과 비교하여 ‘줄었다’가 124명(44.8%)으로 가장 많았고, 음주도 ‘줄었다’가 94명(43.9%)으로 가장 많았다. 흡연은 ‘비슷하다’가 34명(65.4%)로 가장 많았고, 수면도 ‘비슷하다’가 167명(63.0%)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에 따른 건강행태 중 수면은 증가한 여성이 31.5%로 남성 19.1%보다 많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0).
연구대상자의 구강증상 중 이 악물기, 턱관절 통증, 턱관절 잡음, 치은출혈 및 구취는 코로나19 유행전과 비교하여 ‘비슷하다’가 각각 115명(72.3%), 86명(76.1%), 95명(72.0%), 83명(82.2%) 및 113명(76.9%)로 가장 많았다. 성별에 따른 구강증상 중 이 악물기가 증가한 여성이 30.9%로 남성 10.6%보다 많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2).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행태 중 하루 평균 칫솔질, 하루 평균 치실질, 하루 평균 치간 칫솔질 및 하루 평균 껌 저작은 코로나19 유행전과 비교하여 ‘비슷하다’가 각각 248명(87.0%), 263명(92.3%), 278명(97.5%) 및 275명(96.5%)로 가장 많았다(Table 3).
하루 평균 칫솔질 횟수는 코로나19 유행 전 2.50±0.70회에서 유행 후 2.56±0.71회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9). 하루 평균 치실 사용 횟수는 코로나19 유행 전 0.52±0.79회에서 유행 후 0.60±0.81회로 증가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하루 평균 치간 칫솔 사용 횟수는 코로나19 유행 전 0.22±0.60회에서 유행 후 0.27±0.68회로 증가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9). 하루 평균 껌 저작 횟수는 코로나19 유행 전 0.16±0.60회에서 유행 후 0.15±0.56회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318; Table 4).
구강건강행태의 긍정적 변화 유무를 종속변수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모든 변수가 보정된 상태에서 칫솔 외 구강관리용품 사용여부와 구강증상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구강건강행태의 긍정적 변화 유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Table 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행태, 건강행태 및 구강증상을 측정하였고, 코로나19 유행 전후 구강건강행태 변화를 분석하였다.
Sampson13)은 구강 내 세균 감소와 세균성 이차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SARS-CoV-2 감염 시 구강 위생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중증 코로나19환자들(약 20%)은 높은 수준의 염증 지표(inflammatory markers) 및 세균14,15)과 관련이 있었다. 코로나19 합병증의 위험 증가와 관련된 세 가지 주요 동반질환으로는 당뇨병,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이 있으며16), 이러한 동반질환은 변경된 구강 생체막(biofilms)과 치주질환과도 연관이 있었다. 이에 당뇨병, 고혈압 및 심혈관 질환으로 인해 생체막이 변형되기 쉬운 환자의 경우 불량한 구강위생을 코로나19 합병증의 위험요인으로 고려할 것을 권고하였다13).
본 연구 결과 칫솔 외 사용하는 구강관리용품으로는 치실이 115명(40.4%)으로 가장 많았고, 혀 클리너 50명(17.5%), 치간칫솔 41명(14.4%), 워터픽 13명(4.6%), 구강세정제 7명(2.5%)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기간 중 치과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176명(62.2%)으로 경험이 없는 대상자 107명(37.8%)보다 많았다. 치과방문 이유는 정기검진 및 스켈링과 같은 예방진료가 126명(44.2%)로 가장 많았고, 치과 방문을 하지 않은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대학생이 49명(71.0%)으로 가장 많았다. 반면 브라질의 0-12세 자녀가 있는 1,003명 부모의 구강건강인식을 설문조사한 결과 568명이 진료나 치과 진료를 거부했으며, 대부분의 부모들(66.6%)은 응급치과진료만 받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치과방문 의지는 코로나19에 대한 두려움과 연관성이 있었다(P<0.001)17). 이와 같은 차이는 2021년 11월 18일 현재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누적확진자는 406,065명이며, 사망률은 0.78%인데 비해 브라질의 누적확진자는 21,965,684명이고, 사망률은 2.8%로 차이가 나 부모들의 두려움이 자녀들의 치과방문 기피로 이어진 결과로 사료된다. 한편 성별에 따른 치과방문은 경험이 있는 여성이 75.0%로 남성 55.2%보다 많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이는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구강건강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18).
신체활동과 음주는 코로나19 유행전과 비교하여 줄었다고 응답한 대학생이 각각 124명(44.8%)및 94명(43.9%)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지역사회 감염 차단을 위한 정부가 권고하는 수칙인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결과로 생각된다. 이 악물기, 턱관절 통증, 턱관절 잡음, 치은출혈 및 구취는 코로나19 유행전과 비교하여 비슷하다고 응답한 대학생이 각각 115명(72.3%), 86명(76.1%), 95명(72.0%), 83명(82.2%) 및 113명(76.9%)로 가장 많았다. 한편 성별에 따른 건강행태 중 수면은 증가한 여성이 31.5%로 남성 19.1%보다 많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010), 구강증상 중 이 악물기는 증가한 여성이 30.9%로 남성 10.6%보다 많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2). 이는 이 악물기의 경우 일종의 스트레스 반응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코로나19라는 재난 상황에서 더 큰 스트레스를 받아 나타난 결과19)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 구강건강행태 중 하루 평균 칫솔질은 코로나19 유행전과 비교하여 증가한 대상자가 26명(9.1%)이었으며, 하루 평균 칫솔질 횟수는 코로나19 유행 전 2.50회에서 유행 후 2.56회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9). 하루 평균 치실 사용 횟수도 코로나19 유행 전 0.52회에서 유행 후 0.60회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또한 하루 평균 치간 칫솔 사용 횟수는 코로나19 유행 전 0.22회에서 유행 후 0.27회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9). 반면 18세 이상 브라질 성인 1,346명을 대상으로 마스크 사용으로 인한 구강위생습관, 구강상태, 치과진료 이유 및 심미적 관심에 대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마스크 사용 전에 비해 마스크 사용 후 하루 칫솔질 횟수가 감소하였으며(P=0.001), 구강위생에 대한 관심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6)20). 또한 하루 치실 사용 횟수와 구강세정제 사용 횟수는 코로나19 유행 전후 차이가 없었다. 이 같은 차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가 주로 젊은 성인인데 비해 Pinzan-Vercelino 등20)의 연구에서는 36세 이상 성인의 비율이 57.9%로 연령별 분포 차이에 따른 결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구강건강행태의 긍정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확인한 결과 구강관리용품 사용여부와 구강증상 유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칫솔 외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군에 비해 사용하는 군에서 긍정적 구강건강행태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5.2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구강증상이 없는 군에 비해 있는 군에서 긍정적 구강건강행태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4.2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상 시 칫솔 외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여 구강건강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코로나19 유행 이후에도 개인구강위생에 좀 더 신경을 쓰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 악물기, 턱관절 통증, 턱관절 소리, 잇몸출혈 및 구취 등 구강증상을 인지하는 사람들이 치과방문이 꺼려지는 상황에서 본인 스스로가 할 수 있는 개인구강위생 관리를 위해 노력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부 지역 대학생만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대학생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 설문조사만을 이용하여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증상을 파악하여 객관성이 부족할 수 있으나 본 연구는 저자가 아는 한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 유행 전후에 구강건강행태 변화를 알아본 첫 번째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차후 우리나라 전체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행태, 건강행태 및 구강증상을 측정하였고, 코로나19 유행 전후 구강건강행태 변화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에 따른 건강행태 중 수면이 증가한 여성이 31.5%로 남성 19.1%보다 많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P=0.010), 구강증상 중 이 악물기가 증가한 여성이 30.9%로 남성 10.6%보다 많아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2).
2. 하루 평균 칫솔질 횟수는 코로나19 유행 전 2.50회에서 유행 후 2.56회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9), 하루 평균 치실 사용 횟수는 코로나19 유행 전 0.52회에서 유행 후 0.60회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또한 하루 평균 치간 칫솔 사용 횟수는 코로나19 유행 전 0.22회에서 유행 후 0.27회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9).
3.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군에 비해 사용하는 군에서 구강건강행태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날 확률이 5.2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구강증상이 없는 군에 비해 있는 군에서 구강건강행태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날 확률이 4.2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여 구강건강을 관리하는 사람들이 코로나19 유행 이후에도 개인구강위생에 좀 더 신경을 쓰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구강증상을 인지하는 사람들이 개인구강위생 관리를 위해 노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ferences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ronavirus Disease-19, Republic of Korea. About COVID-19 [Internet]. Available from: http://ncov.mohw.go.kr. cited 2021 Mar 2.
2. World Health Organization &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Advice on the use of masks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in the context of COVID-19: annex to the advice on the use of masks in the context of COVID-19, 21 August 2020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apps.who.int/iris/handle/10665/333919. 2020 August 21.
3. Chu DK, Akl EA, Duda S, Solo K, Yaacoub S, Schünemann HJ. 2020; COVID-19 systematic urgent review group effort (SURGE) study authors. Physical distancing, face masks, and eye protection to prevent person-to-person transmission of SARS-CoV-2 and COVID-19: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ncet. 395:1973–1987. DOI: 10.1016/S0140-6736(20)31142-9.
4. Huh K, Kim YE, Ji W, Kim DW, Lee EJ, Kim JH, et al. 2021; Decrease in hospital admissions for respiratory disea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nationwide claims study. Thorax. 76:939–941. DOI: 10.1136/thoraxjnl-2020-216526. PMID: 33782081. PMCID: PMC8011422.
5. Kang JM, Kim YE, Huh K, Hong J, Kim DW, Kim MY, et al. 2021; Reduction in Kawasaki disease after nonpharmaceutical interventions in the COVID-19 era: a nationwide observational study in Korea. Circulation. 143:2508–2510. DOI: 10.1161/CIRCULATIONAHA.121.054785. PMID: 34092115. PMCID: PMC8212882.
6. Buunk-Werkhoven YAB, Reyerse E. 2020; What is the impact of oral (public) health promotion, and of interventions for oral (self) care awareness raising and behavior change? J Dent Oral Disord Ther. 8:1–4.
7. Pereira LJ, Pereira CV, Murata RM, Pardi V, Pereira-Dourado SM. 2020; Biological and social aspects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related to oral health. Braz Oral Res. 34:e041. DOI: 10.1590/1807-3107bor-2020.vol34.0041. PMID: 32401931.
8. Izzetti R, Nisi M, Gabriele M, Graziani F. 2020; COVID-19 Transmission in dental practice: brief review of preventive measures in Italy. J Dent Res. 99:1030–1038. DOI: 10.1177/0022034520920580. PMID: 32302257.
9. Kim J. 2020; Guidelines for dental clinic infection prevention during COVID-19 pandemic. JKADA. 8:1–7.
10. Lee WK, Cho JH, Yoo SM, Hwang JH, Kim HJ, Yoon HY, et al. 2020; Effect of Coronavirus disease (COVID)-19 on visiting dental institutions. KJCDH. 8:55–61. DOI: 10.12972/kjcdh.20200007.
11. Heo SE, Kim YR. 2021; Fusion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oral health behavior, autologous oral health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due to COVID-19.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2:27–34.
12. Newton JT, Awojobi O, Nasseripour M, Warburton F, Di Giorgio S, Gallagher JE, et al. 2020;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Role of Sugar-Free Chewing Gum in Dental Caries. JDR Clin Trans Res. 5(3):214–223. DOI: 10.1177/2380084419887178. PMID: 31743654.
13. Sampson V. 2020; Oral hygiene risk factor. Br Dent J. 228:569. DOI: 10.1038/s41415-020-1545-3. PMID: 32332938. PMCID: PMC7180644.
14. Gong J, Dong H, Xia QS, Huang ZY, Wang DK, Zhao Y, et al. 2020;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isease severity and inflammation-related parameters in patients with COVID-19: a retrospective study. BMC Infect Dis. 20:963. DOI: 10.1186/s12879-020-05681-5. PMID: 33349241. PMCID: PMC7750784.
15. Liu J, Liu Y, Xiang P, Pu L, Xiong H, Li C, et al. 2020; Neutrophil-to-lymphocyte ratio predicts critical illness patients with 2019 coronavirus disease in the early stage. J Transl Med. 18:206. DOI: 10.1186/s12967-020-02374-0. PMID: 32434518. PMCID: PMC7237880.
16. Zhou F, Yu T, Du R, Fan G, Liu Y, Liu Z, et al. 2020; Clinical course and risk factors for mortality of adult inpatients with COVID-19 in Wuhan, China: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Lancet. 395:1054–1062. DOI: 10.1016/S0140-6736(20)30566-3. PMID: 32171076. PMCID: PMC7270627.
17. Campagnaro R, Collet GO, Andrade MP, Salles JPDSL, Calvo Fracasso ML, Scheffel DLS, et al. 2020; COVID-19 pandemic and pediatric dentistry: fear, eating habits and parent's oral health perceptions. Child Youth Serv Rev. 118:105469. DOI: 10.1016/j.childyouth.2020.105469. PMID: 32952248. PMCID: PMC7490252.
18. Lee KH. 2017; Kim BY, Kim CJ, Son JY, Song YJ, Choi YJ, et al.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care and toothbrush use in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17:1081–1094. DOI: 10.13065/jksdh.2017.17.06.1081.
19. Viswanath B, Maroky AS, Math SB, John JP, Cherian AV, Girimaji SC, et al. 2013; Gender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impact of tsunami. Int J Soc Psychiatry. 59:130–136. DOI: 10.1177/0020764011423469. PMID: 22053075.
20. Pinzan-Vercelino CR, Freitas KM, Girão VM, da Silva DO, Peloso RM, Pinzan A. 2021; Does the use of face mask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mpact on oral hygiene habits, oral conditions, reasons to seek dental care and esthetic concerns? J Clin Exp Dent. 13:e369–e375. DOI: 10.4317/jced.57798. PMID: 33841736. PMCID: PMC8020324.
Table 1
Variables | Total | Male | Female |
---|---|---|---|
Total | 285 (100.0) | 185 (64.9) | 100 (35.1) |
Age (yrs) | |||
≤20 | 55 (19.3) | 39 (21.1) | 16 (16.0) |
21-29 | 210 (73.7) | 129 (69.7) | 81 (81.0) |
≥30 | 20 (7.0) | 17 (9.2) | 3 ( 3.0) |
Table 2
Variables | Total | Gender | P* | |
---|---|---|---|---|
Male | Female | |||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 0.419 | |||
Good | 157 (55.1) | 97 (52.4) | 60 (60.0) | |
Moderate | 109 (38.2) | 74 (40.0) | 35 (35.0) | |
Bad | 19 (6.7) | 14 (7.6) | 5 (5.0) | |
Use of oral care products | 0.631 | |||
No | 137 (48.4) | 91 (49.5) | 46 (46.5) | |
Yes | 146 (51.6) | 93 (50.5) | 53 (53.5) | |
Types of oral care products† | - | |||
Dental floss | 115 (40.4) | 75 (40.5) | 40 (40.0) | |
Interdental brush | 41 (14.4) | 24 (13.0) | 17 (17.0) | |
Tongue cleaner | 50 (17.5) | 28 (15.1) | 22 (22.0) | |
Water pick | 13 (4.6) | 9 (4.9) | 4 (4.0) | |
Mouthwash | 7 (2.5) | 6 (3.2) | 1 (1.0) | |
Dental visit during COVID-19 | 0.001 | |||
No | 107 (37.8) | 82 (44.8) | 25 (25.0) | |
Yes | 176 (62.2) | 101 (55.2) | 75 (75.0) | |
Reasons for dental visit† | - | |||
Regular check-up/scaling | 126 (44.2) | 71 (38.4) | 55 (55.0) | |
Gum problems | 5 (1.8) | 2 (1.1) | 3 (3.0) | |
Dental caries | 36 (12.6) | 24 (13.0) | 12 (12.0) | |
Tooth extraction | 11 (3.9) | 6 (3.2) | 5 (5.0) | |
Orthodontic | 9 (3.2) | 3 (1.6) | 6 (6.0) | |
Jaw pain | 6 (2.1) | 4 (2.2) | 2 (2.0) | |
Etc. | 4 (1.4) | 1 (0.5) | 3 (3.0) | |
Reasons for not visiting the dental clinic | 0.544 | |||
Afraid of COVID-19 infection | 10 (14.5) | 8 (14.5) | 2 (14.3) | |
Have no time | 49 (71.0) | 37 (67.3) | 12 (85.7) | |
Economic reasons | 5 (7.2) | 5 (9.1) | 0 (0.0) | |
Long distance | 3 (4.3) | 3 (5.5) | 0 (0.0) | |
Etc. | 2 (2.9) | 2 (3.6) | 0 (0.0) |
Table 3
Variables | Total | Gender | P* | |
---|---|---|---|---|
Male | Female | |||
General health behavior | ||||
Physical activity | 0.481 | |||
Increased | 41 (14.8) | 26 (14.5) | 15 (15.3) | |
Similar | 112 (40.4) | 77 (43.0) | 35 (35.7) | |
Decreased | 124 (44.8) | 76 (42.5) | 48 (49.0) | |
Smoking | 0.218 | |||
Increased | 9 (17.3) | 9 (20.9) | 0 (0.0) | |
Similar | 34 (65.4) | 26 (60.5) | 8 (88.9) | |
Decreased | 9 (17.3) | 8 (18.6) | 1 (11.1) | |
Drinking | 0.989 | |||
Increased | 37 (17.3) | 24 (17.1) | 13 (17.6) | |
Similar | 83 (38.8) | 54 (38.6) | 29 (39.2) | |
Decreased | 94 (43.9) | 62 (44.3) | 32 (43.2) | |
Sleeping | 0.010 | |||
Increased | 62 (23.4) | 33 (19.1) | 29 (31.5) | |
Similar | 167 (63.0) | 110 (63.6) | 57 (62.0) | |
Decreased | 36 (13.6) | 30 (17.3) | 6 (6.5) | |
Oral symptoms | ||||
Tooth clenching | 0.002 | |||
Increased | 28 (17.6) | 11 (10.6) | 17 (30.9) | |
Similar | 115 (72.3) | 79 (76.0) | 36 (65.5) | |
Decreased | 16 (10.1) | 14 (13.5) | 2 (3.6) | |
Jaw pain | 0.208 | |||
Increased | 16 (14.2) | 10 (13.2) | 6 (16.2) | |
Similar | 86 (76.1) | 56 (73.7) | 30 (81.1) | |
Decreased | 11 (9.7) | 10 (13.2) | 1 (2.7) | |
Jaw sound | 0.080 | |||
Increased | 21 (15.9) | 11 (12.5) | 10 (22.7) | |
Similar | 95 (72.0) | 63 (71.6) | 32 (72.7) | |
Decreased | 16 (12.1) | 14 (15.9) | 2 (4.5) | |
Gingival bleeding | 0.455 | |||
Increased | 3 (3.0) | 3 (4.3) | 0 (0.0) | |
Similar | 83 (82.2) | 56 (80.0) | 27 (87.1) | |
Decreased | 15 (14.9) | 11 (15.7) | 4 (12.9) | |
Halitosis | 0.182 | |||
Increased | 22 (15.0) | 11 (11.2) | 11 (22.4) | |
Similar | 113 (76.9) | 78 (79.6) | 35 (71.4) | |
Decreased | 12 (8.2) | 9 (9.2) | 3 (6.1) | |
Oral health behavior | ||||
Tooth brush (daily) | 0.274 | |||
Increased | 26 (9.1) | 19 (10.3) | 7 (7.0) | |
Similar | 248 (87.0) | 161 (87.0) | 87 (87.0) | |
Decreased | 11 (3.9) | 5 (2.7) | 6 (6.0) | |
Dental floss (daily) | 0.155 | |||
Increased | 20 (7.0) | 13 (7.0) | 7 (7.0) | |
Similar | 263 (92.3) | 172 (93.0) | 91 (91.0) | |
Decreased | 2 (0.7) | 0 (0.0) | 2 (2.0) | |
Interdental brush (daily) | 0.663 | |||
Increased | 7 (2.5) | 4 (2.2) | 3 (3.0) | |
Similar | 278 (97.5) | 181 (97.8) | 97 (97.0) | |
Decreased | - | - | - | |
Chewing gum (daily) | 0.464 | |||
Increased | 3 (1.1) | 2 (1.1) | 1 (1.0) | |
Similar | 275 (96.5) | 180 (97.3) | 95 (95.0) | |
Decreased | 7 (2.5) | 3 (1.6) | 4 (4.0) |
Table 4
Variables | N | COVID-19 | P* | |
---|---|---|---|---|
Before | After | |||
Tooth brush (daily) | 285 | 2.50±0.70 | 2.56±0.71 | 0.009 |
Dental floss (daily) | 285 | 0.52±0.79 | 0.60±0.81 | <0.001 |
Interdental brush (daily) | 285 | 0.22±0.60 | 0.27±0.68 | 0.019 |
Chewing gum (daily) | 285 | 0.16±0.60 | 0.15±0.56 | 0.318 |
Table 5
Variables | OR | 95% CI | P* | |
---|---|---|---|---|
Age | 0.944 | 0.845 | 1.050 | 0.288 |
Sex | ||||
Male | 1.410 | 0.652 | 3.050 | 0.383 |
Female | 1.000 | |||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 ||||
Bad | 1.000 | |||
Moderate | 2.361 | 0.469 | 11.890 | 0.298 |
Good | 1.844 | 0.366 | 9.291 | 0.458 |
Use of oral care products | ||||
No | 1.000 | |||
Yes | 5.292 | 2.275 | 12.311 | <0.001 |
Dental visit during COVID-19 | ||||
No | 1.000 | |||
Yes | 0.481 | 0.230 | 1.006 | 0.052 |
Oral symptoms | ||||
No | 1.000 | |||
Yes | 4.271 | 1.960 | 9.309 | <0.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