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erratum is being published to correct the printing error on page 42 of the article entitled "Opioid-induced hyperalgesia" by Heeseung Lee in J Korean Med Assoc 2014;57(1):41-46. DOI: 10.5124/jkma.2014.57.1.41. Sentence was misprinted as "먼저 약력학적(pharmacodynamic) 내성이다. 이는 cytochrome P450 같은 간의 분해효소의 생성이 증가되었다던가 항암제 투여 시 P-glycoprotein의 생성증가 등으로 세포파괴능에 저항이 생긴 경우가 예이다. 약동학적(pharmacokinetic) 내성은 대부분의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사용하는 약물들과 특히 관련되는데 지금 논의 중인 아편유사제를 포함하여 barbiturates, organic nitrates 등의 내성을 주도하는 기전이 된다." and it should be corrected as follows:
After correction
먼저 약동학적(pharmacokinetic) 내성이다. 이는 cytochrome P450 같은 간의 분해효소의 생성이 증가되었다던가 항암제 투여 시 P-glycoprotein의 생성증가 등으로 세포파괴능에 저항이 생긴 경우가 예이다. 약력학적(pharmacodynamic) 내성은 대부분의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사용하는 약물들과 특히 관련되는데 지금 논의 중인 아편유사제를 포함하여 barbiturates, organic nitrates 등의 내성을 주도하는 기전이 된다.
대한의사협회지 2014년 1호 42쪽에 이희승의 "아편유사제에 의한 통각과민" 논문에서 본문 내용중 "먼저 약력학적(pharmacodynamic) 내성이다. 이는 cytochrome P450 같은 간의 분해효소의 생성이 증가되었다던가 항암제 투여 시 P-glycoprotein의 생성증가 등으로 세포파괴능에 저항이 생긴 경우가 예이다. 약동학적(pharmacokinetic) 내성은 대부분의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사용하는 약물들과 특히 관련되는데 지금 논의 중인 아편유사제를 포함하여 barbiturates, organic nitrates 등의 내성을 주도하는 기전이 된다."로 잘못 기재되어 이를 "먼저 약동학적(pharmacokinetic) 내성이다. 이는 cytochrome P450 같은 간의 분해효소의 생성이 증가되었다던가 항암제 투여 시 P-glycoprotein의 생성증가 등으로 세포파괴능에 저항이 생긴 경우가 예이다. 약력학적(pharmacodynamic) 내성은 대부분의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사용하는 약물들과 특히 관련되는데 지금 논의 중인 아편유사제를 포함하여 barbiturates, organic nitrates 등의 내성을 주도하는 기전이 된다."로 정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