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자의 상황적 구조 진술
본 연구 자료에서 도출된 5가지 핵심상황과 관련된 구조를 서술하고, 각 상황에서의 주제와 중심의미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Table 2).
Table 2.
Five core situations, themes, and focal meanings of pregnant women’s adaptation
Core situation |
Theme |
Focal meaning |
First recognizing the pregnancy |
Anxiety, pressure, and embarrassment due to pregnancy |
Worried, upset, and frightened despite planning pregnancy |
|
|
Husband worried that baby will take away his wife’s love |
|
|
Burden, surprise, and embarrassment due to unplanned pregnancy |
|
|
Being okay with the joy and congratulations of family and friends |
Pregnancy-related changes |
Efforts to adapt to physical changes |
Enduring alone the pain of long morning sickness |
|
|
Health care for pregnancy maintenance and baby delivery |
|
|
Participation in maternity classes to adjust to pregnancy |
|
Efforts to adapt to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pregnancy |
Controlling one’s mind and active efforts to suppress negative emotions caused by pregnancy |
|
|
Family interest and support for ease of mind |
|
|
Acquiring psychological support through social network |
|
Efforts to adapt to the financial burden and role changes caused by pregnancy |
Financial burden required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
|
|
A shift in consciousness of choosing a baby between work and baby |
|
Connecting with the fetus |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the fetus and giving meaning to fetal movement |
|
|
Dad more active than mother towards the unborn child |
|
Adapting to a new marital relationship centering on the baby |
Companion for parenthood |
|
|
Fit together with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
|
|
A husband who cares for and values his wife |
|
|
Need husband’s comfort and empathy |
The upcoming birth |
The frustration of childbirth |
Unsure of natural childbirth |
|
|
Couple preparing for childbirth together |
|
Fear of childbirth |
Fear of childbirth in pregnant women |
|
|
Spouse’s fear of childbirth |
|
|
Participation in prenatal education to relieve fear of childbirth |
The postpartum period |
Postpartum care, need help with lactation planning |
Planning for postpartum care |
|
|
Breastfeeding without confidence |
Parenting |
Parenting beyond what I imagined |
Unprepared for the reality of child-raising |
|
|
Dark thoughts about parenting alone |
|
|
Lack of reliable information and practical help for prenatal education |
|
Dad’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arenting |
Dad’s willingness and concern for parenting |
|
|
Dad taking charge of parenting |
|
|
Wife's wish for her husband to care for and become attached to the baby |
|
Career disconnect and consideration of workplace needs |
Suffocation and depression from career breaks |
|
|
Need for coordination and consideration at work |

처음 임신을 인지한 상황과 관련된 구조
임신을 계획한 여성과 배우자는 기쁨과 감사의 긍정적 마음을 표현하기도 했지만, 임신을 계획했음에도 불안 및 부담스러움을 표현하였다. 반대로 비 계획 임신인 경우 임신 여성은 임신 사실에 대해 당황스러웠으나 남편이나 가족, 친구 등 주변 사람들의 지지로 인해 임신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주제모음 1: 임신으로 인한 불안과 부담감, 당황스러움
▶중심의미 1: 계획적으로 임신하였음에도 걱정, 심란함, 무서움
“(계획한 임신이었는데도) 두 번이 (유산)되니까 뭔가 더 심란하고 더 걱정이 컸는데…(참여자 6)”, “아기를 가져야지 마음을 먹었는데… 아직 덜 준비한 것 같은데… 생겨서 당황스러웠어요… 걱정되었어요(참여자 10).”
▶중심의미 2: 임신으로 아기에게 아내를 빼앗길 것을 걱정하는 남편
“아빠도 아기를 잘 돌보고 아기랑 친해져야 될 것 같아요. 안 그러면 또 자기가 왕따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고… 또 애기 낳으면 저를 애기한테 뺏겼다 이런 식으로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참여자 2).”, “(남편이) 얘기해요. 힘들고 부담스럽다고… 우리 둘만의 시간이 중요한데 애기가 나오면 자기가 2순위로 밀릴까 봐 걱정을 많이 했는데 아기가 아들인 거를 알고 더 걱정을 했어요(참여자 9).”
▶중심의미 3: 비계획 임신으로 부담, 놀람, 당황스러운 마음
“계획 임신이 아니어 가지고 그냥 애기가 있구나, 라고 생각하다가… 애기보다는 내 일이 먼저 중요하니까, 관심도 사실 조금 부담이 되면서 잘 실감이 안 났던 거 같아요(참여자 3).”, “2년 후에 갖자고 되게 강하게 얘기를 했었던 건데… 임신한 것을 알았을 때는 너무 놀래고 당황해서… 아기에 대한 생각이 막 그렇게 있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참여자 4).”
▶중심의미 4: 가족과 친구의 기쁨과 축하로 괜찮아짐
“주변에서는 되게 좋아하셨죠. 다들 축하해주고… 남편이 그렇게 막 엄청 좋아할 거라는 기대는 안 했는데.. 생각보다 되게 좋아해 줘 가지고… 괜찮아졌던 것 같아요(참여자 4).”, “주변에 친구들이 막 이렇게 선물도 해주고… 진짜 내 일처럼 좋아해 주는 게 느껴지는 거예요. 내 일처럼 축하해줘 가지고… 그러니까는 되게 고마웠고… 좋아졌어요(참여자 5).”
임신으로 변화하는 상황과 관련된 구조
임신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관계적 측면에서 변화가 일어나는 상황에서 신체적 건강 유지를 위한 건강 관리 및 정신적 적응을 위한 마인드 컨트롤, 재정적 부담과 사회적 역할 변화에 맞는 활동과 가치를 추구, 태아 및 배우자와의 관계적 측면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하였다.
주제모음 1: 신체적 변화에 적응하려는 노력
▶중심의미 1: 오랜 입덧의 고통을 홀로 견딤
“(입덧은) 한 2–3개월 한 거 같아요. 조금 길었던 느낌이었어요. 과일은 거의 가리지 않고 제철과일을 거의 많이 먹었고, 달달한 거를 좀 많이 먹었던 거 같아요. 밥은 먹기는 했는데 거의 먹는 둥 마는 둥 했고요. 그리고 그 외에 다른 음식들은 거의 못 먹었던 것 같아요. 좀 남편이 거의 항상 입덧할 때는 옆에 있어 주면 좋은데, 없으니까 그거에 대한 서운함이 좀 많이 컸었죠(참여자 8).”, “입덧이 한 5개월까지는 갔던 거 같고… 입덧하고 6키로 빠지고는 아주 마르게 된 거… 입덧 심할 때는… 너무 힘들다 이렇게 살아가야 하나 너무 힘드니까… 마음도 축 가라앉고… 제가 저 나름의 방식으로 올라오려고 그러면 이걸 낮추는 그런 방법을 혼자 쓰면서 그냥 버텼구요(참여자 9).”
▶중심의미 2: 임신 유지와 출산을 위한 건강 관리
“…자연분만을 너무 하고 싶은데, 핸디캡을 줄여보자고… 체중 관리를 좀 했어요… 살을 너무 찌면 자연분만 힘들어지니까…(참여자 5)”, “초기 때는 아무래도 유산검사 해가지고 몸에 이상 있는 거 병원 다니면서 치료했고, 12주까지 배에다 매일 주사 맞았거든요…(참여자 6)”, “흡연은 하루에 한 갑 좀 넘게 피웠어요. 흡연이나 술을 임신하기 전부터 끊었어요. 아기를 생각한 부분이 있어서… 돈으로 못 해주니까 멀쩡하게라도 낳아줘야 되겠다 싶어서요(참여자 10).”
▶중심의미 3: 임신에 적응하기 위해 산모교실 참여
“산모교실은 한 다섯 번인가 가고… 산모교실에서 임신 전반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시는 게 있었어요… 산모들이 궁금해하는 것들에 대해 질문도 많이 받아주고… 임신 중에 엄마가 하지 말아야 될 거랑… 그 기형하고 관련해가지고… 그때도 되게… 음… 좋았고(참여자 4)”, “네 산모교실 다니면서 좀 웃고 뭐… 저는 좀 많이 다녔어요. 산모교실을… 많을 때는… 일주일에 두 번씩 있거든요(참여자5).”, “…산전교육은 계속 받고 있어요(참여자 9).”
주제모음 2: 임신으로 인한 심리적 어려움에 적응하기 위한 노력
▶중심의미 1: 임신으로 인한 부정적 감정을 억제하려는 마인드 컨트롤
“애기 가지고서 검사 같은 거 하고 할 때, 걱정을 좀 많이 했던 것 같은데, …아기에게 안 좋다고 해서 안 하려고 노력을 했어요(참여자 2).”, “좋은 생각을 하려고 애쓰긴 했던 것 같아요… 전에는 일 관둔 것 때문에 스트레스가 많이 있어 가지고 계속 불안했었거든요. …이제 마인드 컨트롤이 필요했던… 이렇게 안 좋은 쪽으로 생각이 들을 때…(참여자 4)”, “너무 예민하니까 제가 책이라도 좀 보고 마인드 컨트롤을 해야겠다는…(참여자 7)”
▶중심의미 2: 마음을 편하게 해주려는 가족의 지지
“만약에 친정 어머님이라는 존재가 안 계셨다면… 어 그럼 굉장히 힘들겠죠(참여자 6).”, “남편도 그렇고, 저희 엄마도 혼자 있으면 더 우울하고 하니까 저희 집도 많이 와주고 저보고 나오라고 계속하고, 잡생각 안 들게 해준 거 같아요(참여자 7).”
▶중심의미 3: 사회 망을 통한 심리적 지지 획득
“집에만 있으면 너무 사람이 우울해지고, …일부러 산모교실 신청해서 주변에 다니기도 하고, 집 근처에서 친구를 만들어 보기도 하고, …산모교실이나 운동(요가)하면서 알게 된 분들 만나서 얘기도 하고 밥도 먹고 뭐 이렇게 되는 것 같아요(참여자 3).”, “...그냥 주변 친구들이나 지인분들이나, 동네 친구들이나…, 아파트에서 만난 언니 동생들 만나서 수다 떨고 하면 시간도 금방 가잖아요? 얘기하면 공감도 잘해주고, 따뜻하고... 같은 시기에 임신한 동생도 있어서 공감도 되고, 아닌 분들도 얘기도 잘 들어주시고 그러셔서…(참여자 7)”
주제모음 3: 임신으로 인한 재정 부담과 역할 변화에 적응하려는 노력
▶중심의미 1: 임신·출산에 필요한 재정적 부담감
“경제적인 거가 걱정되어서 고민을 하니까 그게 스트레스로 왔었던 거 같아요. 아기용품 같은 거를 구입하는 데 있어서도 금액도 많이 부담되고, 친구들 거랑 비교를 하게 되니까 그런 게 조금 힘들었어요(참여자 1).”, “그냥 틈틈이 사 놓아서 한 번에 너무 부담이 되지 않게 하려고 했는데, 예산은 크게 없고 꼭 필요한 것만 사려구요(참여자 9).”
▶중심의미 2: 일과 아기 중에서 아기를 선택한 의식의 전환
“제가 직장 생활을 하고 있었던 부분이기도 했고…(부모님이 아기를 생각하라고 해도)… 그래도 애기보다는 내 일이 먼저 중요하니까… 사실 부모님의 관심도 부담스러웠는데… 뱃속에서 애기 태동도 움직이는 거 막 느껴지고 그러면서 아… 내가 애기를 가지고 있구나, 라고 느껴진 거 같아요… 그러면서 제가 조금씩 더 이렇게 조심하는 게 있는 것 같아요(참여자 3).”, “일을 관두니까 자존감이 확 떨어지더라구요. 내가 없어진 거 같은 그런 느낌 있잖아요. 내 색깔이 없어진 느낌… (남편이) 일을 그렇게 많이 하지 않아도 아이를 키우고 있는 것만으로도 대단한 일을 하고 있는 거다. 뭐 그런 이야기들이 처음엔 안 들리다가 이제 점점 그런 믿음이 생겨서, …그냥 일을 놓고 아이를 키우는 게 낫겠다, 나중에는 그렇게 결정을…(참여자 4)”
주제모음 4: 태아와 관계 맺기
▶중심의미 1: 태아의 존재를 인정하고 태동에 의미를 부여함
“애기 임신했다고 한 후부터 태명을 지은 거 같아요. 태교 동화는 1, 2개 사가지고, 시간이 있을 때마다 한 번씩 읽어주기도 하고 그렇게 된 거죠(참여자 2).”, “너를 좋아한다. 건강하게만… (태어나라)” “…저희 대화할 때 아빠 목소리가 날 때 애기가 더 많이 움직이는 거 같아요… 오빠 목소리를 좋아하는 것 같다고 얘기하면… 그냥 의미를 계속 부여하는 거에요(참여자 9).”
▶중심의미 2: 태아에게 엄마보다 더 적극적인 아빠
“남편이 태아에게 관심이 되게 많은 것 같아요. 그냥 항상 그냥 집에 오고 가고 할 때 항상 인사하고 말 걸고 아기한테 배에다… 만지고, 만져보려고 하고, 갔다 올게, 다녀왔어, 나중에 나오면 아빠랑 축구하자, 아빠가 뭐 너 때문에 열심히 일하고 있어, 그런 이런저런 이야기를 막 해요… (참여자 4)”, “산전교실은 유익했던 거 같아요… 태담을 들려주는 방법이라던가 이런 거를 들었는데 아빠들은 모르니까 같이 들으니까 재미있어하더라고요…(참여자 7)”
주제모음 5: 아기를 중심으로 새로운 부부관계 적응
▶중심의미 1: 부모 역할을 위한 동반자
“…애기 아빠도 애기 크는 거 봐야 된다고 저는 일단 기본적으로 그거는 생각을 하고 있어 가지고 항상 같이 가거든요…(참여자 6)”, “저는 그냥 되도록 아빠랑 함께하고 싶어서, 주말에는 아빠랑 같이 함께하고 싶은 마음이 커서 그랬던 거 같아요. 또 아빠도 많이 알았으면 좋겠기도 하고...(참여자 8)”, “…병원은 항상 같이 갔어요. 다 그런 (산전)교육도…(참여자 9)”
▶중심의미 2: 부부간에 이해와 배려로 맞춰감
“…화가 나는 상황에서… 그냥 서로 맞춰가는 거 같아요(참여자 3).”, “…그냥 그건 저희 둘이 노력했던 것 같아요… 왜냐면 사실 일주일이면 7일을 싸웠는데… 조금 개선이 된 것 같아요(참여자 5).”, “훨씬 더 소중하게 느끼는 거 같아요. 말도 그렇고 행동이라던지, 배려도 더 심해졌고... 되게 성질이 있는데 그런 것도 자기가 다 참고…(참여자 6)”
▶중심의미 3: 아내를 더욱 아끼고 소중히 여기는 남편
“최대한 안 힘들게끔 해 줄라고 하는 거 같고, 정신적으로도 스트레스 안 받게 해 줄라 그러는 거 같고(참여자 3)”, “우울할 때 영향을 받는 거 같긴 한데 그렇게 크게 티 내고 그러진 않는 거 같아요. 같이 우울해지면 더 힘들어지니까 많이 다독이려고 하고, 좀 관심을 다른 데로 돌리려고 하고, 좀 그렇게 해줬던 거 같아요(참여자 4).”
▶중심의미 4: 남편의 위로와 공감이 필요함
“나는 이러한 점이 힘들었어, 이렇게 얘기를 하면, 나는 신랑한테 그거를 좀 위로를 받고 싶었는데… 내가 너보다 더 힘들다 니가 힘든 거는 아무것도 아니다 그런 식으로 얘기를 하는 경우에는 좀 서운했던 것 같아요(참여자 3).”, “아무래도 본인이 겪지 못한 일이다 보니까… 위로를 하지만 사실상 공감을 못 하니까 가끔 또 예민해지는 경우들이 한 두 번씩 생길 수 있잖아요? 그때는 이제 순간 욱하는 경우가 생기죠...(참여자 7)”
다가오는 출산과 관련된 상황적 구조
대부분의 여성들은 자연분만을 선호하지만 자연분만에 확신이 없으며, 부부가 함께 출산을 하기를 원하였다. 또한 임신 초기부터 분만 두려움이 지속되고, 매우 심하여 울기도 한 경우도 있었으며, 임신 초기부터 출산교육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대상자는 분만 두려움이 완화되었다. 또한 배우자의 분만 두려움이 아내보다 더욱 심한 경우도 있고, 처음부터 제왕절개를 하라고 권유하기도 하였다.
주제모음 1: 출산에 대한 막막함
▶중심의미 1: 자연분만에 확신 없음
“저는 아기도 건강하게 낳고 싶은데 제 몸이 망가지는 것도 원하지 않아서 계속 그런 거 고민이에요(참여자 1).”, “무통은 그냥 맞으려구요(참여자 3).”, “아직은 자연분만을 생각하고 있는데요. 조금 두려운 마음도 있고… 네 그래서 뭐 그냥 흘러가는 대로 하려구요(참여자 8).”
▶중심의미 2: 부부가 함께 출산을 준비함
“동영상 보면서 지금도 어떤 자세 하면 감통이 되는지 찾아보고 연습해보고 그러거든요. 그러다 보니까… 아 우리 둘이 같이 하면은 잘 할 수 있겠다 이런 생각이 들고, 신랑도 자신감 있게 얘기를 하더라구요, 할 수 있을 거라고…(참여자 5)”, “산전교육이라든지 출산 호흡법 이런 거는 수강 해놔서 오빠랑 같이 가요(참여자 9).”
주제모음 2: 출산에 대한 두려움
▶ 중심의미 1: 임신 여성의 출산 두려움
“(출산) 후기들 이런 거를 보면 막 내 배 위로 트럭이 하나 지나가는 것 같다, 막 그런 느낌들이 막 많이 든다고 하니까… 두렵고…(참여자 3)”, “초기에는… 분만에 대한 두려움이 엄청 크게 다가오더라구요. 너무 무서운 거예요… 두려움이 너무 컸었죠, 초반에… 갑자기 어느 날… 눈물이 막 나는 거예요. 이제는 아 될 대로 되라, 할 수 있을 거야, 이 생각이에요(참여자 5).”
▶ 중심의미 2: 배우자의 출산 두려움
“남편은 (제가) 겁도 많고 고통을 느끼는 거가 힘들다면 처음부터 제왕절개를 하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참여자1)”, “제가 혹시 애기를 낳다가 죽을 수도 있다고 걱정하면서 지금도 되게 불안해해요. 그리고 오빠 같이 일하는 동료 분이 자연 분만하다가 죽었어요. 그래 가지고 불안감이 극도에 달했어요(참여자 9).”, “오빠도 무섭대요… 그냥... 일단 낳다가 저한테 무슨 일 있을까 봐 무섭대요(참여자 10).”
▶중심의미 3: 출산 두려움 완화를 위한 산전 교육 참여
“제가 일 다니고 있어서, 다음 주까지 일하고 이제 출산휴가 시작돼서 그때 한 번 병원에서 하는 거 가 보려고…(참여자 1)”, “부부 클래스를 이런 데… 같이 가면 좋겠어요. 출산에 대해서 클래스가 있다고 하면 참여하면 많이 도움이 될 것 같아요(참여자 4).”, “제가 산모교실 좀 열심히 다녔거든요. 어 출산 과정이라든지, 출산에 대한 내용을 많이 알려주다 보니까 출산에 대한 두려움이 많이 극복이 됐어요. 그리고 이제 하도 듣다 보니까 별일 아닌 거 같은 거? (참여자 5)”
산욕기 준비와 관련된 상황적 구조
산후에는 여성들은 산후조리원과 친정 엄마, 산후도우미 서비스를 받을 계획을 하였다. 또한 임신 여성들은 대부분 모유 수유를 우선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상황이나 젖이 잘 나오는 것에 따라서 하려고 하며, 모유 수유가 어렵다고 하면서 자신 없어 하였고, 꼭 해야겠다는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는 않았다.
주제모음 1: 도움이 필요한 산후 조리와 수유계획
▶중심의미 1: 산후조리 계획을 세움
“저희 친정 부모님이… 두 분 다 맞벌이하시거든요. 산후조리를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어 가지고… 조리원 2주 하고 도우미 원래 2주 했는데... 그렇게 혼자 조리하려면 힘드니까… 이모님 3주 쓰려구요(참여자 3).”, “산후조리원 2주 갔다가, 친정에서 한 달 있어 보고 뭐 괜찮으면 집으로 돌아오고, 아니면 뭐 한 달 더 있어야 되겠다 하면 친정엄마가 두 달까지… (참여자 4)”
▶중심의미 2: 자신 없는 모유 수유
“모유 수유는 하면 좋은데… 애기도 근데 될지 안 될지 모르니까… 안 되면… 못 하니까…(참여자 4)”, “수유는 모유 수유하고 싶은데 그것도 아직 잘 모르는 거라… 일단 어렵다고… 애기가 초반에는 빠는 힘이 부족하다 보니까… 이게 양이 그니까 생각보다 애기가 많이 안 빨면 그만큼 젖몸살도 오고 그럴 수 있는데…(참여자 5)”
육아 대책과 관련된 상황적 구조
육아에 대한 부모역할에 대해 막막함과 벅참을 느끼지만, 인터넷 검색과 산모교실 참여 등 육아 지식과 정보를 획득하였다. 아빠는 육아를 겁내지만 육아에 참여하기를 원하며, 심지어 육아를 전담하기로 결정한 아빠도 있었다. 또한 임신 여성들은 배우자가 육아에 함께 참여하고 아버지로서 역할을 하기 바랬다. 직장 여성의 경우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 및 육아휴직으로 인한 수입 감소로 경제적 어려움을 걱정하고, 전업 주부의 경우에는 독박 육아에 대해 두려워한다.
주제모음 1: 상상 이상으로 벅차게 다가오는 육아
▶중심의미 1: 육아 현실에 대비하지 않은 부모 역할의 막막함과 벅참
“육아는 아직까지 생각하기에는 벅차서(참여자 1)”, “…그냥 여러 가지 면에서 아기를 잘 키워야 한다는 그런 여러 가지 면인 것 같아요(참여자 3)”. “신랑이랑 특별히 얘기는 해본 거는 없는 거 같아요. 단순히 잘해 보자 뭐 이런 식이고, 그렇게 하고 나서는 이제 정말 현실인데 그거에 대해서 사실 대비는 특별히 안 하고 있는 것 같아요(참여자 5).”, “저는 육아는… 그냥 상상 이상이라고 하더라구요(참여자 9).”
▶중심의미 2: 독박 육아로 앞이 캄캄함
“주변 산모들은 이미 아이를 낳아서 지금 키우고 있거든요. 근데 그런 산모들 보면 막 밤에 잠도 잘 못 자고 수유하느라고 막 바쁘고 그래도 그쪽 산모들은 신랑들이 있으니까 조금이라도 나을 텐데… 나는 처음에 나 혼자 키워야 되는데 잘 할 수 있을까… 뭐 그런 생각도 들고… 걱정이 되죠(참여자 3).”, “애기 낳고도 이제 애기 육아도 거의 혼자… 그래야 되지 않을까요? 그래서… 앞이 캄캄하죠. 잘할 수 있을 거 같다가도 오전부터 저녁까지니까 아무래도 저녁때 가면 체력이 안 될 거 같다는 생각이 들면서 힘들겠다는 생각이 들고…(참여자 8)”
▶ 중심의미 3: 믿을 만한 정보의 부족과 산전교육의 실질적 도움
“인터넷이나 맘 카페 이런 데에서 많이 얻어요(참여자 1).”, “뭐 친구들한테 뭐 가끔 물어보기도 하고(참여자 2)”, “뭐 임신 중 증상도… 인터넷에 검색해서 아는 정도인데… 인터넷에 검색을 자세히 하는 건 아니니까… 다 유튜브로만 봐서 우리가 알고 있는 게 잘 아는 건지 잘 가늠이 안 되긴 하는데…(참여자 4)”, “보건소에서도 강의가 있었거든요. 실질적으로 알려주니까는 좋았던 것도 있고…(참여자 5)”
주제모음 2: 아빠의 육아 참여 의지
▶중심의미 1: 아빠들의 육아에 대한 의지와 걱정
“아무래도 초보이다 보니까 제가 기대한 만큼은 못 따라와 주기는 하지만 그래도 싫다고는 안 하니까 그것만으로도 저는 고맙죠. 적극적으로 알겠다, 하겠다고 하니까…(참여자 8)”, “아기한테 되게 잘해주고 싶어 해요. 잘해주고 싶어서 베이비 마사지 애기들 육아 이런 거 하는데 좀 겁을 내기는 하는데… 노력하려고 많이 해요. 내가 (육아를) 잘하니까 자기한테 많이 알려주라고 얘기하고, 그냥 자기는 아기를 위해서 이런 거를 해줘야겠다고 생각을 하고 항상 고민하고 있기는 한데 자기는 잘 할 수 있는지 확신을 못 하겠대요. …시간이 없어서 혹시 애기가 내칠까 봐, 아빠 잘 가 이러면서 할까 봐. 그런 거 걱정해요(참여자 9).”
▶중심의미 2: 아빠의 육아 담당
“최근에 이제 애기가 곧 출산할 때가 되어 가지고, 역할 분담에 대한 그런 얘기를 하고 있어요. 제가 일을 하고 있으니까… 아직 오빠가 회사를 다니는 게 아니거든요. 그래서 육아를 오빠가 전담을 많이 하기로… 잘할 거 같아요. 아기도 좋아하고 좀 가정적이라서 그런 거는 걱정은 안 되는 거 같아요(참여자 1).”, “오빠 퇴근하고… 아기 낳으면 4시에 퇴근할 수 있어서… 이제 밤에 일하고… 또 주말에도 오빠가 보고…(참여자 10)”
▶ 중심의미 3: 남편의 아기 돌봄과 애착 형성에 대한 아내의 바램
“남편이 퇴근하고 나서 애기랑 놀 시간이 없으니까 목욕 같은 거는 남편이 좀 했으면 좋겠고... 목욕을 하면서 교감할 시간을 갖고… 마사지까지 하면은 당신이랑도 애착 관계도 잘 형성될 거 같고 좋겠다고 뭐(참여자 5)”, “잠잘 때 아빠랑 같이 자게 하고, 틈날 때 같이 있게 해주고, 수유 같은 거 할 때도 같이 먹이게 해주고… 더 의도적으로 이렇게… 해야 할 것 같아요(참여자 9).”
주제모음 3: 직장 맘의 경력 단절과 육아에 대한 부담
▶중심의미 1: 직장 맘의 경력 단절의 숨 막힘과 우울
“아이를 낳고 몇 년 동안 일을 못 하고, 복직이 어렵고 뭐 이제 이런 것들을 막 생각을 하니까, 어 되게 숨 막히더라구요(참여자 4).”, “우울해요… 그냥 뭐지… 이제 일을 그만둬야 한다는 거랑… 남편이 일을 그만두라고 하는 입장이라서(참여자 10)”
▶중심의미 2: 직장의 업무 조정과 배려 필요
“일을 좀 줄여주라고 얘기를 했고, 강의 말고 좀 사무직 이 쪽으로 바꿔 주셨으면 좋겠다 이런 식으로 말씀을 드리긴 했었는데…(참여자 4)”, “이제 애기 임신 확인하고 나서 좀 일을 많이 줄였어요. 근데 그거를 평소 하던 거에 반보다 더 많이 줄였어요(참여자 10).”
일반적 구조적 진술
임신 여성의 적응 양상은 임신으로 인한 시간적 흐름과 관련된 상황에 따라 나타나며, 개인적, 관계적, 사회적 측면의 노력이 필요하다. 처음 임신을 인지한 상황과 임신으로 인한 변화와 관련된 상황에서는 임부 개인 및 부부관계적 측면에서 적응을 이루려는 노력이 두드러지지만, 출산 이후의 상황에서는 임부 개인 및 부부의 노력으로도 해결할 수 없는 어려움에 대하여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 처음 임신을 인지한 상황에서는 임신의 계획 유무에 따라 큰 차이 없이 당황스럽지만 배우자 및 가족의 지지가 도움이 된다. 임신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관계적, 사회적 측면에서 변화하며, 개인 및 배우자와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적응을 하고 있다. 다가오는 출산, 산후조리와 수유, 육아와 관련된 상황에서의 두려움, 불확실성, 자신감 부족에 적응하려고 노력하지만, 분만 및 모유 수유 자신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산전교육, 산후조리, 육아문제 해결 등을 위한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
Figure 1).
 | Figure. 1.Structure of pregnant women’s adapt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