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List > Lab Med Online > v.10(4) > 1145171

RHD 유전자검사로 확진된 Partial D type VI-3 증례

초록

약-D형은 적혈구에 표현되는 D 단백질의 양적 감소를, 부분-D형은 질적 결손을 유발한다. 이들은 혈청학적 방법만으로는 정확한 감별이 어려운데, RHD 유전자검사는 이런 혈청학적 검사를 보완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다. 본 증례는 64세 여자 환자로 미세혈관감압술을 위해 내원하였다. 환자는 수기튜브법과 자동혈액형검사장비(QWALYS-3 system; DIAGAST, France)에 의해 O형, D 음성이었고, 두 종류의 단클론성 항-D 시약(Bioscot; Merck Millipore, UK 및 Bioclone; Ortho Clinical Diagnostics, USA)을 이용한 약-D 검사와 9개의 단클론성항체(항-D IgM & IgG)로 구성된 시약(D-Screen; DIAGAST, France)으로 실시한 부분-D 검사로도 부분-D형의 세부 유형을 결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RHD 유전자의 엑손 1에서 10까지 염기서열분석법을 추가로 실시하였고, 혈청학적으로 약한 D 표현형의 본 환자는 부분-D type 3형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Weak D and partial D result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in RhD protein expression respectively.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weak D from partial D by serological tests alone. RHD genotyping is a useful method that complements serological results. A 64-year-old woman visited our hospital for microvascular decompression surgery. Her blood type was O, D negative by manual tube test and as per auto analyzer results (QWALYS-3 system; DIAGAST, France). Weak D and partial D tests were performed by using two different monoclonal anti-D reagents (Bioscot; Merck Millipore, UK; Bioclone; Ortho Clinical Diagnostics, USA) and a panel of nine monoclonal antibodies, including anti-D IgM and IgG (D-Screen; DIAGAST, France). However, these serological tests could not confirm the subtype of partial D. Therefore, sequencing of RHD exon 1 to 10 was additionally performed for the patient and the case was revealed to be partial DVI type 3.

서 론

RhD (이하 D) 혈액형은 ABO 혈액형 다음으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혈액형이다. 안전한 수혈을 위해서는 공여자와 환자의 정확한 D 혈액형 검사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일부 D 변이형은 혈청학적 검사법으로는 D 혈액형을 정확하게 규명할 수 없어 RHD 유전자검사가 필요하다. D 검사(D typing)와 약-D 검사로는 D 음성으로 분류되지만 이중 약 20%는 RHD 유전자검사로 Asia type DEL(1227G>A)형으로 재분류되는 경우가 대표적인 예다[1]. 이와 유사하게 다른 D 변이형(약-D형, 부분-D형 등)도 혈청학적 검사만으로는 정확한 D 혈액형 규명이 되지 않을 수 있는데, 그간 국내에 보고된 부분-D형 대부분은 혈청학적 검사로만 이루어진 보고들이었다[2-4]. Cho 등[2]이 한국인 헌혈자에서 선별된 부분-D형 14예 중 대부분(92.9%, 13/14)은 혈청학적 검사로 DFR유형으로 보고하였는데, Lee 등[4]은 한국인 부분-D형 16예를 분석하여 대부분(62.5%, 10/16)이 D type VI라고 다르게 보고하였다. 이러한 불일치는 부분-D형의 정확한 유형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혈청학적 검사뿐 아니라 RHD 유전자검사가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하지만, 그간 국내에서는 RHD 유전자의 전체 10개 엑손을 분석하여 부분-D형의 정확한 유형을 규명한 사례가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혈청학적으로 약한 D 발현을 보인 검체에서 혈청학적 검사만으로는 정확하게 부분-D 유형을 규명할 수 없었지만, RHD 유전자 전체 엑손 분석으로 그간 국내에서는 정확하게 규명할 수 없었던 partial D type VI-3형을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64세 여자 환자가 미세혈관 신경감압술을 받기 위해 입원하였다. K2-EDTA 튜브의 정맥혈 검체로 자동화 장비(QWALYS-3 system; DIAGAST, Loos Cedex, France)로 실시한 혈액형검사에서 O형이었고, 항-D에는 음성이었다. D 혈액형에 대한 추가 분석을 위해 실시한 RhCE 표현형검사(anti-C, -c, -E 및 -e, Ortho Clinical Diagnostics, High Wycombe, UK)는 Cce형이었다. D 혈액형 검사를 Anti-D SIHDIA 시약(Shinyang Diagnostics, Siheung, Korea)을 사용하여 시험관법으로 재검하여 응집반응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이어서 추가로 2개의 제조사의 항-D 시약(Bioscot; Merck Milli-pore, Watford, UK 및 Bioclone; Ortho Clinical Diagnostics, Raritan, NJ, USA)으로 실시한 약-D 검사에서 각각 4+, 3+였다. 이후 잔여 검체로 추가로 실시한 9개의 다른 클론으로 제조한 항-D 시약으로 실시한 부분-D 검사에서 P3X21223B10 클론에서 제작한 시약에서만 응집을 보이고, 나머지는 응집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양한 clone의 시약으로 실시한 D typing, 약-D 검사 및 부분-D 검사결과와 시약에 대한 정보를 Table 1에 정리하였다.
D 변이형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RHD 유전자의 엑손 1-10 그리고 각 엑손의 주변부 인트론을 RHD 유전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RHD 유전자를 증폭한 후 증폭된 엑손 1, 2, 7-10은 다시 증폭 프라이머로 직접염기서열분석을 Seo 등이 보고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증폭되지 않은 엑손 3-6은 RHCE 유전자로 판단하였다[1]. 각각의 RHD 유전자 특이적인 프라이머는 Fasano 등이 사용한 것과 동일하였다[1, 5]. 표준 염기서열인 NM_016124.4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RHDRHCE 유전자 사이 교차(crossing over)의 결과인 RHD-RHCE(3-6)-RHD hybrid 구조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었다(Fig. 1). 이 유전자에서 발견된 변이는 International Society of Blood Transfusion (ISBT) 명명법에 의하여 RHD*06.03, RHD*DVI.3로 명명할 수 있었다. 또한, 3-6번 엑손 이외의 자리에서도 RHD (IVS1-29G >C)의 변이가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 후 환자는 RhD 음성 혈액을 준비하였으나, 수술 시 출혈이 적어 수혈이 필요치 않았다.

고 찰

부분-D형은 약-D형 및 DEL형과 함께 D 변이형의 대표적인 유형이다. 이는 초기에는 “blood factors”, 이후에는 “mosaics”라고도 불렸지만, 1984년 Salmon 등에 의해 “부분-D (partial D)형”으로 명명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6]. 최근에는 부분-D형과 약-D형의 정확한 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니 ‘D 변이형’으로 통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7].
부분-D형은 항-D 시약에 대한 적혈구응집반응이 항-D 시약의 클론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은 RHD 유전자분석을 통해 부분-D형은 적혈구 세포 밖 또는 막 표면의 고리 (RBC membrane surface loops)에 최소한 하나의 아미노산변이가 존재하므로 적혈구 표면의 D항원의 부분 결손이 항시 존재한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8, 9]. Kim 등[3]은 65세 여자에서 수술 전 검사로 시행한 D 혈액형검사에서 “부분-D Category Va 1예”를 보고하였는데, 환자의 적혈구는 D 검사에서 Ortho사의 항-D 시약에는 적혈구응집이 보이지 않았으나, Baxter Dade사의 항-D 시약에는 응집이 관찰되었다. 한편, Cho 등[2]은 14예의 부분-D형을 보고하였는데, 이들의 적혈구는 D 검사에서는 제조사가 다른 4개의 항-D 시약에서 모두 응집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약-D 검사에서는 3개의 제조사(Merck Millipore, Ortho 및 GreenCross)의 시약에는 응집을 보이고 Dade사의 시약에는 응집이 없었다. 본 증례에서는 부분-D형에서 관찰되는 이러한 특징이 국내검사실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4종류의 항-D 시약에서는 관찰되지 않아 부분-D형을 의심할 수 없었으나, 9종류의 다른 클론에서 제조된 항-D 시약으로 실시한 약-D 검사에서 일부 시약에 다른 응집 강도를 보여 부분-D형을 의심할 수 있었다. 이는 D 항원이 양적으로 감소할 뿐 아니라 질적인 결손도 함께 관찰되는 소견으로 부분-D형에 합당하였다. 그러나, 비록 9개의 단클론성 항-D 시약을 사용하였지만 부분-D형의 세부 유형은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어 RHD 유전자검사를 실시하였다.
RHD 유전자검사는 혈청학적 검사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되어왔다. 혈청학적 검사법으로 명확히 규명할 수 없었던 일부 공여자나 환자의 약-D형, 부분-D형, DEL형 등을 RHD 유전자검사로 정확하게 규명할 수 있었고, 이런 다양한 D 변이형의 유전형이 Rh 관련데이터베이스(예, http://www.rhesusbase.info/)에 정리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서구와 달리 RHD 유전자검사가 활발하지 않았다. 그런데 최근 기본 혈청학적 검사에 의해 D 음성으로 분류되었던 검체에서 RHD 유전자검사로 Asia type DEL형의 규명이 증가하는 추세이다[10-15]. 하지만, 약한 표현형을 갖는 약-D형이나 부분-D형을 대상으로 한 RHD 유전자검사는 몇 증례 보고를 제외하고는 드물었다[16]. 본 증례는 혈청학적으로는 완벽하게 D 변이형의 유형을 구분할 수 없었으나 RHD 유전자검사로 정확하게 부분-D형을 규명할 수 있었던 또 하나의 사례이다.
부분-D형의 대부분은 RHDRHCE 유전자의 교차에 의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7]. 본 증례도 RHD-CE-D 교차에 의해 발생하였는데, 그간 보고된 부분-D VI type3와 동일한 유전자변이가 확인되었다. 문헌에 보고된 부분-D형은 1994년에 DVI type 2가 처음 보고되었는데, 이후 다양한 부분-D형들이 보고가 되었다. 이 중 DVI형은 D 양성 수혈을 받아 심각한 태아신생아용혈성질환을 일으킨 사례도 보고되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17]. 특히, 본 연구에서 발견된 Partial DVI type 3 유형은 Wagner 등[18]에 의해 1998년도에 처음 보고되었으며, 그 후 벨기에에서 4례, 그리고 인도에서 1예가 보고되었다[19, 20]. 한편, 동양에서는 중국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는 부분-D형으로 보고되었다[21-24]. 이번 증례는 혈청학적 부분-D 검사에서 부분-D type 6에 가장 근접한 소견이었으나 하나의 항-D 시약에서 응집 여부에 차이가 있어 추가로 RHD유전형검사를 실시하여 부분-DVI type 3로 확인되었다. 부분-D형의 유전형을 확진한 후 동일하게 보고된 증례들의 혈청학적 소견을 검토하였더니, Ye 등[24]은 P3X290 클론에서 제조한 항-D 시약에 음성임을 보고하여 본 증례와 동일한 소견이었다.

Notes

이해관계

저자들은 본 연구와 관련하여 어떠한 이해관계도 없음을 밝힙니다.

REFERENCES

1. Seo MH, Won EJ, Hong YJ, Chun S, Kwon JR, Choi YS, et al. 2016; An effective diagnostic strategy for accurate detection of RhD variants including Asian DEL type in apparently RhD-negative blood donors in Korea. Vox Sang. 111:425–30. DOI: 10.1111/vox.12450. PMID: 27864976.
crossref
2. Cho D, Choi GR, Jeon MJ, Kim KS, Seo JY, Shin MG, et al. 2003; Reactivity patterns of various anti-D reagents in 14 cases with partial D. Korean J Lab Med. 23:443–7.
3. Kim DA, Kim JW. 2000; A case of partial-D category Va. Korean J Blood Transfus. 11:189–93.
4. Lee HR, Chang HE, Lee K, Park KU, Song J, Han KS. 2017; Analysis of partial D subtypes by various anti-D reagents. Korean J Blood Transfus. 18:152–8.
5. Fasano RM, Monaco A, Meier ER, Pary P, Lee-Stroka AH, Otridge J, et al. 2010; RH genotyping in a sickle cell disease patient contributing to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donor selection and management. Blood. 116:2836–8. DOI: 10.1182/blood-2010-04-279372. PMID: 20644109. PMCID: PMC2974591.
crossref
6. Sandler SG, Chen LN, Flegel WA. 2017; Serological weak D phenotypes: a review and guidance for interpreting the RhD blood type using the RHD genotype. Br J Haematol. 179:10–9. DOI: 10.1111/bjh.14757. PMID: 28508413. PMCID: PMC5612847.
7. Mark KF, editor. 2017. Technical manual. 19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Blood Banks;Bethesda, Maryland: p. 304.
8. Flegel WA, von Zabern I, Doescher A, Wagner FF, Vytisková J, Písacka M. 2008; DCS-1, DCS-2, and DFV share amino acid substitutions at the extracellular RhD protein vestibule. Transfusion. 48:25–33. DOI: 10.1111/j.1537-2995.2007.01506.x. PMID: 17900276.
crossref
9. Wagner FF, Gassner C, Müller TH, Schönitzer D, Schunter F, Flegel WA. 1999; Molecular basis of weak D phenotypes. Blood. 93:385–93. DOI: 10.1182/blood.V93.1.385. PMID: 9864185.
crossref
10. Ma T, Yu H, Jeon S, Cho D, Chun S, Shin MG. 2019; Case of D-Variant from a Frameshift Mutation RHD 711delC. Korean J Blood Transfus. Aug(30):168–73. DOI: 10.17945/kjbt.2019.30.2.168.
11. Luettringhaus TA, Cho D, Ryang DW, Flegel WA. 2006; An easy RHD genotyping strategy for D- East Asian persons applied to Korean blood donors. Transfusion. 46:2128–37. DOI: 10.1111/j.1537-2995.2006.01042.x. PMID: 17176325.
crossref
12. Yoon J, Ko YE, Kim HN, Kim J, Jung BK, Lee SA, et al. 2016; A case of primary anti-D alloimmunization by RHD (c. 1227G>A) DEL red blood cell transfusion. Korean J Blood Transfus. 27:169–73. DOI: 10.17945/kjbt.2016.27.2.169.
13. Kim KH, Kim KE, Woo KS, Han JY, Kim JM, Park KU. 2009; Primary anti-D immunization by DEL red blood cells. Korean J Lab Med. 29:361–5. DOI: 10.3343/kjlm.2009.29.4.361. PMID: 19726900. PMCID: PMC4404932.
crossref
14. Yang HS, Lee MY, Park TS, Cho SY, Lee HJ, Lim G, et al. 2015; Primary anti-D alloimmunization induced by "Asian type" RHD (c.1227G>A) DEL red cell transfusion. Ann Lab Med. 35:554–6. DOI: 10.3343/alm.2015.35.5.554. PMID: 26206698. PMCID: PMC4510514.
15. Choi S, Chun S, Seo JY, Yang JH, Cho D. 2019; Planned transfusion of D-positive blood components in an Asia type DEL patient: Proposed modification of the Korean national guidelines for blood transfusion. Ann Lab Med. 39:102–4. DOI: 10.3343/alm.2019.39.1.102. PMID: 30215239. PMCID: PMC6143459.
crossref
16. Chun S, Yun JW, Park G, Cho D. 2018; The synonymous nucleotide substitution RHD 1056C>G alters mRNA splicing associated with serologically weak D phenotype. J Clin Lab Anal. 32:e22330. DOI: 10.1002/jcla.22330. PMID: 28926139. PMCID: PMC6817278.
17. Daniels G. 2013; Variants of RhD-current testing and clinical consequences. Br J Haematol. 161:461–70. DOI: 10.1111/bjh.12275. PMID: 23432139.
18. Wagner FF, Gassner C, Muller TH, Schonitzer D, Schunter F, Flegel WA. 1998; Three molecular structures cause rhesus D category VI phenotypes with distinct immunohematologic features. Blood. 91:2157–68. DOI: 10.1182/blood.V91.6.2157.2157_2157_2168. PMID: 9490704.
crossref
19. Van Sandt VS, Gassner C, Emonds MP, Legler TJ, Mahieu S, Körmöczi GF. 2015; RHD variants in Flanders, Belgium. Transfusion. 55:1411–7. DOI: 10.1111/trf.12947. PMID: 25413499.
20. Fichou Y, Parchure D, Gogri H, Gopalkrishnan V, Le Maréchal C, Chen JM, et al. 2018; Molecular basis of weak D expression in the Indian population and report of a novel, predominant variant RHD allele. Transfusion. 58:1540–9. DOI: 10.1111/trf.14552. PMID: 29479713.
21. He J, Ying Y, Hong X, Xu X, Zhu F, Lv H. 2015; Molecular basis and zygosity determination of D variants including identification of four novel alleles in Chinese individuals. Transfusion. 55:137–43. DOI: 10.1111/trf.12797. PMID: 25070883.
crossref
22. Yan L, Wu J, Zhu F, Hong X, Xu X. 2007; Molecular basis of D variants in Chinese persons. Transfusion. 47:471–7. DOI: 10.1111/j.1537-2995.2006.01138.x. PMID: 17319828. PMCID: PMC6905649.
crossref
23. Ye SH, Wu DZ, Wang MN, Wu XY, Xu HG, Xu H, et al. 2014;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RHD polymorphisms in the Chinese Han population in Xi'an. Blood Transfus. 12:396–404. DOI: 10.2450/2013.0121-13. PMID: 24333088. PMCID: PMC4111822.
24. Ye L, Wang P, Gao H, Zhang J, Wang C, Li Q, et al. 2012; Partial D phenotypes and genotypes in the Chinese population. Transfusion. 52:241–6. DOI: 10.1111/j.1537-2995.2011.03266.x. PMID: 21790636. PMCID: PMC7359281.
crossref

FIGURES AND TABLES

Fig. 1
The blue boxes and the white boxes represent RHD and RHCE exons 1-10, respectively. The arrows indicate negative PCR amplification of RHCE exons 3-6, which suggests RHD*DVI.3.
LMO-10-326-f1.tif
Table 1
Summary of RhD typing, weak D test and partial D test performed by various anti-D reagents and information on corresponding epitopes and clones (types)
Tests Methods Reactivity (patient) DVI Brand Epitope Clone (type)
RhD typing Tube - NI SIHDIA NI TH-28 (IgM), MS-26 (IgG)
Microplate - NI QWALYS NI P3X61(IgM)
Weak D test Tube 4+ NI Merck Millipore NI TH-28 (IgM), MS-26 (IgG)
3+ NI Ortho NI NI
Partial D test Tube - - Diagast epD2 P3X249 (IgG)
-* +/- epD3 P3X290 (IgG)
- - epD5 P3X241 (IgG)
- - P3X35 (IgG)
- - epD6 HM10 (IgM)
- - HM16 (IgG)
- - P3X61 (IgM)
- - epD8 P3X21211F1 (IgM)
4+ + epD9 P3X21223B10 (IgM)

*According to Ye et al., RHDVI type 3 can have trace or negative reactivity against P3X290 clone [23].

Partial RhD category was detected with the D-Screen Diagast kit, which consisted of 9 monoclonal anti-D antibodies specific for the most common categories of partial D (DII, DIIIa, DIIIb, DIIIc, DIVa, DIVb, DVa, DVI, DVII, DFR, DBT, DHAR, and DHMi).

TOOLS
Similar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