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List > J Korean Soc Transplant > v.24(4) > 1034319

Bang, Kim, Byeon, Kim, Jong, Ro, Yun, Min, Ha, Cho, Yang, and Ahn: Current Management for Patients on the Waiting List of Deceas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in Korea

Abstract

Background

Health maintenance and monitoring of transplant candidates, the great majority of whom are undergoing chronic dialysis, can be a determinant of post-transplant prognosis. New issues such as malignancy, inflammation, cardiovascular disease, and psychosocial problems might arise among potential recipients, which may lead to cancellation of the transplantation.

Methods

A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s regarding follow-up monitoring, was sent to 66 transplant centers, and responses to the survey were obtained from 35 centers (53%). A similar questionnaire was sent to 217 wait-listed patients, and 164 (76%) responded.

Results

Regular contact between the transplant center and patients was maintained by only 37% of the centers. No consistent pattern of contact was observed for 11%. Sixty percent of the centers monitored patients by telephone. Three-fourths of the transplant centers monitored their patients annually or every 6 months. A cancer screening program was run by only 17% of the centers, and 29% did not routinely request cardiac screening. Most centers (83%) informed their patients of the features of marginal kidneys. However, many patients (69%) reported not hearing about marginal kidneys, and 43% indicated that a cadaver transplant was cancelled because of a cadaver donor problem.

Conclusions

Our survey indicates that the necessity for routine follow-up monitoring is broadly recognized by 86% of transplant centers and 78% of wait-listed patients However, no formal monitoring guidelines currently exist for wait-listed patients in Korea. Therefore, guidelines are absolutely necessar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ost-transplant life.

References

1).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 [Internet]. Seoul: KONOS;2010. Available from:. http://www.konos. go.kr.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Internet]. Seoul: KONOS; 2010. Available from:. http://www.konos.go.kr. .).
2). Danovitch GM, Hariharan S, Pirsch JD, Rush D, Roth D, Ramos E, et al. .;.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ommittee of the American Society of Transplantation. Management of the waiting list for cadaver kidney transplants: report of a survey and recommendations by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ommittee of the American Society of Transplantation. J Am Soc Nephrol. 2002; 13:528–35.
3). Ojo AO, Hanson JA, Meier-Kriesche H, Okechukwu CN, Wolfe RA, Leichtman AB, et al. Survival in recipients of marginal cadaveric donor kidneys compared with other recipients and wait-listed transplant candidates. J Am Soc Nephrol. 2001; 12:589–97.
crossref
4). Meier-Kriesche HU, Port FK, Ojo AO, Rudich SM, Hanson JA, Cibrik DM, et al. Effect of waiting time on renal transplant outcome. Kidney Int. 2000; 58:1311–7.
crossref
5). Rostand SG. Coronary heart disease in chronic renal insufficiency: some management considerations. J Am Soc Nephrol. 2000; 11:1948–56.
6). Danovitch GM. The epidemic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chronic renal disease: a challenge to the transplant physician. Graft. 1999; 2(Suppl II):S108–S12.
7). Middleton RJ, Parfrey PS, Foley RN.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in the renal patient. J Am Soc Nephrol. 2001; 12:1079–84.
crossref
8). Cecka JM. The UNOS Scientific Renal Transplant Registry. Cecka JM, Terasaki PI, editors. Clinical Transplants 1999. Los Angeles: UCLA Immunogenetics Center;2000. p. 3–16.
9). Gaston RS, Dannovitch GM, Adams PL, Wynn JJ, Merion RM, Deierhoi MH, et al. The report of a national conference on the wait list for kidney transplantation. Am J Transplant. 2003; 3:775–85.
crossref
10). Penn I. Occurrence of cancers in immunosuppressed organ transplant recipients. Clin Transpl. 1994. 99–109.
11). Matas AJ, Simmons RL, Kjellstrand CM, Buselmeier TJ, Najarian JS. Increased incidence of malignancy during chronic renal failure. Lancet. 1975; 1:883–6.
crossref
12). Curtis JR. Cancer and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failure. Br Med J (Clin Res Ed). 1982; 284:69–70.
crossref
13). Lee JE, Han SH, Cho BC, Park JT, Yoo TH, Kim BS, et al. Cancer in patients on chronic dialysis in Korea. J Korean Med Sci. 2009; 24(Suppl 1):S95–S101.
crossref
14). Stengel B. Chronic kidney disease and cancer: a troubling connection. J Nephrol. 2010; 23:253–62.
15). Kim JK, Lee KY, Kim EJ, Kim SJ, Seo JW, Yoon JW, et al. Malignancy in patients on dialysis for ESRD. Korean J Nephrol. 2007; 26(Suppl 1):S402. (김진경, 이영기, 김은정, 김수진, 서장원, 윤종우, 등.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악성 종양의 발생. 대한신장학회지 2007;26 Suppl 1: S402.).
16). Kauffman HM, Cherikh WS, McBride MA, Cheng Y, Hanto DW. Posttransplant de novo malignancies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the past and present. Transpl Int. 2006; 19:607–20.
crossref
17). Maisonneuve P, Agodoa L, Gellert R, Stewart JH, Buccianti G, Lowenfels AB, et al. Cancer in patients on dialysis for end-stage renal disease: 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study. Lancet. 1999; 354:93–9.
crossref
18). Denton MD, Magee CC, Ovuworie C, Maulyyedi S, Pascual M, Colvin RB, et al. Prevalence of renal cell carcinoma in patients with ESRD pretransplantation: a pathologic analysis. Kidney Int. 2002; 61:2201–9.
crossref
19). Farivar-Mohseni H, Perimutter AE, Wilson S, Shingleton WB, Bigler SA, Fowler JE Jr. Renal cell carcinoma and end stage renal disease. J Urol. 2006; 175:2018–20. discussion 2021.
crossref
20). Truong LD, Krishnan B, Cao JT, Barrios R, Suki WN. Renal neoplasm in acquired cystic kidney disease. Am J Kidney Dis. 1995; 26:1–12.
crossref
21). Swindle P, Falk M, Rigby R, Petrie J, Hawley C, Nicol D. Transitional cell carcinoma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the influence of compound analgesics. Br J Urol. 1998; 81:229–33.
crossref
22). Ojo AO, Hanson JA, Wolfe RA, Leichtman AB, Agodoa LY, Port FK. Long term survival in renal transplant recipients with graft function. Kidney Int. 2000; 57:307–13.
23). Mohi-ud-din K, Bali HK, Banerjee S, Sakhuja V, Jha V. Silent myocardial ischemia and high-grade ventricular arrhythmias in patients on maintenance hemodiaysis. Ren Fail. 2005; 27:171–5.
24). Jeong JC, Ro H, Hwang YH, Lee HK, Ha J, Ahn C, et al. Cardiovascular diseases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0; 25:1589–94.
crossref
25). Herzog CA. How to manage the renal patient with coronary heart disease: the agony and the ecstasy of opin-ion-based medicine. J Am Soc Nephrol. 2003; 14:2556–72.
crossref
26). Morales E, Gutierrez E, Andres A. Treatment with cal-cimmetics in kidney transplantation. Transplant Rev (Orlando). 2010; 24:79–88.
27). Merion RM, Ashby VB, Wolfe RA, Distant DA, Hulbert-Shearon TE, Metzger RA, et al. Deceased-donor characteristics and the survival benefit of kidney transplantation. JAMA. 2005; 294:2726–33.
crossref
28). Kauffman HM, McBride MA, Rosendale JD, Ellison MD, Daily OP, Wolf JS. Trends in organ donation, recovery and disposition: UNOS data for 1988–1996. Transplant Proc. 1997; 29:3303–4.
crossref
29). Tullius SG, Reutzel-Selke A, Nieminen-Kelha M, Jonas S, Egermann F, Heinzelmann T, et al. Contribution of donor age and ischemic injury in chronic renal allograft dysfunction. Transplant Proc. 1999; 31:1298–9.
crossref
30). Cecka JM, Shoskes DA, Gjertson DW. Clinical impact of delayed graft function for kidney transplantation. Transplant Rev. 2001; 15:57–67.

Fig. 1.
Contact pattern and method of transplantation centers to patients on the waiting list. (A) % regular contact. (B) Method of contact. (C) Frequency of contact reported by transplantation centers. (D) Frequency of contact reported by patients.
jkstn-24-272f1.tif
Fig. 2.
Standard cancer prevention screening recommendations.
jkstn-24-272f2.tif
Fig. 3.
Screening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The subject of screening. (B) Screening methods. Abbreviations: CVA, cerebral vascular accident; DM, diabetes mellitus; MIBI, myocardial spect.
jkstn-24-272f3.tif
Table 1.
Survey questions and responses a for Transplantation Centers
1. 이번 조사에 응하는 사람에 관해서, 당신은 누구십니까? a. 이식내과의(3%) b. 이식외과의(0%)
  c. 이식 coordinator (97%)  
2. 귀원 이식센터는 어디에 소속되어 있습니까? a. 개인병원(14%) b. 대학병원(86%)
3. 귀원의 이식센터는 췌장이식을 제공하고 있습니까? a. 예(26%) b. 아니오(74%)
4. 대략 얼마나 많은 환자들이 귀원의 뇌사자 신장이식 대기자로 a. 100명 미만(54%) b. 100∼500명(37%)
있습니까? c. 500∼1,000명(9%) d. 1,000명 이상(0%)
5. 대기자로 일단 등록이 된 후에 인구학적 갱신 차원이나 생체장기 a. 일정하지 않게(63%)  
제공자에 대한 이용성, 그리고 새로 발생한 의학적 또는 사회학적 b. 예, 모든 환자들과(37%)  
문제들을 위해서 대기자들과 정기적인 연락을 유지하십니까? c. 예, 오직 특정 군들과(예, 당뇨병, 심혈관 질환, 나이) (0%)
6. 장기이식 대기자로 등록이 된 환자와 어떻게 연락을 유지하십 a. 연락을 유지하기 위한 체계적인 시도가 없다(11%)
니까? b. 정기적인 예정된 날짜에 이식센터에 방문한다(20%)
  c. 전화를 통해서 환자와 이식센터가 연락한다(60%)
  d. 환자가 먼저 이식센터와 접촉한다(0%)
  e. 이식센터 직원이 인공신장실로 방문한다(9%)
  f. 질문서를 포함한 우편을 통해서 연락한다(0%)
  g. 기타(0%)  
7. 장기이식 대기자로 등록이 된 환자와 얼마나 자주 연락을 취하 a. 매 6 개월마다(9%) b. 매년마다(66%)
십니까? c. 2년마다(3%)  
  d. 고위험환자들은 더 자주 연락을 취한다(3%)
  e. 일정한 방침이 없다(11%)  
  f. 기타(9%)  
8. 장기이식 상태와 관련 될 수 있는 이식 대기 중에 발생하는 a. 일정한 방침이 없다(57%)  
문제들(예, 심장 질환, 복막염, 당뇨병성 족부궤양, 낮은 순응 b. 투석 신장전문의가 이식센터에 연락한다(29%)
도)에 대해서 장기이식센터에 알리는 책임자는 누구십니까? c. 환자 또는 가족이 이식센터에 연락한다(14%)
  d. 기타(0%)  
9. 귀원의 장기이식센터가 장기적으로 이식 후 경과와 관련 될 수 a. 일정하게 예(34%)  
있는 환자의 상태 (혈압 조절,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 인자들, b. 일정치 않게 예(29%)  
또는 비만)에 대해서 개인 병원 신장전문의가 치료에 영향을 c. 거의 하지 않는다(37%)  
주는 시도가 있습니까? d. 기타(0%)  
10.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동안에 기록되거나 의심되는 심장질환 a. 정기적인 검사나 재검은 없다(29%)
이 없는 상태에서 심혈관질환을 배제하거나 확인하기 위해서 b. 예, 모든 환자에서(17%)  
정규적으로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 검사를 시행하십니까? c. 예, 심혈관질환이 확인된 환자에서만(46%)
  d. 예, 당뇨병환자에서(9%)  
  e. 예, 다른 고위험군에서 (나이, 비만) (9%)
  f. 기타(3%)  
11. 문제 10번과 같은 선별검사를 얼마나 자주 시행하십니까? a. 매년마다(21%) b. 2년마다(3%)
  c. 4,5년 지난 뒤(뇌사이식 순번이 돌아올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
  에) (52%)  
  d. 다른 스케쥴로(24%)  
12. 귀원의 장기이식센터에서 심혈관질환을 선별검사하기 위해서 a. 심혈관조영술(33%)  
어떤 검사를 선호하십니까? b. 약물부하 핵 확산(심근 관류) 검사(10%)
  c. 심초음파(47%)  
  d. Thallium 운동부하검사(3%)
  e. 운동부하검사만(7%)  
  f. 기타(0%)  
13. 귀원의 신장이식센터 전속으로 지정된 심장전문의가 있습니까? a. 예(31%) b. 아니오(69%)
14. 췌장이식 대기환자에겐 더 철저한 follow-up 요구가 있습니까? a. 예(22%) b. 아니오(78%)
15. 일반인에 있어서 유방암, 자궁경부암, 그리고 대장암 표준 예 a. 예(63%)  
방 선별검사의 권고사항 존재합니다. 귀 병원의 장기이식센터 b. 아니오(20%)  
가 이식 대기자에게 이 권고사항을 따르도록 주장하십니까? c. 투석 신장전문의에 결정에 따른다(17%)
16. 일반인에게 해당하는 권고사항이 아닌 귀원에서 시행하고 있 a. 예(17%)  
는 나름대로의 암 예방 선별 검진 프로토콜 또는 프로그램이 b. 아니오(40%)  
있습니까? c. 투석 신장전문의에 결정에 따른다(43%)
17. 귀원의 병원에 장기이식을 위해서 온 환자들이 얼마나 자주 a. 거의 드물게 발생 (<2%) (73%)
예상치 못한 의학적 문제들로 집에 다시 보내지십니까? b. 2∼5% (12%) c. 5∼10% (9%)
(crossmatching 양성 제외) d. 10∼20% (3%) e. > 20% (3%)
18. 귀원은 적합 또는 부적합 장기에 대한 기준을 가지고 계십니 a. Yes (47%)  
까? 다시 말해 standard cadaveric donor와 marginal donor의 b. No (53%)  
감별 기준을 가지고 계십니까?    
19. Marginal cadaveric donor에 대해서(1=Yes, 2=No) a. Marginal kidney에 대한 대기자를 일반 장기이식 대기자와 분리
  하여 유지하나요? (Yes 10%, No 90%)
  b. 이식할 때 marginal kidney가 단기적 또는 장기적인 신장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리한 특징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에 대
  한 정보를 제공합니까? (Yes 83%, No 17%)
  c. 대기자 등록 시 marginal kidney를 제공 받는 것에 대한 동의
  여부를 환자들에게 묻습니까? (Yes 62%, No 38%)
  d. Cadaveric donor의 marginal feature에 관해 투석 신장 전문의의
  의견을 구합니까? (Yes 76%, No 24%)
20. 지금까지의 문항에 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항에 답하시면서 a. Yes (86%)  
또는 이전부터 일해오시면서 뇌사이식 대기자 관리에 대한 정형 b. No (14%)  
화된 원칙이나 가이드라인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계십니까? c. 각 병원에 맞는 원칙이 필요하다(14%).
21. 이식 대기자 관리에 대한 의견 또는 이번 조사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면 말씀해 주십시오.

aThe percent responses are noted in parentheses after the questions. Percentages may add up to 100% because some responders may have indicated more than one option.

Table 2.
Survey questions and responses a for waiting-listed patients
1. (신장이식 대기자에 한하여) 귀하는 지금 현재 어떤 투석방법으 a. 혈액투석(59%) b. 복막투석(20%)
로 하고 있습니까? c. 아직 하고 있지 않다(21%)  
2. 뇌사 대기자 등록하신 지 얼마나 되었습니까? a. 1년 미만(24%) b. 1∼3년(18%)
  c. 3∼5년(17%) d. 5∼7년(16%)
  e. 7년 이상(25%)  
3. 대기자로 일단 등록이 된 후에(인구학적 갱신 차원이나 생체장 a. 일정하지 않게(21%) b. 6개월에 1회 이상(23%)
기제공자에 대한 이용성, 그리고 새로 발생한 의학적 또는 사회 c. 1년에 1회 이상(36%) d. 하지 않는다(21%)
학적 문제들을 위해서) 뇌사 등록 병원과 얼마나 자주 일정하게    
연락을 유지하십니까?    
4. 장기이식 대기자로 등록한 후 뇌사 등록 병원과 어떻게 연락을 a. 연락을 유지하기 위한 체계적인 시도가 없다(27%)
유지하십니까? b. 정기적인 예정된 날짜에 이식센터에 방문한다(49%)
  c. 전화를 통해서 이식센터와 연락한다(16%)
  d. 환자가 먼저 이식센터와 접촉한다(9%)
  e. 이식센터 직원이 귀하의 인공신장실로 방문한다(14%)
  f. 질문서를 포함한 우편을 통해서 연락한다(3%)
  g. 기타(0%)  
5. 장기이식 상태와 관련 될 수 있는 이식 대기 중에 발생하는 a. 일정한 방침이 없다(27%)  
문제들(예, 심장 질환, 복막염, 당뇨병성 족부궤양, 낮은 순응 b. 투석 신장전문의가 이식센터에 연락한다(12%)
도)에 대해서 귀하의 투석 병원에서 뇌사 장기등록 이식센터에 c. 환자 또는 가족이 이식센터에 연락한다(58%)
알리는 책임자는 누구십니까? d. 기타(0%)  
6. 투석을 받고 있는 귀원에서 이식을 권하거나 권하지 않는 등의 a. 일정하게 예(27%) b. 일정치 않게 예(12%)
병원 신장전문의가 이식치료에 영향을 주는 시도가 있습니까? c. 거의 하지 않는다(58%) d. 기타(3%)
7.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동안에 기록되거나 의심되는 심장질환이 a. 정기적인 검사나 재검은 없다(26%)
없는 상태에서 심혈관질환을 배제하거나 확인하기 위해서 정규 b. 예(73%) c. 기타(0%)
적으로 침습적 또는 비침습적 검사를 시행하십니까?    
8. 문제 7번과 같은 심혈관질환에 대한 선별검사를 얼마나 자주 a. 매년마다(87%) b. 2년마다(2%)
시행하십니까? c. 4,5년 지난 뒤(뇌사이식 순번이 돌아올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
  에) (11%)  
  d. 다른 스케쥴로(0%)  
9. 일반인에 있어서 유방암, 자궁경부암, 그리고 대장암 표준 예방 a. 예(49%)  
선별검사의 권고사항 존재합니다. 귀하는 이식 대기 중에 암 b. 아니오(45%)  
선별검사를 하고 계십니까? c. 투석 신장전문의에 결정에 따른다(6%)
10. 뇌사이식 수여자의 경우에 질문: 이식을 받기까지 몇 번의 뇌 a. 없다(65%) b. 1∼2회(21%)
사이식 시도가 본인 사정이나 병원 사정에 의해 좌절되셨나 c. 3∼4회(12%) d. 5회 이상(3%)
요? e. >20회(0%)  
11. 본인에게 연락이 온 이식수술 시도가 취소되거나 보류되는 이 a. 뇌사장기제공자(뇌사자, 보호자, 병원)의 문제로(43%)
유는 무엇인가요? b. 뇌사장기 상태가 좋지 않아 본인이 거부함(14%)
  c. 본인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35%)
  d. 본인의 여행이나 사적인 이유로(6%)
  e 이미 해외 등지에서 이식을 받았음(2%)
  f. 주관식 대답: c의 이유는? 예제: 감기, 암 또는 심혈관질환 등등
12. Marginal donor 장기(즉, 뇌사자의 나이가 많다거나 하는 이유 a. Yes (31%)  
등으로 인한 standard하지 않은 상태의 장기)에 대해 들어본 b. No (69%)  
적 있습니까?    
13. 상기 12번의 Yes로 대답하신 분들에게, 그렇다면 그러한 mar- a. Yes (11%) b. No (40%)
ginal donor의 장기를 이식받으시겠습니까? c. 잘 모르겠다(21%)  
  d. 담당의사가 권유하면 하겠다(28%)
14. 지금까지의 문항에 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항에 답하시면 a. Yes (78%)  
서 또는 이전부터 뇌사이식 대기자 관리에 대한 정형화된 원 b. No (22%)  
칙이나 가이드라인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계십니까?    
15. 다른 하고 싶은 말씀은?    

a The percent responses are noted in parentheses after the questions. Percentages may add up to 100% because some responders may have indicated more than one option.

Table 3.
Characteristics of transplantation centers included in this survey
Total number of centers 66
Number of centers responded to the survey 35 (53%)
Number of patients on the waiting list  
  <100 19 (54%)
  100∼500 13 (37%)
  >500 3 (9%)
Table 4.
Proposed program for managing waitlisted patients
1. 장기이식센터는 뇌사신장이식 대기자의 의학적, 정신적, 사회적 상태에 대하여 적절히 평가하고 관리할 인력(의사 또는 간호사)을
확보하며, 최소 1년마다 다음의 사항들을 점검하고 추적 관리하도록 한다.
2. 심혈관계 질환 검진: 부하심초음파 또는 부하핵의학검사
 1) 질환 없는 환자
  ㄱ. 당뇨병성 말기 신부전환자: 1년마다
  ㄴ. 비당뇨병성 고위험환자: 2년마다(Framingham criteria-관상동맥질환, 40% 미만의 심구혈률, 말초혈관질환 중 2개 이상)
  ㄷ. 저위험환자: 3년마다
 2) 질환 있는 환자
  ㄱ. 혈관 성형 받지 않은 환자: 1년마다
  ㄴ. 혈관 성형 받은 환자: 1년마다
  ㄷ. 관상동맥우회술 받은 환자: 첫 3년, 그 이후 1년마다  ㄹ. 무증상적 대동맥협착증환자: 1년마다
3. 암검진
 1) 위암(대한위암학회, 국립암센터): 40세 이상 2년마다 내시경검사 또는 상부 위장관조영술
 2) 대장암(대한대장항문학회, 국립암센터): 50세 이상 5∼10년마다 대장 내시경검사 고위험군의 경우 5년마다 검사
 3) 폐암(국립암센터): 40세 이상 저선량 CT촬영검사나 객담 암세포진검사, 흉부 X-선촬영검사 주기는 정해진 바 없으나 흡연자의
경우 1년마다
 4) 유방암(한국유방암협회 권고안)
  ㄱ. 30세 이후: 매월 자가유방검진
  ㄴ. 35세 이후: 2년 간격 의사에 의한 검진
  ㄷ. 40세 이후: 1∼2년마다 의사검진 및 유방촬영
 5) 자궁경부암(대한산부인과협회, 국립암센터): 대상자(성경험자)의 경우 1년마다 세포검사
 6) 전립선암(대한비뇨기학회): 50세 이후 매년 전립선암표지자(PSA) 검사
 7) 신장암: 3년 이상 투석 지속한 환자의 경우 1년마다 초음파검사
 8) 방광암: 위험군인 경우에 매년 소변검사, 소변 암세포검사
 9) 갑상선암: 매년 갑상선초음파검사
4. 감염증: 매년 B형 및 C형 간염바이러스검사, 결핵반응검사(quantiferon assay)
TOOLS
Similar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