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List > Korean J Phys Anthropol > v.30(4) > 1039236

Chung and Koh: History of the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Abstract

In this study, the origin of anatomical terms, the process by which international anatomical terms were made, and the making principles of international anatomical terminology were confirmed. We also describe the process in which the Japanese anatomy terminology (Termonologia Anatomica Japonica), which has been influential in Korea, has developed. Most of the past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used the Japanese term. However, the Korean association of anatomists gradual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own terminology and decided to refine the terms by forming a terminology committee. The terminology committee first laid down the direction for refining terms and made the basic principles of revising them. Through many meetings, the terms were refined and made into terminology book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The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has been revised five times since its first edition in 1979 to the sixth edition in 2014. Here, we illu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terms and Korean terms and the process of refining Korean terms using examples.

References

1. Sugita G. Kaitai Shinsho. Suharaya Ichibee. Japan. 1774. Japanese.
2. Hepburn JC. Japanese English Dictionary. 1867. Available from. http://www.meijigakuin.ac.jp/mgda/waei/search/?lang=&book=0037&page=13&zoom=0&index=1. Japanese.
3. Leidy J. Kaibokunmo, Keimogisya, Osaka, Japan. 1876. Japanese.
4. Kim PS. Anatomy (translated version of Practical anatomy; Imada S. ed. 1887∼1888). Jejungwon. 1906. Korean.
5. His W. Die Anatomiche Nomenclatur. Nomina Anatomica. Arch Anat Entwick Suppl. 1–183. 1895.
6. Eycleshymer AC. Anatomical names. Especially the Basle Nomina Anatomica. William Wood & Company. 1917.
7.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32nd ed. Elsevier. 2012.
8. Stedman's medical dictionary. 28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2005.
9. Nomina Anatomica. 1st. ed. The Williams & Wilkins Co. Baltimore. 1956.
10. Nomina Anatomica. 2nd. ed. Excerpta Medica. Amsterdam. 1961.
11. Nomina Anatomica. 3rd. ed. Excerpta Medica. Amsterdam. 1968.
12. Nomina Anatomica. 4th ed. Excerpta Medica. Amsterdam.
13. Nomina Anatomica. 5th ed. The Williams & Wilkins Co. 1983.
14. Nomina Anatomica. 6th ed. Churchill Livingstone. Edinburgh. 1989.
15. Donath T. Anatomical Dictionary with Nomenclatures and Explanatory Notes. Pergamon Press. 1969.
16. Federative Committee on Anatomical Terminology. Terminologia Anatomica. Thieme. Stuttgart. 1998.
17. Federative International Committee on Anatomical Terminology. Terminologia Histologica. Wolters Kluwer. Lippincott W & W. Philadelphia. 2008.
18. Federative International Programme on Anatomical Terminologies. Terminologia Embryologica. Thieme. Stuttgart. 2013.
19. Otsuki G. Revised Kaitai Shinsho. Tokyo, Japan. 1798. Japanese.
20. Udagawa G.Fujii H. Ihan Teiko. Seireikaku. Japan. 1805. Japanese.
21. Taguchi K. Kaiboranyo. Eirando shimamura risuke. Tokyo, Japan. 1877. Japanese.
22. Ootori R. Transition of the use of anatomical terms in medicine. Nihon Ishigaku Zasshi. Issue 1179–1190. Tokyo. Japan. 1932. Japanese.
23. Japanese association of anatomists. Terminologia Anatomica Japonica. 2nd ed. Maruzen publishing Co. Ltd. Japan. 1947. Japanese.
24. Japanese association of anatomists. Terminologia Anatomica Japonica. 11th ed. Maruzen publishing Co. Ltd. Japan. 1969. Japanese.
25. Japanese association of anatomists. Terminologia Anatomica Japonica. 12th ed. Maruzen publishing Co. Ltd. Japan. 1987. Japanese.
26. Japanese association of anatomists. Terminologia Anatomica Japonica. 13th ed. Igaku-Shoin Ltd. Japan. 2007.Japa–nese.
27. Korean associations of anatomists.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1st ed. Choesin Euhaksa. Seoul, Korea 1978. Korean.
28. Korean associations of anatomists.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4th ed. Academia. Seoul, Korea 1996. Korean.
29. Omochi S. Anatomical terms with their origins and grammaticals. Maruzen publishing Co. Ltd. Japan. 1950.Japa–nese.
30. Yoshioka S. Kuria K. Anatomical Terms: Their origin, construction and pronunciation. Igaku-Shoin Ltd. 1968.Japa–nese.
31. Hutamura R. Kinseikaibogaku. 17th ed. Kaneharashoten. 1932. Japanese.
32. Korean associations of anatomists.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3rd ed. Gyechuk Munhwasa. Seoul, Korea 1990. Korean.
33. Selection committee of Anatomical terms. Terms of human anatomy. Science Publishing Co. 1991. Chinese.
34. Korean associations of anatomists.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5th ed. Academia. Seoul, Korea 2005. Korean.
35. Korean associations of anatomists.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6th ed. Academia. Seoul, Korea 2014. Korean.
36. Hojo T. Japanese anatomical terminology (Nomina Anatomica Japonica) from the educational view point (1) – Sune and Nezumi –. J UOEH. 1984; 6:433–436. Japanese.
37. Korean associations of anatomists.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2nd ed. Choesin Euhaksa. Seoul, Korea 1981. Korean.
38. Korean associations of anatomists. Korean Histological and Embryological Terminology, 1st ed. Soomoonsa. Seoul, Korea 1980. Korean.
39. Korean associations of anatomists. Korean Histological and Embryological Terminology, 2nd ed. Soomoonsa. Seoul, Korea 1982. Korean.
40. Rouvière H, Delmas A. Anatomie Humaine. Tome 3. 13th. ed. Masson. 1991.
41. Korean Big Dictionary. Social Science Publishing Co. 1992. North Korean.
42. Skinner HA. The Origin of Medical Terms. 2nd. ed. The Williams & Wilkins Co. 1961.
43. Lee JK. The new dictionary of foreign words in modern Korean. Hansung Books. Seoul. 1937 Korean.
44. Tekiner H, Acer N, Kelestimur F. Sella turcica: an anatomical, endocrinolog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Pituitary. 2015; 18:575–578.
crossref
45. Barcley J. New anatomical nomenclature, relating to the terms which are expressive of position and aspect in the animal system. Edinburgh, Ross and Blackwood. 1803.

Fig. 1.
Japanese English Dictionary of Hepburne (1867). Japanese equivalent to anatomy is fuwaki or kaibo.
kjpa-30-113f1.tif
Table 1.
Name and achievement of the committee member of BNA
Name (Age, Nationality) Working year Book or Eponym
Karl v Bardeleben 1889 Committee secretory
Daniel J Cunningham (45, England) 1890 Textbook (1st ed. 1902)
Oskar Hertwig (46, Germany) 1889 sheath of (root sheath)
Wilhelm His senier (64, Germany) 1889 canal of (thyroglossal duct)
Albert v K lliker (78, Switzerland) 1889 Chairperson column of (bundle of myofibrils) etc.
Julius Kollmann (61, Switzerland) 1889  
Wilhelm Krause (65, Germany) 1890 end-bulb of.
Hector Leboucq (Belgium) 1890  
Friedrich S Merkel (50, Germany) 1889 cell of; corpuscle of etc.
Gezav Mihalkovics (Hungary) 1891  
Guglielmo Romiti (Italia) 1890  
Gustav Schwalbe (51, Germany) 1889 corpuscle of. fissure of etc.
Sir George D Thane (49, England) 1892  
Karl Toldt (55, Austria) 1889 Textbook; membrane of (part of renal fascia)
Wilhelm Waldeyer (62, Germany) 1889 fossa of; ring of etc.
Anatomists (not a committee member)    
Wilhelm Braune (1892 dead, Germany)   muscle of; canal of etc.
Wilhelm Henke (61, Germany)   space of; triangle of
Karl Wilhelm v Kupffer (66, Germany)   cell of
Nikolaus Rüdinger (1896 dead)    
Sir Williams Turner Emil Zuckerkandl (46, Austria)   fascia of; tubercle of etc.
Table 2.
Contents of a small booklet made during BNA preparation
Order Page Contents Number of times created with the same title
I 1∼68 muscle 1
II 69∼108 bone (a) 1
III 109∼168 muscle 2
IV 169∼172 muscle 3
V 173∼212 bone (b) 1
VI 213∼240 bone (c) 1
VII 241∼296 heart, artery 1
VIII 297∼330 vein, lymph 1
IX 331∼378 bone 2
X 379∼402 heart, artery 2
XI 403∼438 bone 3
XII 439∼458 vein, lymph 2
XIII 459 (to)∼474 (to) heart, artery 3
XIV 459∼482 bone, angiology last edit
XV 483∼518 arthrology 1
XVI 519∼654 neurology 1
XVII 655∼864 splanchnology 1
XVIII 865∼872 arthrology last edit
XIX 873∼888 neurology last edit
XX 889∼952 splanchnology last edit
Table 3.
Comparison of first edition of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and Nomina Anatomica Japonica. Some of the 72 terms that ar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japanese terms of 449 general anatomical terms
NA Korean terms (1978) Japanese terms (1969) Present Korean terms
aggregatus (集合), 집합 集合 무리
  (群集)군집    
ampulla (膨大) 팽대 膨大 [部] 팽대
apparatus (器官) 기관 器 [官] 기관
bulla (胞), 낭 포 (囊) 융기1)
bursa (囊) 낭 胞, 囊 (윤활)주머니1)
cuvatura (彎), 만곡 만 (彎曲) 彎曲 굽이
cavum (腔), 동 강 (洞) 안, 공간, 오목2)
collum (頸) 경 頚, クビ
diameter 직경, 경 (直徑, 徑)   지름
dilator 산대근 (散大筋) 擴大筋, 확대근
    散大筋  
lacuna 열공 (裂孔), (凹窩)요와 裂孔 오목
lingula (小舌, 舌) 소설, 설 小舌 혀, 혀돌기
orbiculus, 윤, 윤상 (輪, 輪狀) 둘레
orbicularis spina, spinalis s 극 (棘), 극상 (棘狀) 가시
triangularis 삼각형 (三角形) 三角 세모
visceralis 내장 [측], 장 [측] 內臟 내장
zona, zonalis 대 (帶), 대상 (帶狀) 층, 구역

1 )[ ] 및 () 속의 용어는 생략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표기이다. 즉, 윤활주머니 또는 주머니.

2 )이 용어는 구조의 형태에 따라 우리용어가 다르게 쓰인다. tympanic cavi-ty의 경우 예전부터 썼던 고실을 그대로 쓴다.

Table 4.
Ten of the 449 general anatomical terms not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first edition of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and Nomina Anatomica Japonica.
NA Korean terms (1978) Japanese terms (1969) Present Korean terms
ansa 고리 ワナ 고리
collum 경 (頸) クビ
fundiformis 고리 ワナ 고리
helix 나선 ラセソ 귀둘레1)
lambdoideus 람다상 ラムダ 시옷2)
lympha, lymphaticus 임파 リソハ° 림프
os 입, 구 (口) ) 口, クチ
plica 주름 ヒダ, 주름
spiralis 나선 [상] ラセソ 나선
vinculum 끈, 뉴 ヒモ

1 ) helix는 나선 모양의 구조에 사용하는 용어인데, 해부학용어에서는 귓바퀴 외에는 사용하는 곳이 없다. 파리해부학용어 (NA)에서 일반용어에 올릴 필요가 없는 용어로 생각된다.

2 )람다는 그리스어 λ를 가리키는데, 이에 해당하는 우리 글자 시옷 (ㅅ)을 사용하였다.

Table 5.
Six of the 449 general anatomical terms like Japanese anatomical terms before 1944.
NA Korean terms (1981) Japanese terms (1969) Present Korean terms
fibra 섬유 纖維 → 線維 섬유
junctura 결합, 연결 結合 → 連結 관절
limen 閾 → 限 문턱
lympha 임파 淋巴 → リソハ° 림프
ruga 褶 → 皺 주름
stroma 간질, 지질 間質 → 支質 버팀질
Table 6.
Korean anatomical terms according to unique Japanese anatomical terms
English or Latin Korean terms (1981) Japanese terms (1969) Present Korean terms
middle 1) 중간
intermediate 중간1)2) 中間 중간
sigmoid sinus S상정맥동2) S狀靜脈洞 구불정맥굴
piriform muscle 이상근3) 梨狀筋 궁둥구멍근
trapezius muscle 승모근4) 천문5) 僧帽筋泉門 등세모근 숫구멍
fontanelle 천문 泉門 숫구멍
arteria brachialis superficialis6) 천상완동맥 淺上腕動脈 얕은위팔동맥
a. profunda brachii6) 상완심동맥 上腕深動脈 깊은위팔동맥

1 )국제해부학용어에서 intermedius는 medialis와 lateralis 사이 그리고 me-dius는 anterior와 posterior 사이 또는 externus와 internus 사이에 쓴다. 바즐해부학용어 (BNA) 때 medialis, medius, lateralis를 같이 사용할 때 서양에서는 끝의 발음을 흐리게 하는 경우가 많아 medialis와 medius가 발음에서 혼동이 온다고 하여 이럴 때 intermedius를 쓰는데, 우리말에서는 구별할 필요가 없는데도 이상한 일본용어를 따라 썼었는데, 셋째판 해부학용어(1990)부터 모두 “중간”만 사용한다. 일본해부학용어 제13판 (2007)에서는아직도 이것을 구별하여 쓴다.

2 ) sigmoid는 그리스글자 시그마의 소문자 (ς)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졌는데,실제로 굽어있지만 글자 모양처럼 두 번 구부러진 경우는 5% 정도이다. 엄격히 말해서 우리말 용어에 서양 알파벳을 쓴 것은 그림글씨를 쓴 것으로볼 수 있다. 공식용어에서 굳이 쓴다면 에스 (S)라고 해야 한다고 믿는다.실제로 이 구조는 S자처럼 구부러지지 않았다. 현재용어는 구불정맥굴로바뀌었다. 그런데 최근 조직학과 발생학용어에서는 영어 알파벳을 용어에사용하였다.

3 )원래 라틴용어는 pyriformis였으나 인쇄술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 유럽에서 베껴 쓸 때의 잘못으로 piriformis가 된 것으로 추측한다. 이상근은 배모양이란 뜻인데, 이 근육의 모양은 우리나라 배 모양도 아니고 서양 배 모양도 아니다. 셋째판 (1990)에서는 새로운 실마리를 잡아 좌골구멍근으로하였다가 넷째판 (1996)부터는 좌골구멍이 궁둥구멍으로 바뀐데 따라 궁둥구멍근을 쓰고 있다.

4 ) trapezius는 그리스말로 네발이 있는 테이블을 가리켰는데, 해부학에서는마름모꼴에 이 용어가 쓰인다. 일본에서는 독일어 Kappenmuskel (수도사의 모자 근육)을 번역하여 승모근이라고 하였다. 그것은 수도사의 고깔 모양 모자가 뒤로 접혀서 늘어졌을 때 이 근육의 모서리와 비슷하다고 하여붙여졌었다. 해부학용어에서는 대부분 한쪽 구조에 따라 이름을 붙인다. 현재 우리용어는 등세모근이다.

5 )처음 일본에서는 門 (숫구멍 신+문)이라고 하였었는데, 한자가 어려워서 이것의 라틴어 fonticulus (작은 샘)로부터 일본말로 소리도 비슷한 泉(샘 천)자로 바꾸어 썼다. 부학 (1906)에서는 여기에 회 (百會)라는 한의학용어를 사용하였다.

6 )일본용어는 라틴말을 거꾸로 순서대로 옮겼다. 라틴말에서는 꾸미는 말이 앞에 오는 것도 있고 뒤에 오는 것도 있다. 이 용어는 위팔의 동맥 중에얕게 달리고 깊게 달리는 동맥을 표현한 것인데, 우리말에서는 당연히 꾸미는 말이 앞에 와서 체계를 이루어야 한다. 영어로는 superficial brachial artery와 deep brachial artery로 표기한다.

Table 7.
Comparison of Korean anatomical terms and Japanese anatomical terms with the same pronunciations in different structures
English or Latin Korean terms (1978, 1981) Japanese terms (1969) Present Korean terms
olfactory bulb 후구 嗅球 후각망울
olfactory sulcus 후구 嗅溝 후각고랑
posterior segment 후구 後區 뒤구역
dorsum sellae 안배 鞍背 안장등
optic cup 안배 眼杯 눈잔
parathyroid gland (副甲狀腺) 부갑상선 上皮小体2) 부갑상샘
accessory thyroid gland (附甲狀腺)1)부갑상선 副甲狀腺2) 덧갑상샘
scaphoid 주상골3) 舟狀骨 손배뼈
navicular 주상골3) 舟狀骨 발배뼈
nasal bone 비골 鼻骨 코뼈
fibula 비골 腓骨 종아리뼈
zygomatic bone 관골 (顴骨)4) 頰骨 (협골) 광대뼈
hip bone 관골 (臗骨)4) 寬骨 (관골)5) 볼기뼈

1 )한자로 구별하기 위하여 附 (붙을 부)자를 쓴 것 같은데, 해부학용어 중 다른 용어에서는 副耳下腺, 副眼器, 副脾와 같이 accessory에 해당하는 한자로 모두 副 (버금 부)자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위원장이 같았던 조직학용어에서는 副甲狀腺을 사용하였다. 현재 해부학용어에서는 부갑상샘과 덧갑상샘으로 사용한다.

2 )일본용어에서는 최근 parathyroid gland에 副甲狀腺을 동의어로 추가하였고, accessory thyroid gland는 甲狀副腺으로 바꾸었다.

3 )바즐해부학용어 (BNA, 1895)에서는 os naviculare manus, os naviculare pedis로 손과 발을 써서 구별하였으나 손과 발의 구조에 같은 소리가 나는 용어를 쓰는 것에 대한 정당한 이유가 없기 때문에 파리해부학용어 (NA)에서는 손의 뼈에 라틴말에 해당하는 그리스말 scaphoid를 손의 뼈에 사용하였다. 해부학용어에서는 모두 배 모양이란 뜻이어서 손과 발이 모두 한 음절이고 혼동 없이 의미 전달이 되므로 손배뼈와 발배뼈로 다듬었다. 일본에서는 [手の]舟狀骨, [足の]舟狀骨로 손과 발을 꺽쇠괄호 안에 표기하였다. (1991)에서는 手舟骨, 足舟骨과 같이 사용하였다 [33].중국해부학용어

4 )顴이 훈몽자회에는 “뺨 관”, 지금 자전에는 “뺨 권”자로 나온다. 일본에서 바즐해부학용어 (BNA)용어에는 顴骨을 사용하였다.

5 )자전에는 臗이 “볼기 곤”자로 나온다. 일본에서 해체신서 (1774)부터 臗骨을 쓰다가 臗이 상용한자가 아니어서 원래 글자인 을 분해하여 사용하였다.

Table 8.
Unequal contents of Korean terms and previous Japanese terms in first edition of Korean Histological Terminology.
English Korean terms (1980, 1982) Japanese terms (1969 ) Present Korean terms
cytoplasm 세포질 (細胞質) 細胞形質1) 세포질
centriole 중심소체 (中心小體) 中心子 중심소체
endoplasmic reticulum 내형질 [細]網) [세]망 (內形質 小胞体 2) 세포질그물,속형질그물
desmosome 부착반 (附着斑) 接合小体2) 부착반점
pseudostratified epithelium 위중층상피 (僞重層上皮) 多列上皮3) 거짓중층상피
lymphocyte 임파구 (淋巴球) リンパ球 림프구
elastic fiber 탄력섬유 (彈力纖維) 彈性線維 탄력섬유
osteon 골원 (骨元) 骨單位 뼈단위
osteoblast 골모세포 (骨母細胞) 骨芽細胞 뼈모세포
myoblast 근모세포 (筋母細胞) 筋芽細胞 근육모세포
vasa vasorum 자양혈관 (自養血管) 脈管の脈管 혈관벽맥관

1 )1987년 개정판에서 細胞質로 바꾸었다.

2 )1987년 개정판에서 接着斑 (デスモゾ一ム)으로 바뀌었다.

3 )1987년 개정판에서 僞重層上皮 (多列上皮)로 두 용어를 동의어로 올렸다.

Table 9.
Examples of some Korean embryological terms versus Japanese terms
English Korean terms (1980, 1982) Japanese terms (1969, 1987) Present Korean terms
embryology 태생학 (胎生學)1) 發生学 발생학
embryo 태자 (胎子) 胚子2) 배아
embryo gonadal ridge 성선릉() (性腺稜) 生殖巢 (腺)堤 생식샘능선
gubernaculum 고환 [정소]도대 精巢導帶 고환길잡이
testis (睾丸 [精巢]導帶)    
limb bud 지뢰 (肢蕾) 体肢芽 팔다리싹
neuroenteric canal 신경장관 (神經腸管) 神經腸管3) 신경창자관
otic pit 이와 (耳窩) 耳窩 귀오목
pharyngeal 새궁 (鰓弓) 鰓弓 인두활,
(branchial) arch     인두굽이
sclerotome 경절 (硬節) 椎板 뼈분절
somite 체절 (體節) 体節 몸분절
stomodeum 구함 (口陷) 口窩 입오목
tubular heart 관상심장 (管狀心臟) 管狀心3) 대롱심장

1 )처음 태생학이라고 하였으나, 발생이란 용어가 더 보편화되어 흔히 사용되므로 셋째판부터 발생학으로 바꾸었다. 중국에서는 胚胎學이라고 한다.

2 )일본에서는 이것에 이전에 胎兒로도 사용하였고, 우리용어 셋째판에서는 배자라고 하였다가, 흔히 쓰이는 태아와 같이 ‘-아'의 돌림자가 좋다고 하여 배아로 바꾸었다.

3 )실제 한자는 일본의 약자이다.

TOOLS
Similar articles