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List >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 v.27(4) > 1122524

이, 이, Lee, and Lee: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비합리적 신념 및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irrational beliefs and social supports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Subjects were 149 nursing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C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in June, 2018 using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 according to gender (t=3.65, p<.001) and major satisfaction (t=5.04, p=.008). Also, interpersonal relation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irrational beliefs (r=−.24, p=.003)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r=.44, p<.001). The influencing factor of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social supports, gender, irrational beliefs and major satisfaction. These factors explained 38.2% of interpersonal relations.

Conclusion

Our study finidngs support developing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training with intepersonal relationships to improve social support as a prospective health care provider.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인간은 사회라는 공동체 속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며 살아가는 사회적 존재로서 개개인은 가정, 학교, 직장 등에서 형성되는 대인관계를 통해 성장한다. 대인관계는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 경험하게 되며, 구성원 간의 다양하고 복잡한 상호작용의 과정으로 인간의 삶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1]. 대학생 시기는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중 성인 초기에 해당되며, 대인관계의 발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2]. Erikson [2]에 의하면, 이 시기의 주된 과업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친밀감을 형성하고, 성숙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라 하였다. 중고등학교 시절과는 달리 자율성이 확대되며, 새로운 이성관계를 가지므로,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대학생활 동안 가족, 이성, 교우 등과 의미 있는 관계를 잘 형성한다면 대학생활의 적응이 쉽지만,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타인과의 관계를 회피하고, 자신의 삶 자체를 부정적으로 평가하게 된다[3]. 이러한 대인관계의 어려움이 지속된다면 대학생활의 다양한 문제점들이 초래되며, 나아가 졸업 후 사회생활의 어려움이 예상되므로 대학시절 동안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과 관심이 요구된다.
간호대학생들은 대학시절의 발달상 과업 성취와 더불어 대인관계를 강화시켜야 한다. 병원은 다학제간 팀이 모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에, 간호사는 환자, 의사, 동료, 타부서 직원 등의 많은 사람들과 대인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대인관계는 간호사에게 개인적 문제 이상의 조직 성과와 관련된 중요 요인으로, 간호역량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의 하나로 입증되었다[4]. 또한 대인관계 능력의 향상은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 이처럼 대인관계는 간호사에게 중요한 역량이지만 실제 간호사들은 일을 배우는 과정에서 어려움, 학연이나 지연과 같은 관계적 갈등, 동료의 무관심, 상처를 주는 말과 행동 등으로 인해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6]. 따라서 임상 현장에 나가기 전 간호대학생들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비합리적 신념은 비논리적이고 비실제적인 신념이나 사고로[7] 대인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8]. 왜곡된 인식은 파괴적, 절대적, 극단적 정서로 이어지고[9] 우울[10], 인정 욕구, 개인적 완벽성, 비난 경향성 등의 부정적 정서로 인해 대인관계에서의 부적응을 초래하게 된다[11]. 특히, 비합리적 신념이 높은 경우 분노유발 사고와 공격성이 높아 대인관계에서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11]. 이처럼 비합리적 신념과 대인관계 간의 높은 관련성은 중학생[12]과 고등학생[8]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도 입증된 바 있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물질적, 신체적, 정서적 지원을 받아 자신이 사회 관계망의 일부라고 인식되게 하는 대인관계의 과정을 말한다[13]. 대인관계를 통해 얻게 되는 모든 형태의 긍정적 자원이 되며,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하는데 도움을 제공한다[14]. 주변으로부터 지속적인 지지는 대인관계에서 포용적인 신념을 가지게 하지만[15], 지지 수준이 낮아지면 대인불안을 느끼게 되어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초래하게 된다[16]. 즉 사회적 지지는 대인관계와 관련성이 높으며,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된다[15].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임상현장에서 의사소통과 협력의 역량을 키워야 할 간호대학생에게도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개념이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영향요인으로는 의사소통능력, 개인적 고통, 공감적 관심, 관점 수용, 임상실습 경험 유무, 영화관람 편수[17], 자기지각향성, 사회자기효능감[18], 자아분화, 가족기능[19], 자기수용성, 타인수용성[20] 등이었으며,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에 대해서는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 정도를 파악하고,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으로,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대상자의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 정도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의 차이를 확인한다.

  • 대상자의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 대상자의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일개 지역에 위치한 단일 대학교의 간호학과 1학년과 2학년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수는 G*Power 3.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에서 유의수준 .05, 효과크기 0.15, 검정력 .95, 예측요인 5개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필요한 연구대상자 수는 최소 138명으로 산출되었다. 이를 근거로 결측값을 고려하여, 1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1부를 제외한 149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3. 연구도구

1) 비합리적 신념

비합리적 신념 척도는 DiGiuseppe 등[21]이 개발한 일반적 태도 및 신념 척도(General Attitude and Belief Scale, GABS)를 Seo [22]가 번안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분석을 거쳐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38문항, 6개의 하위요인(비합리적 신념 5개와 합리적 신념 1개)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에 맞게 비합리적 신념을 측정하는 5개의 하위요인만을 포함하였는데, 성취에 대한 집착(7문항), 자기비하(6문항), 불편감이나 좌절에 대한 낮은 인내력(6문항), 무시나 부당대우에 대한 과민성(7문항), 호감이나 인정에 대한 집착(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 ‘매우 그렇다’ 5점의 5점 Likert-type 척도로 평정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비합리적 신념이 강함을 의미한다. Seo [22]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2, 본 연구에서는 .90이었다.

2)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Park [23]의 사회적 지지 지각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하위요인은 정서적 지지(9문항), 물질적 지지(7문항), 정보적 지지(4문항), 평가적 지지(5문항)으로 총 25문항이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0점에서 ‘매우 그렇다’ 4점의 5점 Likert-type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α는 .93 [23], 본 연구에서는 .93이었다.

3) 대인관계

대인관계는 Schlein 등[24]이 개발한 대인관계 변화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RCS)를 Moon [25]이 번안한 대인관계 척도로 측정하였다. 총 25문항으로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5점 Likert-type 척도로 7개 하위 영역인 만족감(4문항), 의사소통(4문항), 신뢰감(3문항), 친근감(3문항), 민감성(2문항), 개방성(5문항), 이해성(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범위는 25점에서 12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건강하고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α는 .86이었으며[24], 번안된 척도에서 Cronbach's α는 .76 [25], 본 연구에서는 .90이었다.

4. 자료수집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18년 6월 15일에서 1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기관윤리위원회의 승인(No. 1040460-A-2018-021)을 받은 후 실시하였다. 연구에 대해 교육을 받은 연구보조원 1인이 연구의 목적, 절차 등을 설명한 후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들에게 서면동의서를 받은 뒤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 대상자에게 연구로 인한 이익 및 위험, 연구대상자 보호, 답례, 연구참여를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음과 설문자료의 익명성 보장, 비밀보장, 연구목적 이외 사용되지 않음 등을 설명하였다. 또 연구대상자의 개인정보는 연구 종료 후 3년 간 보관하고 보관 기간이 종료된 후 문서는 파쇄 또는 소각, 전자적 파일의 경우 영구 삭제할 것임을 설명하였다. 설문 응답 시간은 약 10~15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설문이 끝난 즉시 회수하였다.

5.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정도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구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 검정은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으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 정도

본 연구대상자의 성별은 남학생이 28.2%(42명), 여학생이 71.8%(107명)였다. 연령은 20.09±1.89세였다. 학년은 1학년 57.0%(85명), 2학년 43.0%(64명)였으며, 종교는 무교가 65.8%(98명)로 가장 많았으며, 기독교 16.1%(24명), 가톨릭 8.7%(13명) 순이었다. 전공만족도는 보통이 44.3%(66명), 만족함 43.6%(65명), 만족하지 않음 12.1%(18명)로 나타났다. 또한, 비합리적 신념은 155점 만점에 85.32±16.17점, 사회적 지지는 100점만점에 75.13±12.16점, 대인관계는 125점 만점에 92.76±12.17점이었다(Table 1).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의 차이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의 차이는 성별(t=3.65, p<.001)과 전공만족도(F=5.04, p=.008)에 따라 대인관계에 차이가 나타났다.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는 일반적 특성의 따른 차이가 없었다(Table 2). 즉,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전공만족도 ‘만족’이 ‘보통’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대인관계가 높았다.

3. 연령,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 간의 상관관계

연령,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 간의 상관관계에서, 대인관계는 비합리적 신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24, p=.003), 사회적 지지(r=.44,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 3). 즉, 비합리적 신념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4.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 특성 중 대인관계에 차이를 보인 성별과 전공만족도를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와 함께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과 전공만족도는 명목변수이므로 가변수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독립변수 간 공차한계(tolerance)는 .87~.98로 0.1 이상이었으며, 분산팽창인자(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는 1.02~1.14로 10 미만이므로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었다. Durbin-Watson 값은 2.13으로 2에 가깝게 나타나 자기상관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선정된 변수에 의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모형의 설명력은 38.2%로 확인되었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28, p<.001), 전공만족도(β=.21, p=.003), 비합리적 신념(β=−.18, p=.007), 사회적 지지(β=.45, p<.001)이다(Table 4). 즉, 대인관계 점수는 남성일수록, 전공을 만족할수록, 비합리적 신념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논의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은 85.32±16.17점(155점 만점), 평균평점 2.73±0.51점(5점 만점)이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Seo [22]의 연구에서도 정상 집단은 86.71±13.12점으로 본 연구와 비슷하였으나 분노 집단은 93.81±14.24점, 우울 집단은 98.57±13.96점으로 나타났다. 즉, 분노와 우울과 같은 심리적 문제는 비합리적 신념과 높은 관련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사회적 지지는 75.13±12.16점(100점 만점), 평균평점 3.00±0.48점(4점 만점)이었다. 같은 도구를 사용한 Song과 Hong [26]의 연구에서는 3.14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비교 시 다소 높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간호학과 1, 2학년으로 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에 비해 2배 이상 높았지만 선행연구[26]에서는 전체 학년과 전공별 분포가 골고루 이루어졌으며 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에 비해 약 20.0% 정도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과 성별의 차이로 볼 수 있겠으나 본 연구와 선행연구 모두 학년과 연령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여대생, 간호사, 직장인, 환자 등 8개 집단을 대상으로 한 Park [23]의 연구에서 전체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유의하게 높았다는 점에 비추어볼 때, 선행연구의 사회적 지지 점수가 다소 높은 것은 남성의 비율이 높았기 때문이라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또 대인관계는 92.76±12.17점(125점 만점), 평균평점 3.71±0.48점(5점 만점)으로, Bae [20]의 연구에서는 3.46~3.57점, Jung과 Kang [27]의 연구에서 92.24~92.97점이었다. 선행연구들[2027]과는 남녀의 비율과 학년의 분포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각 연구별로 대인관계가 성별과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나 이들 변수에 의한 차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고 본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및 대인관계의 차이를 살펴보면, 대인관계에 성별과 전공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성별에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대인관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는 Jung과 Kang[27]의 연구에서 성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결과와 Bae [20]의 연구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대인관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결과와 상반되었다. 선행연구들[2027]에서 남학생의 비율은 8.5~14.0%로 본 연구에서의 28.2%와 차이를 보이지만, 각 연구마다 결과가 달라 향후 성별과 대인관계에 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에서 경계가 불분명해짐에 따라 남녀의 대인관계 양상이 사회 변화와 양성적 경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28] 각 개인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 여겨진다. 또한 전공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대인관계가 유의하게 높았다. Chung [29]의 연구에서도 간호학만족도가 ‘매우 만족’이 ‘보통’에 비해 대인관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비슷하였다. Ko와 Kim [5]의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이 직무만족과 관련성이 높음이 확인되었는데, 대인관계의 하위요인이 만족감을 포함하므로 대인관계의 향상을 위해 현재 환경에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러나 비합리적 신념과 사회적 지지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제 변수 간의 상관관계에서, 대인관계는 비합리적 신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Kwon과 Kim [8]의 연구결과와 비슷하였다. Seo [11]의 연구에서도 비합리적 신념은 자아중심성, 불안정한 애착, 소외, 사회적 무능력과 같은 비적응적 대인관계 양상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즉, 비합리적 신념이 낮아질수록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높아질수록 부정적인 대인관계가 초래됨을 의미한다. 비합리적 신념 수준이 높으면 타인과의 관계에서 만족감과 신뢰감이 낮아지며[8], 자기중심적으로 관계를 맺기 때문에[11] 대인관계 수준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 대인관계는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hin과 Shin [14]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대인관계 의사소통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 결과와 같았다. 또한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지각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대인문제 해결능력이 높게 나타난 Kim과 Chung [15]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한다. 대학생의 대인관계는 가족기능[3], 친구 수, 용돈[21], 학교생활 적응[16]과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가정, 교우, 대학, 경제적 자원과 같은 사회적 지지의 제공을 통하여 대인관계문제의 해결능력이 향상되어[15] 대인관계 수준이 높아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전공만족도,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였으며, 이들 변수에 의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모형의 설명력은 38.2%였다. 먼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영향요인은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대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16] 사회적 지지가 낮으면 사회불안이 높아져 사회생활 속에서의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 짐작된다. 즉, 사회적 지지가 지속적이고 주어질 대인관계에서의 불안 수준이 감소되어[16] 대인관계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안정 애착 유형은 타인에 대한 긍정 표상과 자원 획득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으며 대인불안을 느낄 가능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16]. 한편, 공격성이 강하거나 중독이 높은 경우 타인의 의도를 악의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관계 형성이 힘들지만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대인문제 해결능력이 크게 향상됨이 확인되었다[15]. 대학생과 의미 있는 관계인 가족, 친구, 교수자의 적극적 지지는 사회적 지지 지각 수준을 높여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이나 문제점 해결에 자신감을 높이고,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성별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남성보다 여성에서 대인관계 수준이 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크므로[30] 타인과의 관계에 적극적으로 행동하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된다. 또 여학생의 경우 비합리적 신념이 남학생에 비해 높으며, 그 중에서도 인정요구, 과잉불안, 무기력 등과 관련된 신념이 강하므로[30] 대인관계의 형성에 어려움이 초래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20]에서도 성별은 대인관계의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나 남성보다 여성에서 대인관계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상반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의 남학생 비율이 8.5%로 본 연구의 28.5%에 비해 낮기 때문에 남학생의 대인관계 정도가 제대로 측정되지 않았을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최근 간호학과에 입학한 남학생의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의 차별화된 이해와 교육이 요구된다.
전공만족도도 대인관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가 간호학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29]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공만족도가 높으면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로, 현재의 학업이나 역할에 대해 만족하게 되면 타인과의 관계도 능숙하고 발전적으로 이끌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전공만족도 중 만족이 40.0% 이상 비교적 높은 것은 타 학과에 비해 간호학과의 경우 취업 분야가 다양하고 취업률이 높은 편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자신의 흥미와 관련 없이 간호학을 선택한 학생들을 위해 간호의 다양한 진로 분야와 취업 경로 등 자신의 특성과 흥미에 맞는 구체적인 진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비합리적 신념은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영향요인이었다. 비합리적 신념은 이차분노 사고와 공격성 등의 부적응적 인지와 관련성이 높으므로[22] 대인관계에 부정적일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비합리적 신념의 수준이 높으면 타인을 원망하는 부적응적 인지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자기중심적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11]. Kwon과 Kim [8]은 비합리적 신념과 대인관계 간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간접적 영향을 보고하였으며, 절대적이고 경직된 사고로 인해 부정적 경험을 회피한다면 타인과의 관계형성에 어려움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비합리적 신념이 악화되어 대인관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잘못된 인식과 신념을 바로 잡아주기 위한 상담이나 치료가 대학 차원에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대학생에게 있어 비합리적 신념은 우울[10]과 관련성이 높으므로, 부정적 심리 상태를 호소하는 대학생에게 불안과 우울에 대한 선별 검사뿐 아니라 비합리적 신념의 수준을 사정할 필요가 있겠다. 비합리적 신념 중에서도 인정에 대한 요구나 자기비하와 성취/편안함이 대학생의 부정적 심리와 관련이 되므로[10], 타인에 대한 인정, 자기비하와 성취 요구의 완화에 중점을 둔 치료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실습 경험이 없는 간호대학생 1, 2학년에 국한하여 편의표집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우므로 다양한 지역과 학년을 포함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대인관계는 장기적이며,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변수이지만 단편적인 조사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것에 제한적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와 관련성이 높은 개인적 특성을 포함하고 대인관계의 변화과정을 확인하는 종단적 연구를 제언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간호대학생의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간의 관계를 확인한 첫 연구로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방안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성별, 전공만족도, 비합리적 신념, 사회적 지지가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으므로, 향후 간호대학생을 위한 대인관계 교육 프로그램에 이러한 변수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성별의 차이를 이해하고, 비합리적 신념은 합리적인 신념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중재적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또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수자들의 노력과 학교의 환경적 뒷받침이 필요하며, 대학생의 주요 지지자인 가족, 교수, 친구로부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지체계가 요구된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이 향상된다면, 향후 임상 현장에서 환자의 정서적 지지를 도모하고, 다학제 간 협력관계를 증진시켜 간호 업무의 효율성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

대인관계는 간호교육의 중요한 핵심역량의 하나이므로, 임상현장에서 환자와 타분야 전문가와의 의사소통과 치료적 관계 및 협력 관계의 증진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는 비합리적 신념과 음의 상관관계를, 사회적 지지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 성별, 전공만족도, 비합리적 신념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성별을 고려하고 비합리적 신념 체계를 합리적으로 교정하며,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가정과 학교에서 대학생에게 적합한 지지 체계의 강화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Figures and Tables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evels of Key Study Variables (N=149)

jkapmhn-27-313-i001
Table 2

Differences in Irrational Beliefs, Social Suppor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by General Characteristics (N=149)

jkapmhn-27-313-i002
Table 3

Correlations among Irrational Beliefs, Social Suppor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N=149)

jkapmhn-27-313-i003
Table 4

Influencing Factor on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Nursing Students (N=149)

jkapmhn-27-313-i004

Dummy variable: Gender (men=0, women=1), Major satisfaction (unsatisfied=0, moderate and satisfied=1).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1. Kwon SM.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rd ed. Seoul: Hakjisa;2017. p. 560.
2. Erikson EH. Childhood and society. 3rd ed. New York: Norton & Company;1993. p. 445.
3. Song JA, Jang JS. A research about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for a correlation between community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s and family function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10; 15(1):119–144.
4. Seo MS, Park JS, Kim OK, Heo MH, Park JO, Park MM. The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n nursing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17; 22(2):28–43.
5. Ko HR, Kim JH. The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4; 20(3):413–423.
crossref
6. Byeon YS, Kim M. Interpersonal conflict experiences of nurse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2009; 10(2):142–151.
7. Ellis A. Reason and emotion in psychotherapy. 1st. New York: Lyle Stuart;1962. p. 442.
8. Kwon BS, Kim WI.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7; 24(11):209–228.
crossref
9. Ha JH, Jo HI.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f perfectionism by irrational beliefs. Korean J Couns Psychother. 2006; 18(4):873–896.
10. Song YH, Lee YJ. College students' irrational belief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roles of goal stability and self-esteem. Korean J Couns Psychother. 2010; 22(3):553–573.
11. Seo SG. The mediational roles of maladaptive cognitive strateg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irrational beliefs and aggression. Korean J Couns Psychother. 2011; 23(4):901–919.
12. Seol HJ, Lee DG, Bae BH. Exploration of the path from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o interpersonal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a sequential mediation effect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irrational beliefs. Korean J Sch Psychol. 2014; 11(2):335–353. DOI: 10.16983/kjsp.2014.11.2.335.
crossref
13. Cohen S, Wills TA. Stress, social support and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985; 98(2):310–357. DOI: 10.1037/0033-2909.98.2.310.
14. Shin JW, Shin MC. Positive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ddiction tendency.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3; 29(3):329–360.
15. Kim BS, Chung EH. The relationships among aggressio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abilities of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mong adolescents with an addiction to internet chatting.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004; 12(1):91–99.
16. Shin NR, Ahn CY. The relationships among adult attachment styles, social anxiety, self-concept, self-efficacy,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4; 23(4):949–968.
17. Jeong HS, Lee KL.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2; 14(5):2635–2647.
18. Kim HS, Park WJ, Ha TH. The influencing 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06; 12(2):229–237.
19. Lee MR, Nam M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influencing facto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 12(6):509–517. DOI: 10.14400/JDC.2014.12.6.509.
crossref
20. Bae KE. Self-acceptance, acceptance-of-othe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nursing students. Crisisonomy. 2017; 13(1):139–150. DOI: 10.14251/crisisonomy.2017.13.1.139.
crossref
21. DiGiuseppe R, Leaf R, Gorman BS, Robin MW. The development of measure of rational/irrational thinking. J Ration Emot Cogn Behav Ther. 2018; 36(1):47–79. DOI: 10.1007/s10942-017-0273-3.
22. Seo SG.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anger and their therapeutic implication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2004. 167.
23.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1985. 129.
24. Schlein S, Guerney B, Stover L.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dissertation]. [Pennsylvania]: Pennsylvania University;1971. 354.
25. Moon SM. A study on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aining group counseling. J Gyeongsang Natl Univ. 1980; 19(1):195–204.
26. Song HS, Hong HY.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Korean J Couns. 2010; 11(3):1325–1350.
crossref
27. Jung M, Kang HK. Nursing students' self esteem, assert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ir style of conflict management.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4; 20(3):345–352. DOI: 10.5977/jkasne.2014.20.3.345.
crossref
28. Row KR, Bang HJ, Cho HJ. Differences in relationship patterns according to the adult attachment and gender. Korean J Woman Psychol. 2007; 12(4):471–490.
crossref
29. Chung MS. Relations on self-esteem,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reinforcing competence in communication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4; 20(2):332–340.
crossref
30. Choi YS, Kim JM. The effects of irrational belief an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social anxiet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08; 26(2):103–114.
TOOLS
ORCID iDs

Eun Joo Lee
https://orcid.org/0000-0003-1387-7621

Soo Jung Lee
https://orcid.org/0000-0002-5752-7482

Similar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