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List > J Korean Med Assoc > v.61(3) > 1043270

임, 신, 김, Im, Shin, and Kim: 의사가 의뢰할 수 있는 금연지원서비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smoking cessation services in the community to which physicians can refer their patients. There are three types of services: smoking cessation clinics at public health centers, regional smoking cessation centers, and quitlines. Smoking cessation clinics were established in 2005 at public health centers to reduce the smoking rate. Tailored counseling,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and drug treatment can improve the success rate of smoking cessation in clinical settings, and behavioral therapy can promote smoking cessation in the community. Quitlines have been launched and operated throughout the world as effective cessation services that guarantee confidentiality,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cost-effectiveness. Tailored inform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have been offered through the telephone, multimedia messaging services, social networking services, and chatting in Korea. Referrals from other national cessation programs for maintaining cessation are also available. Since 2015, regional smoking cessation centers have administered two types of camps. The target group of intensive-care smoking cessation camps includes heavy smokers, who should receive inpatient care at the regional smoking cessation center for 5 days. The general support smoking cessation camps target smokers who wish to quit or who have unsuccessfully quit, and provide education and consulting programs over 1 to 2 days. These three types of services provide different services and programs to smokers in the community. If physicians refer to their patients to these services, they may prove to be excellent resources for increasing smoking cessation.

서론

2015년 담뱃세 인상 이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사업 형태로 금연상담료 및 치료 약제비를 지급하기 시작함으로써 금연치료서비스가 의료체계 내에서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이로서 일차진료 의사들이 흡연하는 환자들에게 약물치료를 포함한 금연진료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으나, 바쁜 진료환경에서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하기는 여전히 어렵고, 때로는 반복된 금연 실패자들에게 보다 전문적인 금연지원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정부 주도 금연지원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시작된 것은 2005년 전국 보건소에 금연클리닉이 개설되면서부터이다. 이후 2006년 4월부터 금연상담전화(1544-9030)를 개설하였고, 2012년 12월 8일 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의 시행에 따라 금연상담전화번호가 담뱃갑에 삽입되어 맞춤형 금연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2015년부터는 지역금연지원센터가 전국 18개 권역별로 1개소씩 설치되어 찾아가는 금연상담이 상설화되었고, 1박 2일이나 4박 5일 형태의 입소형 전문치료 금연캠프 프로그램 제공 및 병·의원 금연치료서비스 등을 실시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서비스의 전문성 및 접근성을 높여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2018년 현재 일차진료 의사들이 금연치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의뢰할 수 있는 금연지원서비스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보건소 금연클리닉

1. 보건소 금연클리닉 사업의 개요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전국 보건소에 2005년에 개설되어 국가적 체계에서 금연정책이 진행되고 있고, 이는 담배규제기본협약 제14조인 담배의존 및 금연을 위한 조치에 해당하는 우리나라 금연종합대책의 국가 금연지원서비스 확대 및 강화를 위한 금연사업 중 하나이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담배의존에 대한 무료상담 및 치료서비스의 제공과 약물치료제를 지원하는 전문적이면 포괄적인 지역사회 중심의 금연사업이다.
지역사회중심 금연지원서비스인 보건소 금연클리닉 사업은 국민건강증진사업의 일환으로 보건소 통합건강증진사업 중 금연 분야의 사업이다. 사업의 목적은 지역사회 금연촉진을 통해 지역사회 흡연율을 감소시켜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데 있다[1].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지역 내 흡연자를 위한 금연지원서비스 제공으로 흡연자 대상 금연상담서비스와 금연패치 및 금연보조제 지급, 치료서비스와 찾아가는 금연클리닉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또한 기업이나 학교 등 지역사회 자원과 연계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금연지원사업의 지침이 되는 보건소 금연클리닉 상담매뉴얼 등을 개발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이를 개발 및 보급하고 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추진체계를 살펴보면 보건복지부의 총괄 하에 보건복지인력개발원에서 보건소 담당인력 교육을,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가금연지원센터에서 보건소 금연사업지침개발 및 운영지원과 보건소 금연사업 정보시스템 구축 및 금연사업 담당인력 교육을, 시도에서는 광역자치단체 금연사업 및 금연구역 관리를 담당하고, 시군구 보건소에서는 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Figure 1) [2].

2. 보건소 금연클리닉 사업의 내용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지역의 시·군·구 보건소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흡연자 대상 금연상담 서비스와 금연패치 및 금연보조제 지급, 치료서비스와 찾아가는 금연클리닉서비스로 기업이나 학교 등 지역사회 자원과 연계하여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서비스 대상자는 지역 내 흡연자로 청소년을 포함하며 주민등록상 지역주민이 아니라도 편의를 고려하여 서비스 제공을 하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금연클리닉 담당의사, 금연상담사, 금연담당공무원 등으로 구성되며 행동요법과 약물요법을 제공한다. 금연치료제는 의사가 처방하며 필요시 부프로피온이나 바레니클린을 제공하며, 금연상담사는 상담, 교육, 약물요법 및 진료 안내, 흡연자 관리, 흡연 관련 조사, 지역사회 이동 금연클리닉 운영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흡연자가 등록하면 ‘금연진료를 위한 가이드’를 근거로 상담과 행동요법 서비스 및 약물요법을 무료로 제공한다. 사업내용으로 금연상담 서비스, 금연행동요법 및 니코틴 보조제 및 금연치료제 제공, 찾아가는 금연클리닉 운영 등을 하고 있다(Figure 2) [2]. 첫째, 금연상담 서비스는 대상자의 금연클리닉 등록 후 6개월간 9차 이상 제공한다. 금연상담 방법은 내소상담, 방문상담, 전화상담이 있고, 대면상담 시 carbon monoxide 또는 코티닌, 혈압 측정을 하며, 6개월 동안 서비스 한 후, 이후 6개월 동안 추구관리를 실시한다. 둘째, 금연행동요법, 니코틴 보조제 및 금연치료제, 행동강화 물품 및 기념품 제공을 하며, 금연행동요법은 호기 일산화탄소 측정 등을 한다. 니코틴 보조제로 니코틴 패치, 니코틴 껌, 니코틴 사탕 등을 제공하며 1인당 연간 12주분 이내 처방을 원칙으로 한다. 금연치료제는 필요 시 의사가 처방하며, 행동강화 물품은 금단증상 등이 발생했을 경우 행동상의 대체물로 줄넘기 등 운동용품 등을 지원하며, 6개월 금연성공자의 경우 기념품을 제공한다. 셋째, 찾아가는 금연클리닉을 운영하여 보건소 내소가 어려운 대상자와 금연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는 기업, 마을, 학교, 단체 등도 포함한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상담서비스는 금연성공과, 재흡연 예방, 금연유지 및 추구관리로 구분하여 상담을 운영하며, 금연성공은 금연시작부터 금연 8주까지를, 재흡연 예방은 금연 12주, 금연유지는 금연 24주 그리고 추구관리는 금연 24주 이후 12개월까지로 구분하여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Table 1) [3]
금연서비스의 평가는 금연서비스 통합정보시스템을 통해 등록 및 관리되며 대상자 등록과 서비스 제공 관리, 만족도 및 금연성공 평가 여부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금연서비스 평가는 금연성공 평가와 상담만족도 평가로 이루어지며, 금연 서비스 종결 평가는 금연결심일로부터 4주와 6개월에 성공여부를 확인한다. 4주 금연성공은 금연상담 시작 후 4주까지 담배를 한 개비라도 피운 경험이 없는 경우이고, 6개월 금연성공은 금연상담 시작 후 6개월까지 담배를 2개비를 초과하여 피운 경험이 없는 경우이다. 2016년부터 4주, 6개월 성공평가 시 자가보고와 일산화탄소 또는 코티닌 측정을 하여 금연성공 평가기준을 강화하였다. 보건소 금연클리닉 운영 결과 지표는 등록, 금연 시작을 위한 결심, 4주 금연성공률, 그리고 6개월 금연성공률이다[2].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연도별 등록 추이를 살펴보면 2008년에는 등록자 약 34만 9,000명에서 2015년 57만 4,000명, 2016년에는 41만 1,000명이 등록하였고, 2014년 9월 11일 담뱃값 인상 발표 이후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자가 급증하여 전년 대비 51.9%가 증가하였다. 금연결심률은 약 94–98%이지만 4주 금연성공률은 2010년과 2011년의 80%, 2012년 91%를 제외하고 약 70%대의 성공률을 보였다. 6개월 성공률은 2008–2010년에는 40%대, 2012년은 65%로 가장 높았으나, 2014년 49.2%에서 2016년은 41.7%의 6개월 성공률을 보였다[4].

지역금연지원센터 입원 캠프

1. 지역금연센터 입원 캠프의 개요

보건복지부는 2015년 4월 전국 17개 시·도에 지역금연지원센터를 선정하였는데, 경기도는 북부와 남부의 2개 권역으로 나누어 지정하여 총 18개의 지역 금연센터가 운영되고 있다[3]. 지역금연지원센터에서는 1) 시간적 제약, 사회적 편견 등으로 기존 금연지원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학교 밖 청소년, 여성, 대학생,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한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와, 2) 외래 약물 치료만으로는 금연치료가 어려운 중증고도 흡연자 및 금연의지가 있는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금연 캠프, 3) 시도, 시군구, 교육청 등 지자체 사업지원 및 지역 내 금연사업 간 연계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운영을 내용으로 하는 지자체 금연사업지원사업을 정부의 민간보조를 받아 진행하고 있다.
이중 의사가 의뢰 가능한 서비스는 입원 금연캠프이다. 이는 1) 중증고도흡연자를 대상으로 입원실을 확보하여 4박 5일간 전문적 금연치료 및 집중상담을 제공하는 전문치료형 금연캠프와, 2) 일반흡연자 또는 단체흡연자를 대상으로 1박 2일 동안 전문 금연교육 및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일반지원형 금연캠프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지역금연센터에서는 연간 일정을 수립하여 홈페이지 및 지역 내 홍보활동을 통해 사전 공지하고 있으며, 캠프 참가 대상자 기준에 따른 사전 참가신청 접수 및 검토를 통한 선정과정을 거쳐 캠프에 입소하도록 하고 있다.
니코틴 보조제, 약물(부프로피온, 바레니클린)을 함께 사용할 경우 스스로의 의지만으로 주변의 아무런 도움 없이 금연에 성공할 확률이 2–3배 정도 증가하지만, 여전히 장기 성공률은 20–25%에 불과하다. 외래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보건소 금연클리닉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금연지원사업 이용 후 여러 차례 금연에 실패한 대상자들이 재등록을 통해 동일한 서비스를 받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금연에 의한 금단증상의 경우 금연시작 3–5일이 최고조에 이르는데 이 시기에 적절한 금연상담, 의학적 치료, 운동·영양 등 건강상담 등이 포함된 집중 프로그램 제공 시 높은 성공률을 보인다. 실제로 미국의 Mayo Clinic Nicotine Dependence Center의 residential smoking cessation program이나 St. Helene Center의 Nicotine Addiction Program 등의 지역사회 기반의 병원시설을 이용한 집중적 금연치료 프로그램은 의학적 치료뿐 아니라, 인지행동적 접근, 운동, 식습관, 휴식습관 관리 등을 통해 45–65% 정도의 성공률을 보였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금연의지가 약하거나 니코틴 중독이 심한 흡연자, 또는 반복 재흡연자 등 금연 시도나 유지가 어려운 흡연자를 대상으로 한 집중 전문 프로그램 개설 및 운영에 대한 필요성이 있어 금연캠프 사업이 시작되었다. 금연캠프 팀장은 보통 의사로 금연캠프 운영에 있어 진료에 관한 책임을 지고 있다. 주치료자는 금연상담에 숙련된 임상심리전문가(상담심리사)로서 권장된다. 이외에 프로그램을 전담하여 운영하는 인력 등이 함께 운영한다. 중증고도흡연자에 대한 집중 금연프로그램인 금연캠프는 높은 금연성공률에도 불구하고 비용효과 측면, 그리고 적용범위 측면에서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향후 비용을 줄이면서도 대상자를 확대할 수 있는 집중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전문치료형 금연캠프

전문치료형 금연캠프는 금연의지가 있지만 금연이 어려운 중증고도흡연자를 대상으로 4박 5일간 지역금연지원센터에 입원하도록 하여 전문적 금연치료 및 금연유지를 위한 집중상담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전문형 금연캠프의 프로그램에는 담배의 해로움, 금연동기 강화, 금연약물의 이해, 스트레스 관리, 분노조절 훈련, 담배회사의 마케팅 전략, 등을 다루는 내용 등이 포함된다(Table 2) [3]. 참여자들은 지역금연지원센터에서 확보한 병원 내 입원실에 입소하여 생활하며, 매일 의료진이 회진한다. 흡연자의 특성에 따라 금연약물을 적극적으로 처방하게 되는데, 입소 전부터 병의원과 연계하여 사전 약물처방을 하도록 하기도 한다.
각 개인이 참가를 신청하며, 지역금연지원센터에 방문 접수하거나 온라인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개인이 직접 신청할 수 있다. 흡연관련 질병력(악성종양, 만성폐질환, 심뇌혈관질환 등)이 있는 현재 흡연자 또는 20년 이상 담배를 피우고, 2회 이상 금연실패 경험이 있는 흡연자로서 저소득층, 보건소 금연클리닉과 병의원 의뢰자가 대상자로 우선 선정된다. 참가비 10만 원을 받지만, 캠프 수료 시 전액 환급을 받을 수 있다. 만 19세 미만 청소년, 만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의료급여 수급권자(기초생활수급자 등), 차상위계층(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의 100분의 50 이하인 사람), 군의경 등 병역의무자 등은 면제가 된다. 이수 및 성공자에 대해 소정의 이수 성공 기념품 제공된다. 6개월간 방문상담이나 전화상담을 통해 금연유지 및 실천을 위한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 프로그램의 6개월 금연성공률은 대략 60–70% 정도로 알려져 있다.

3. 일반지원형 금연 캠프

일반지원형 금연캠프는 과거 금연시도 경험이 있고 금연의지가 있는 흡연자를 대상으로 1박 2일 동안 집중상담, 금연 전문교육, 스트레스 관리 등의 금연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Table 3) [3]. 금연캠프 장소로는 지역 내 위치한 유휴 연수원 등 숙박 및 교육이 가능한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일반지원형 금연캠프 기간 동안에는 흡연의 폐해, 금연의 장점, 금연 성공사례 공유 등의 금연교육이 이루어지며, 금연캠프 입소 시 실시한 흡연에 대한 전반적 평가 및 심리평가를 바탕으로 금연의 장애요인 탐색, 흡연 유형에 따른 금연법 탐색 등 금연상담서비스가 제공된다. 일반지원형의 경우 최소 20명 내외 규모의 단체로 모집하여 운영하며, 대학교·직장 단위 단체에서 참가의사가 있는 경우 담당자와의 협의를 통해 입소자를 선정한다. 수료 후 6개월 간 방문상담 및 전화상담을 통하여 금연지원서비스가 제공되며, 보건소 금연클리닉, 금연상담전화, 병의원 금연치료 등의 금연지원 서비스 연계를 통한 사후관리도 제공되고 있다.

금연상담전화서비스

1. 금연상담전화서비스의 배경 및 개요

전화상담을 통하여 흡연자의 금연 시도를 독려하고 금연을 원하는 경우 금연 시작과 유지를 위한 상담을 제공하는 금연상담전화서비스는(국외에서는 quitline 또는 helpline으로 불리움) 1980년 중후반부터 시작되어 미국, 캐나다, 유럽, 호주, 뉴질랜드, 대만, 홍콩 등의 국가에서 전국단위 금연서비스 사업으로 추진해 오고 있으며, 미국, 캐나다 등에서 수행된 연구를 통하여 흡연율 감소와 금연 붐 조성에의 실효성이 있음이 입증된 금연지원서비스의 하나이다[56]. 또한, 금연상담전화서비스는 보건소나 병의원을 방문하는 다른 금연지원서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인 기밀유지가 용이하고, 높은 접근성 및 편의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비용효과적이어서 인구집단 대상의 금연지원서비스 제공방법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다[67].
주 단위별로 각각의 금연상담전화를 1개 이상 가지고 있는 미국의 경우 금연성공률 향상은 물론 지역사회의 금연 분위기 조성에 금연상담전화가 기여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캐나다와 함께 ‘북미 금연상담전화 컨소시엄(North American Quitline Consortium)’을 구성하여 금연 유도와 실천을 위한 역할 강화와 서비스 질향상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우도 금연상담전화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이 연합하여 각각 ‘유럽 금연상담전화 네트워크(European Network of Quitline)’와 ‘아시아태평양지역 금연상담전화 네트워크(Asian Pacific Quitline Network)’를 운영함으로써 흡연자의 금연 유도와 실천 향상에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891011].
우리나라의 경우 흡연자의 금연 의지를 강화하고 금연 시도와 재흡연 방지를 통해 국내 흡연율 감소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면대면 상담에 어려움이 있는 여성 및 청소년과 직장인 등 흡연자들의 금연지원을 강화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2006년 4월부터 금연상담전화(1544-9030)를 개설하였으며, 보건소금연클리닉과 함께 세계보건기구 담배규제기본협약 14조의 국내 이행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해오고 있다. 특히, 2012년 12월 8일 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의 시행에 따라 금연상담전화번호가 담뱃갑에 삽입되고 대중매체를 통한 국가 금연캠페인 진행 시 금연상담전화번호가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서비스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2014년 3월부터 주말상담을, 2015년 1월부터는 서비스 제공시간을 연장하여(운영시간 오전 9시–오후 10시) 운영 중에 있다.

2. 금연상담전화서비스의 내용

국내 금연상담전화서비스는 개설 이래 상담프로토콜 세분화와 상담사 전문성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흡연자의 유형 및 일반적 특성, 흡연 행태 및 금연의지, 이용자가 원하는 상담 서비스 제공 기간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상담서비스를 제공 중에 있다(Figure 3) [12].
모든 신규 금연프로그램 등록자에게는 금연시작 전 금연지침서와 함께 금연에 도움이 되는 금연툴킷(tool-kit)을 우편으로 발송하여, 금연의 필요성 및 금연 동기 강화는 물론 상담프로그램을 통한 금연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금연툴킷에는 금연지침서, 금연스케줄러, 금연서약과 동기를 담아 간직하는 지갑, 흡연욕구가 나타났을 때 활용 할 수 있는 간단한 손 장난감과 휴대용 물병 등 흡연을 돕는 물품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금연상담전화 첫 상담을 통해 금연 시작일이 정해지면 대상자에게 바로 발송된다.
모든 상담은 개인별로 정해진 금연상담사와의 1:1 상담을 통해 진행되며 첫 상담 시에 파악된 흡연자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흡연행태, 흡연과 관련된 주변환경 등을 토대로 적절한 금연 시작일과 상담프로토콜을 정하고 필요한 상담을 프로토콜에 맞추어 진행한다. 성인 남성 및 여성, 청소년, 생산 및 노무직 종사자, 감정노동서비스 종사자, 임산부 등 대상자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금연상담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되, 상담 내용은 개개인의 흡연특성과 금연 동기를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진행하게 된다. 여성 흡연자의 경우 흡연의 원인을 제공하거나 금연의 장애로 작용하기도 하는 우울, 스트레스, 비만 등 정서적 감정적 변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대처방안 등의 내용을 강화하고, 흡연 청소년의 경우 전문 상담사와의 주기적인 전화 상담 이외에도 금연 시작과 진행 중에 일상생활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또래 친구 등 금연 지지자를 지정하고 금연 과정에 참여시키도록 하는 프로토콜이 적용된다. 흡연율은 높으나 금연 환경 조성과 동기화가 어려운 서비스 제조·생산 및 판매직 종사자, 직업 특성에 따른 업무스트레스와 근무환경으로 인하여 금연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감정노동자(전화상담원, 백화점 판매원 등) 등을 위해서는 금연동기 강화와 흡연환경 극복에 초점을 둔 상담 프로토콜을, 임신으로 인해 금연동기 강화가 가능하나 자신의 흡연을 외부에 노출하기 꺼려할 수 있는 임산부의 경우는 임신 상황과 임신 주수에 따른 생리적 변화 등을 고려한 정보제공과 금연유지 독려 등에 중점을 둔 맞춤 프로토콜이 별도 운영되고 있다. 그 밖에도 금연시도가 어렵거나 흡연 중독이 심해 금연을 시작하지 못하는 흡연자들을 위해서 단기간 혹은 단시간 반복적인 금연시도를 통해 금연과정을 경험하고 금연성공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독려하는 단기금연 프로토콜도 개발되어 운영 중에 있다.
금연을 위해 금연상담서비스를 이용하는 기간도 이용자 편의와 요구에 따라 금연 준비 단계인 사전 프로그램과 7일, 30일, 100일, 1년의 금연 프로그램과 1년 금연 유지 이후 재흡연 방지를 위한 금연유지 프로그램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1년 간의 상담프로그램의 경우 등록 상담 이후 흡연욕구와 금단증상이 심한 첫 30일 동안 기본적으로 총 7회의 상담이 이루어지며, 이후 11개월 동안 14회의 상담을 통하여 흡연 유혹에 대처하는 방법 및 금연을 유지하고 생활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와 상담을 제공한다.
전화 이외에도 단문 메시지 서비스, 이메일, 채팅 등의 다채널 서비스를 통해 흡연예방 및 금연에 정보와 상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금연길라잡이(www.nosmokeguide.go.kr)에서 제공하는 온라인금연지원서비스와 실시간 교차 상담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용자의 편의에 따라 원하는 의사소통 채널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와 내용의 금연지원 정보와 상담이 제공 가능하며, 온라인 상의 프로그램을 통해 금연이 어려운 경우 금연상담사와의 전화상담으로 전환하거나 전화상담 진행이 어려운 상황이 되거나 스스로 금연을 유지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 온라인 상의 프로그램으로 전환하여 이용 가능하다.
한편, 금연상담전화서비스는 직접 방문을 해야 하는 보건소금연클리닉, 병의원 금연치료, 지역금연지원센터의 금연캠프 등의 국가지원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시간적 지리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흡연자들은 물론, 이들 프로그램을 통해 금연치료와 지원서비스를 제공 받은 이후 지속적으로 금연유지 상담을 받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담자료의 연계를 통해 지속적 이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그 외에도 병의원에 진료를 목적으로 방문한 흡연자들에게 금연의 필요성과 함께 금연상담전화번호를 안내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에도 국가지원의 다양한 금연지원서비스 중에 본인 상황에 맞는 적정 서비스를 선택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결론

본고에서는 일차의료에서의 금연진료 이외에 의사들이 의뢰 가능한 금연서비스들에 대해 살펴 보았다. 보건소의 금연클리닉, 지역금연지원센터의 입원 캠프, 금연상담전화는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진 흡연자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의사들이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의뢰한다면 금연성공을 위한 좋은 지역사회의 자원이 될 수 있다.

Peer Reviewers' Commentary

본 원고에서는 진료실에서의 금연진료 이외에 의사들이 의뢰 가능한 금연서비스인 보건소 금연클리닉, 금연상담전화 서비스, 입원형 금연캠프의 특성과 그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 지역금연지원센터 입원 캠프, 금연상담전화서비스 등의 금연지원서비스는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진 흡연자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에 대해 일차진료의사가 잘 알고 있어야 하고 적절하게 의뢰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 지역금연지원센터 입원 캠프, 금연상담전화서비스에 대한 사업 배경과 내용, 진행 방식이 알기 쉽게 잘 정리되어 있어 금연 성공을 원하는 흡연자의 다양한 요구들을 충족시키고 금연치료에 대한 여러 가지 접근방식을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다양한 방식의 금연치료에 대한 중재 방식을 소개하면서 일차진료의사가 흡연자에게 적절한 금연치료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정리: 편집위원회]

Figures and Tables

Figure 1

Promotion system for smoking cessation clinic in public health center. Reproduced fro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t al. National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 manual for consultation at smoking cessation clinic in public health center in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

jkma-61-163-g001
Figure 2

Service procedure at smoking cessation clinic. Reproduced fro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t al. National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 manual for consultation at smoking cessation clinic in public health center in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

jkma-61-163-g002
Figure 3

Target specific coaching protocol for cessation in quitline. Reproduced from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National Cancer Center, The annual report on operation of Quitline in Korea,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7. [12].

jkma-61-163-g003
Table 1

Counseling services of smoking cessation clinic in public health center

jkma-61-163-i001

Reproduced fro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t al. A guide to regional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s in 2017.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3].

Table 2

Special treatment type at smoking cessation camp: program contents

jkma-61-163-i002

Reproduced fro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t al. A guide to regional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s in 2017.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3].

Table 3

General support type of smoking cessation camp: program contents

jkma-61-163-i003

Reproduced fro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t al. A guide to regional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s in 2017.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3].

References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A guide to community integration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2017: smoking cessation.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7.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National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 manual for consultation at smoking cessation clinic in public health center in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5.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National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 A guide to regional smoking cessation support centers in 2017.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7.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A guide to community integration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2017: smoking cessation.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7.
5. Stead LF, Lancaster T. Telephone counselling for smoking cessat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1; (2):CD002850.
crossref
6. Zhu SH, Anderson CM, Tedeschi GJ, Rosbrook B, Johnson CE, Byrd M, Gutierrez-Terrell E. Evidence of real-world effec-tiveness of a telephone quitline for smokers. N Engl J Med. 2002; 347:1087–1093.
crossref
7. World Health Organizaton. Developing and improving national toll-free tobacco quit line services: a World Health Organization manual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on;2011. cited 2018 Feb 8. Available from: http://www.who.int/tobacco/publications/smoking_cessation/quit_lines_services/en/.
8. Eriksen M, Mackay J, Schluger N, Islami F, Drope J. The toba-cco atlas. 5th ed. Atlanta: American Cancer Society;2015.
9. North American Quitline Consortium. Quitline map [Internet]. Phoenix: North American Quitline Consortium;2017. cited 2018 Feb 8. Available from: https://naquitline.site-ym.com/?page=mappage.
10. Willemsen MC, van der Meer RM, Bot S. Description, effec-tiveness, and client satisfaction of 9 European quitlines: results from the European Smoking Cessation Helplines Evaluation Project (ESCHER) [Internet]. Den Haag: STIVORO;2008. cited 2018 Feb 8. Available from: https://www.alliantienederlandrookvrij.nl/wp-content/uploads/2012/docs/rapporten/stoppenmetroken/ESCHER%20Final%20Report.pdf.
11. Asian Pacific Quitline Network. APQN member profile [Internet]. Goyang: Asian Pacific Quitline Network;2017. cited 2018 Feb 8. Available from: http://apqn.or.kr.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Cancer Center. The annual report on operation of quitline in Korea. Sejou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7.
TOOLS
ORCID iDs

Minkyeong Im
https://orcid.org/0000-0002-8224-2171

Dong Wook Shin
https://orcid.org/0000-0001-8128-8920

Hyeon Suk Kim
https://orcid.org/0000-0001-5412-0188

Similar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