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2.1. 변수의 선정
2.2. 조사방법

연구 성적
1. 연구대상자의 객관적 구강상태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인식
Table 1
Variables | N |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N (%) | χ2 | P* | ||
---|---|---|---|---|---|---|
|
||||||
Good | Moderate | Bad | ||||
Total | 771 | 112 (14.5) | 348 (45.1) | 311 (40.3) | ||
Gender | 0.784 | 0.676 | ||||
Male | 318 | 50 (15.7) | 139 (43.7) | 129 (40.6) | ||
Female | 453 | 62 (13.7) | 209 (46.1) | 182 (40.2) | ||
Age | 7.470 | 0.487 | ||||
35-44 | 122 | 13 (10.7) | 57 (46.7) | 52 (42.6) | ||
44-54 | 260 | 35 (13.5) | 113 (43.5) | 112 (43.1) | ||
55-64 | 293 | 52 (17.7) | 129 (44.0) | 112 (38.2) | ||
Over 65 | 96 | 12 (12.5) | 49 (51.0) | 35 (36.5) | ||
Periodic preventive oral-care | 77.751 | <0.0001 | ||||
Over 8 Yrs. | 96 | 17 (17.7) | 56 (58.3) | 23 (24.0) | ||
4-7 Yrs. | 158 | 37 (23.4) | 79 (50.0) | 42 (26.6) | ||
1-3 Yrs. | 161 | 33 (20.5) | 81 (50.3) | 47 (29.2) | ||
No (initial care, under 1 year) | 356 | 25 (7.0) | 132 (37.1) | 199 (55.9) | ||
Number of natural teeth | 7.463 | 0.024 | ||||
27-28 | 450 | 64 (14.2) | 221 (49.1) | 165 (36.1) | ||
Below 26 | 321 | 48 (15.0) | 127 (39.6) | 146 (45.5) | ||
Removable prothesis | 3.420 | 0.181 | ||||
Yes | 23 | 1 (4.3) | 9 (39.1) | 13 (56.5) | ||
No | 748 | 111 (14.8) | 339 (45.3) | 298 (39.8) | ||
Fixed prothesis | 7.807 | 0.020 | ||||
Yes | 243 | 38 (15.6) | 92 (37.9) | 113 (46.5) | ||
No | 528 | 74 (14.0) | 256 (48.5) | 198 (37.5) | ||
Implant prothesis | 4.037 | 0.133 | ||||
Yes | 193 | 34 (17.6) | 76 (39.4) | 83 (43.0) | ||
No | 578 | 78 (13.5) | 272 (47.1) | 228 (39.4) | ||
Periodontal pocket over 4 mm | 19.501 | <0.0001 | ||||
Yes | 409 | 52 (12.7) | 162 (39.6) | 195 (47.7) | ||
No | 362 | 60 (16.6) | 186 (51.4) | 116 (32.0) | ||
Chronic disease | 8.292 | 0.016 | ||||
Yes | 243 | 38 (15.6) | 92 (37.9) | 113 (46.5) | ||
No | 493 | 80 (16.2) | 232 (47.1) | 181 (36.7) |
2. 주관적 구강증상 및 구강건강염려도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Table 2
Variables | N |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N (%) | χ2 | P* | ||
---|---|---|---|---|---|---|
|
||||||
Good | Moderate | Bad | ||||
Toothache | ||||||
Yes | 277 | 9 (3.2) | 111 (40.1) | 157 (56.7) | 68.927 | <0.0001 |
No | 494 | 103 (20.9) | 237 (48.0) | 154 (31.2) | ||
Gingival pain | ||||||
Yes | 321 | 38 (11.8) | 120 (37.4) | 163 (50.8) | 24.926 | <0.0001 |
No | 450 | 74 (16.4) | 228 (50.7) | 148 (32.9) | ||
Hypersensitivity to coldness | ||||||
Yes | 458 | 46 (10.0) | 206 (45.0) | 206 (45.0) | 21.638 | <0.0001 |
No | 313 | 66 (21.1) | 142 (45.4) | 105 (33.5) | ||
Gingival bleeding | ||||||
Yes | 290 | 26 (9.0) | 102 (35.1) | 162 (55.9) | 47.895 | <0.0001 |
No | 481 | 86 (17.9) | 246 (51.1) | 149 (31.0) | ||
Malodor | ||||||
Yes | 477 | 60 (12.6) | 189 (39.6) | 228 (47.8) | 28.958 | <0.0001 |
No | 294 | 52 (17.7) | 159 (54.1) | 83 (28.2) | ||
Concerns about oral health | ||||||
Frequently | 250 | 10 (4.0) | 55 (22.0) | 185 (74.0) | 194.772 | <0.0001 |
Occasionally | 478 | 84 (17.6) | 274 (57.3) | 120 (25.1) | ||
Seldom | 43 | 18 (41.9) | 19 (44.2) | 6 (14.0) |
3.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관련된 요인의 교차비
Table 3

고 안

결 론
객관적 구강상태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에 연관성이 있는 요인은 자연치아수, 주기적 구강건강관리, 고정성 보철물, 4 mm 이상 치주낭 존재, 만성질환이었다(P<0.05).
주관적 구강증상과 구강건강염려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에 연관성이 있는 요인은 치아통증, 치은통증, 냉지각과민, 치은출혈, 구취, 구강건강염려이었다(P<0.05).
3.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이 ‘좋음’을 기준으로 ‘나쁨’으로 인식하는 경향은 구강건강염려를 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자주하는 그룹이 43.41배, 가끔 걱정하는 그룹이 2.94배, 치아통증이 있는 경우 6.08배, 냉지각과민이 있는 경우 2.13배로 나타났다(P<0.05).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이 ‘좋음’을 기준으로 ‘보통’으로 인식하는 경향은 구강건강염려를 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자주하는 그룹이 4.14배, 가끔 걱정하는 그룹이 2.40배, 치아통증이 있는 경우 5.11배, 4 mm 이상 치주낭이 있는 경우 1.74배, 냉지각과민을 감지하는 경우 1.64배로 나타났다(P<0.05).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이 ‘좋음’을 기준으로 ‘나쁨’으로 인식하는 경향은 초기질병치료 그룹에 비해 1-3년 주기적 구강관리그룹은 0.19배, 4-7년 주기적 구강관리그룹은 0.11배, 8년 이상 주기적 구강관리그룹은 0.14배로 나타났다(P<0.05).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이 ‘좋음’을 기준으로 ‘보통’으로 인식하는 경향은 초기질병치료 그룹에 비해 1-3년 주기적 구강관리그룹은 0.40배, 4-7년 주기적 구강관리그룹은 0.30배로 나타났다(P<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