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List > Korean J Gastroenterol > v.76(6) > 1145929

사우디 아라비아의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역학적 특징
기능성 소화불량증 (functional dyspepsia, FD)은 상복부에서 시작하는 위장 증상으로 소화성궤양, 위장관 악성 종양, 위식도 역류 질환, 췌담도 질환 등 그 인과 관계가 뚜렷한 기질적 질환이 없으면서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로, 비궤양성 소화불량증(non-ulcer dyspepsia), 본태성 소화불량증 (essential dyspepsia), 특발성 (idiopathic dyspepsia) 등으로 불려왔다.1 상복부 기원의 만성적, 반복적인 위장관 증상 복합체로 다양한 병태생리에 의해 발생하지만 , 아직까지 확실한 진단적 바이오 마커가 없다. 그러므로 진단은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는 배제진 단기준(exclusion criteria) 으로 한다.2 진단을 위한 로마기준 III 부터는 FD는 명치통증 증후군 (epigastric pain syndrome, EPS)과 식후고통 증후군 (postprandial distress syndrome, PDS)의 두 가지 아형으로 분류하였고 , 로마기준 IV에서도 같은 분류를 사용한다.3
FD는 매우 흔한 소화기 질환이다. 나라마다 유병률이 다르고, 통계 방법도 다양하지만 2000년 이전의 미국과 유럽의 역학 연구에서는 인구의 약 15-20% 정도로 보고하였다.4,5 이후 다양한 국가들의 유병률 연구에서도 7-34.2% 정도로 매우 다양하게 보고하였다.6 그중 낮은 유병률을 보이는 곳은 싱가폴 (7-8%), 중간은 스칸디나비아 국가(14.5% 와 18.4%)와 미국 (23% 와 25.8%), 높은 유병률은 인도(30.4%), 뉴질랜드 (34.2%) 로 알려져 있다.6 한국의 유병률은 농촌 지역주민 대상 연구에서 15.5%,7 한국 갤럽 전화 설문조사에서 8.4% 였다.8 하지만 중동지방의 역학 연구에 대한 자료는 흔하지 않아 , 정확한 유병률에 대한 자료를 가지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었다.
Zacharakis 등9은 사우디 아라비아의 전 지역의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웹 기반 국가 건강조사와 함께 로마기준 IV 설문지를 실시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사우디 아라비아의 18세 이상 3,114 명에서 , 조사에 응하지 않은 303 명(9.7%)을 제외한 총 2,811 명의 대상자에서 설문조사를 하였고, 임상적 무증상자 2,279 명(81.1%) 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 분석으로 FD 유병률은 18.3% 이고, 여성과 남성의 비율은 유사하였다(여성 51%, 남성 49%). 평균 연령 비교에서 소화불량증군에서 27세(18-58 세)로 무증상군 평균연령 24세(18-58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증상은 흡연, 결혼, 직업, 학력, 영 양상태, 신체활동 정도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아형별 분류도 유사하였다 (PDS 7.9%, EPS 7.8%). 사우디 아라비아를 동서남북과 중앙지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중앙(21%)과 동부(22%)가 서부(17%), 북부(18%), 남부(17%) 보다 높았고 , PDS의 비율이 중앙(10%)과 동부(11%)에서 서부(5%), 북부 (7%), 남부(6%)보다 약간 높았다. 연령분포에서 18-29세 (11%), 30-39세 (18%), 40-58 세(9%)의 분포를 보였다.
Zacharakis 등9의 연구는 FD의 새로운 진단기준인 로마기준 IV를 이용한 연구로, 현재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중동지방의 FD 유병률에 대한 체계적인 역학 연구 결과를 알 수 있는 경우이다. 비록 연구 방법에 차이가 있어 다른 지역과 직접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결과를 보았을 때에 사우디 아라비아는 전 세계와 비교해서 중간 정도의 유병률을 보이며, 연령, 증상, 사회경제적 상태 등의 비교에서는 다른 나라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자료는 향후 지속적인 역학 연구의 기초자료와 중동지방의 대표적인 역학 연구의 사례가 될 것이다.

Notes

Financial support: None.

Conflict of interest: None.

REFERENCES

1. Jung HK, Keum BR, Jo YJ, Jee SR, Rhee PL, Kang YW. Korean Society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2010; Diagnosis of functional dyspepsia: a systematic review. Korean J Gastroenterol. 55:296–307. DOI: 10.4166/kjg.2010.55.5.296. PMID: 20697189.
crossref
2. Oh JH, Kwon JG, Jung HK, et al. 2020;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functional dyspepsia in Korea. J Neurogastroenterol Motil. 26:29–50. DOI: 10.5056/jnm19209. PMID: 31917913. PMCID: PMC6955183.
crossref
3. Park JK, Huh KC, Shin CM, et al. 2014; Current issues in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Gastroenterol. 64:133–141. DOI: 10.4166/kjg.2014.64.3.133. PMID: 25252861.
crossref
4. Talley NJ, Zinsmeister AR, Schleck CD, Melton LJ 3rd. 1992; Dyspepsia and dyspepsia subgroups: a population-based study. Gastroenterology. 102:1259–1268. DOI: 10.1016/0016-5085(92)90764-P.
crossref
5. Agréus L, Svärdsudd K, Nyrén O, Tibblin G. 1995;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dyspepsia in the general population: overlap and lack of stability over time. Gastroenterology. 109:671–680. DOI: 10.1016/0016-5085(95)90373-9.
crossref
6. Mahadeva S, Goh KL. 2006; Epidemiology of functional dyspepsia: a global perspective. World J Gastroenterol. 12:2661–2666. DOI: 10.3748/wjg.v12.i17.2661. PMID: 16718749. PMCID: PMC4130971.
crossref
7. Choo KY, Choi MG, Choi H, et al. 2000; The prevalences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a rural community in Korea.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6:31–43.
8. Lee SH, Lee OY, Park YT, et al. 2002; Frequency of functional dyspepsia like symptoms in Koreans and the effects of it on quality of life-Telephone survey by Rome II criteria-. Korean J Gastroenterol. 40(Suppl 2):125A.
9. Zacharakis G, Al-Ghamdi S, AlZahrani J, et al. 2020; Effects of the Rome IV criteria to functional dyspepsia symptoms in Saudi Arabia: epidemiology and clinical practice. Korean J Gastroenterol. 76:304–313. DOI: 10.4166/kjg.2020.110.
crossref
TOOLS
Similar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